2025.10.09 (목)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경제·부동산

100대기업 여성 사외이사 110명…이사회 내 女임원 증가세 꺾였다

유니코써치, 2024년 100大 기업 사외이사 현황 분석
100대기업 女사외이사 1년 새 고작 3명 늘어…이사회 진출 女임원 비율은 1년 새 0.2%P↓
女사외이사 보유 기업, 23년 88곳→24년 90곳…女사외이사 1명만 둔 기업 100곳 중 70곳 달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해 국내 100대 기업에서 활약하는 여성 사외이사는 전년 대비 3명 늘어난 110명인 것으로 집계됐다. 최근 1년 새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만 놓고 보면 여성은 0.5%포인트 소폭 증가했다.

 

이와 달리 범위를 넓혀 100대 기업 이사회(사내이사+사외이사)에서 활약하는 여성 비율은 1년 새 0.2%포인트 떨어지며 하락세로 돌아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배경에는 100곳 중 70곳이나 되는 기업들이 여성 사외이사 1명만 두고 있는 영향이 크기 때문으로 분석됐다.

 

글로벌 헤드헌팅 전문기업 유니코써치(대표 김혜양)는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4년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사외이사 현황 분석’ 결과를 22일 밝혔다. 조사 대상 100대 기업은 상장사 매출(2023년 별도 재무제표 기준) 기준이고, 사외이사 현황은 2024년 3분기 보고서를 참고해 조사가 이뤄졌다.

 

동일인이 2개 이상 복수 기업에서 사외이사 등으로 활약하는 경우는 회사를 기준으로 별도 인원으로 산정했다.

 

 

◆ 100대기업 女사외이사 비율, 20년 7.9%→21년 15%→22년 21%→23년 23.7%→24년 24.2%

 

조사 결과에 의하면 지난해 3분기 기준 국내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 인원은 454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여성 임원은 110명이었다.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 중 여성은 24.2% 수준이었다. 100대 기업 내 여성 사외이사는 지난 2020년 35명(7.9%)→2021년 67명(15%)→2022년 94명(21%)→2023년 107명(23.7%) 수준을 보였다. 작년에는 전년 대비 여성 사외이사는 3명만 늘어나 0.5%포인트 소폭 상승에 그쳤다.

 

작년 기준 100대 기업에서 여성 사외이사를 1명 이상 배출시킨 기업은 모두 90곳으로 집계됐다. 지난 2020년 당시만 해도 100곳 중 30곳에서만 여성 사외이사가 두각을 보여왔는데, 2021년 60곳→2022년 82곳→2023년 88곳으로 증가했다. 작년에는 이전해 대비 2곳 많아졌다.

 

지난해 기준 여성 사외이사가 없는 10개 기업 중에서도 5곳은 여성 사내이사가 활약하고 있었다. 이들 기업까지 포함해 100대 기업 이사회(사내이사+사외이사)에서 여성이 1명이라도 존재하는 기업은 95곳이나 됐다. 2023년 조사 때 94곳보다 1개 기업이 더 늘었다.

 

문제는 상당수 대기업이 여성 등기임원을 법률에서 정하는 최소 인원만 채우려다 보니 이사회에서 활약하는 여성 등기이사 증가세가 한계점에 다다랐다는 점이다.

 

 

지난 2022년 8월부터 자산 2조원이 넘는 기업에서 이사회(사내이사+사외이사)를 구성할 때 특정 성별(性別)로만 채워서는 안 된다는 관련 법 규정이 본격 시행됐다. 사실상 사내이사이든 사외이사이든 최소 1명 이상의 여성을 등기이사 자리에 참여시켜야 한다는 점이다.

 

이러한 법 시행으로 2021년과 2022년에는 여성 사외이사가 이전해 대비 5%포인트 넘는 증가세를 보여왔다. 그러던 것이 2023년에는 전년 대비 2%포인트대로 낮아졌고, 작년에는 이전해 대비 1%포인트 미만으로 떨어졌다.

 

유니코써치 측은 "상당수 기업들이 사외이사를 중심으로 법률에서 정하는 최소 1명 정도의 여성 등기임원만 두려는 경향이 강하기 때문"으로 풀이했다. 실제 작년 기준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 사외이사 1명만 둔 곳은 70곳이나 됐다.

 

작년에 파악된 100대 기업 남녀 전체 사외이사 454명을 출생년도로 구분해보면 1960년~1964년생이 144명(31.7%)으로 가장 많았다. 특히 단일 출생년도 중에서는 1964년생이 35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1955년~1959년생이 103명(22.7%)로 다수를 차지했다.

 

 

이어 1965년~1969년생은 93명(20.5%)이었고, 1970년생 이후는 76명(16.7%)으로 파악됐다. 1970년 이후 출생자 중에서도 MZ세대에 속하는 1980년 이후 출생자도 9명(2%) 활약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80년대생 사외이사 9명 중 8명은 여성이었다.

 

100대 기업 중 1980년대생 여성 사외이사에는 ▲김정연(1980년) 한화손해보험·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 ▲현낙희(1980년) 한화오션 ▲인소영(1981년) DL이앤씨 ▲전미영(1981년) 롯데쇼핑 ▲최자원(1981년) BGF리테일 ▲박소라(1983년) E1 ▲이현주(1985년) 지역난방공사 사외이사가 포함됐다.

 

이중 정기보고서에 따르면 이화여자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로 재직 중인 김정연 사외이사는 1980년대생이면서 100대 기업 내 2곳에서 이사회에 참석하는 유일한 여성인 것으로 파악됐다.

 

지난해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 중 110명이나 되는 여성 이사만 따로 떼어놓고 살펴보면 1964년생·1971년생·1972년생이 각각 8명씩으로 가장 많았다.

 

 

대표적으로 1964년생 중에는 ▲강정혜 LG디스플레이 ▲이행희 포스코인터내셔널 ▲최윤희 현대차 사외이사 등이 포함됐고, 1971년생 중에는 ▲강수진 LG전자 ▲남혜정 롯데케미칼 ▲정소민 기업은행 사외이사 등이 동갑내기인 것으로 파악됐다. 1972년생에는 ▲한애라 SK하이닉스 ▲김연미 이마트 ▲윤종원 GS리테일 사외이사 등이 같은 해에 태어났다.

 

동일인이 100대 기업 내 2곳 이상에서 사외이사를 맡고 있는 여성 임원도 1980년생인 김정연 사외이사를 포함해 11명으로 파악됐다. 해당 여성 사외이사에는 ▲김성은(한국전력공사, HD현대미포) ▲여미숙(LG에너지솔루션, CJ대한통운) ▲이아영(한화솔루션, 지역난방공사) ▲이은형(S-Oil, 두산에너빌리티) ▲이인실(한화생명, 삼성SDS) ▲이젬마(미래에셋증권, HMM) ▲조승아(현대제철, KT) ▲조혜경(삼성전자, 현대건설) ▲조화순(기아, LG화학) ▲황덕남(고려아연, 롯데웰푸드) 사외이사가 이름을 올렸다.

 

지난해 기준 454명의 100대 기업 전체 사외이사를 주요 경력별로 구분해 보면 대학 총장과 교수와 같은 학계 출신이 39.4%(179명)로 가장 많이 분포됐다. CEO와 임원 등 재계 출신은 24.4%(111명)로 다음으로 높았다.

 

국세청, 금융감독원, 공정거래위원회, 지자체 등에서 재직해 온 행정 관료 출신은 15.2%(69명) 수준이었다. 행정 관료 출신 중에서도 장·차관급 고위직 출신만 해도 35명으로 7.7%로 나타났다. 판·검사 및 변호사와 같은 법조계 출신은 12.3%(56명) 정도였다. 아직까지는 전문성이 높은 대학 교수 출신을 사외이사로 영입하려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활약하는 110명의 여성 사외이사만 따로 떼어 놓고 보면 학계 출신이 51.8%(57명)로 최다였다. 다음으로 재계(19.1%, 21명)와 법조계(18.2%, 20명) 출신 순으로 높았다.

 

이중 여성 사외이사 중에서는 ▲박순애 前부총리겸 교육부장관(KG모빌리티) ▲정현옥 前고용노동부 차관(풍산) ▲이인실 前통계청장(한화생명) 등이 장·차관급 이상 고위공직자 출신인 것으로 확인됐다.

 

 

◆ 작년 100대 기업 이사회 內 여성 비율 15.7% 넘어…2023년 15.9%보다 0.2%포인트 낮아

 

범위를 넓혀 작년 3분기 기준 국내 100대 기업에서 사내이사와 사외이사를 포함한 전체 이사회에 이름을 올린 등기임원은 모두 766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여성 사내이사(10명)까지 합치면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활약하는 여성은 120명이었다. 특히 ▲이정애 LG생활건강 ▲최수연 네이버 ▲최연혜 한국가스공사 대표이사는 100대 기업 내 非오너 중 CEO급에 해당됐다.

 

작년 기준 100대 기업 이사회에서 여성이 차지하는 비중은 15.7%로 조사됐다. 100대 기업 내 이사회에서 참여하는 여성 임원 비율은 2020년 5.2%→2021년 9.2%→2022년 13.7%→2023년 15.9%로 꾸준히 증가해왔는데, 작년에는 전년 대비 0.2%포인트 하락했다. 100대 기업 내 여성 등기임원 증가세가 한풀 꺾인 셈이다.

 

100대 기업의 경우 이미 상당수 기업에 여성 사외이사 법률로 정한 여성 임원 1명씩은 채워진 상태고, 사내이사로 진출하는 인원은 손에 꼽다 보니 2~3년 내 여성 등기임원 20%를 넘기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유니코써치 정경희 전무는 “대기업 등에서 사외이사를 선임하려고 할 때 법적 요건과 직무 전문성을 갖춘 여성 인재가 제한적이다 보니 여성 인재풀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투명하고 신뢰받는 지배구조 구축을 위해 경험과 전문성을 갖춘 여성들이 사외이사로 성장할 수 있도록 후보군을 관리하는 방안과 함께 사외이사 영입 이후에 전반적으로 이사회 구성원 전체의 역량 강화를 위한 지속적인 교육과 평가 등도 강화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랭킹연구소] 국내기업 시총 TOP20…삼성전자·SK하닉·LG엔솔·삼성바이오·한화에어로·HD현대중·KB금융·현대차·네이버·두산에너빌리티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 외형은 330조원 넘게 늘었지만, 개별 주식종목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은 시총이 하락해 희비가 교차했다. 27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삼성전자는 최근 3개월 새 시총 외형만 140조원 넘게 가장 많이 불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3분기에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3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97곳으로 2분기 때보다 1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0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65곳이고, 올해 6월말(6월30일)과 9월말(9월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9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3187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1분기)에는 2324조원 수준이었고, 올 6월말(2분기)에는 2856조원으로 1분기 대비 2분기 시총은 53

[랭킹연구소] "중국인은 구로·금천, 미국인은 강남·서초"…서울 외국인 아파트 보유도 극심한 양극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서울 외국인 부동산 시장이 국적에 따라 명확히 갈리고 있다. 2024년 12월 기준, 중국인과 미국인이 보유한 서울 아파트 수에서 나타난 양극화가 두드러진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정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한국부동산원 자료를 토대로 공개한 통계에 따르면, 중국인은 주로 구로·금천 같은 서남권 지역에 집중된 반면 미국인은 강남·서초·용산 등 한강 벨트 일대에 매입이 몰린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인이 보유한 서울 내 아파트는 총 5678채로 전체 외국인 소유 아파트(1만2516채)의 45.4%를 차지한다. 강남구(1028채), 서초구(742채), 용산구(636채) 등 한강 벨트의 프리미엄 지역 집중도가 높다. 이들은 글로벌 기업 주재원, 외국계 투자자, 대사관 직원 등으로 추정되며, 국제학교, 외국 대사관, IT기업 밀집 지역 인근 거주를 선호해 업무·교육·생활 인프라가 우수한 곳에 대거 분포한다. 반면, 중국인은 2536채로 미국에 이은 두 번째로 많은 외국인 주택 소유 집단이다. 중국인의 아파트 보유는 구로구(610채), 영등포구(284채), 금천구(138채) 등 상대적으로 주택가격이 낮으며 교통 접근성이 좋은 지역 위주다.

[이슈&논란] 퇴직 외교관 662명, 5년간 항공 마일리지 4억6000만원 '꿀꺽'…환수없이 '개인귀속'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공무상 출장 등으로 쌓인 외교관의 항공기 마일리지를 환수할 규정이 없어 퇴직시 해당 마일리지가 개인에게 귀속되는 금액이 5년간 무려 4억6000만원에 달했다. 5일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한정애 의원에 따르면, 2021년부터 2025년 9월 20일까지 외교부 퇴직자 662명이 공무 출장으로 쌓은 항공 마일리지가 총 2328만 마일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금액으로 환산하면 약 4억6000만원에 이르는 규모다. 해당 마일리지는 인천과 뉴욕 구간을 1700회 왕복할 수 있는 양이다. 그러나 이 공적 마일리지는 환수나 공적 사용에 관한 명확한 규정이 없어 퇴직자 개인에게 귀속되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어 논란이 불거지고 있다. 고위직 평균 보유 마일리지 9만3370마일…소멸분도 2244만 마일 올해 기준으로 장·차관급 고위직의 경우 1인당 평균 9만3370마일, 일반 직원은 평균 1만3042마일을 보유한 것으로 조사됐다. 하지만 마일리지 누적량이 많고 관리가 어려워 유효기간 내 사용하지 못해 폐기되는 공적 마일리지도 상당하다. 최근 5년간 만료로 소멸한 마일리지는 약 2244만 마일에 달한다. 이러한 마일리지의 비활용은 국

[이슈&논란] 서울 도심 레미콘 공급망 붕괴 “재건축 현장 초비상”…공급공백·사업지연·비용폭등 '3중고'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지역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레미콘(Ready-Mix Concrete) 공급난이 건설업계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 최근 노후 건축물 증가와 도시정비사업의 확대에 따라 레미콘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서울 내 생산기지는 성수동과 풍납동 등 2곳만 남아 시설 폐쇄와 환경 갈등으로 공급망 위기가 심화되는 실정이다. 2025년 공급 역대 최저…수도권에 의존 심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서울 내 노후 건축물은 전년 대비 61.2% 증가한 수준으로 집계되며, 도시정비사업에 소요되는 레미콘 물량은 서울 소재 공장 총 생산량의 91.9%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성수동 공장이 환경권 문제로 이미 철거 완료됐고, 풍납동 공장도 올 하반기 내 폐쇄가 예정되어 서울 지역 레미콘 생산기지는 사실상 2곳만 남게 된다. 레미콘 공급 공백으로 인해 건설 현장들은 경기도, 인천 등 외곽 수도권 공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서울 내 레미콘 공장은 4개(2020년 10개→2024년 4개)까지 감소했으며 연간 생산량은 600만㎥ 이하로 급감했다. 수도권 공장으로부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