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0 (월)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영웅시대] '참일꾼' 임영웅이 tvN 살렸다…'삼시세끼' 최고시청률 달성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참일꾼으로서 진가를 뽐낸 가수 임영웅 활약으로 tvN 예능 프로그램 '삼시세끼 라이트' 시청률이 상승세를 탔다.

 

지난 27일 방송된 tvN ‘삼시세끼 Light’에서는 요리부 차승원, 설비부 유해진의 특급 가르침을 전수받은 임영웅이 목공부터 감자 캐기까지 마스터하며 진정한 일꾼으로 변신했다.

 

28일 시청률 조사업체 닐슨코리아에 따르면 전날 방송된 '삼시세끼 라이트'(이하 삼시세끼) 시청률(케이블·IPTV·위성 통합 유료플랫폼 기준)은 수도권 가구 평균 12.4%, 최고 14.7%를 기록했다. 전국 가구 기준으로는 평균 11.8%, 최고 14.1%를 찍었다. 이날 방송분 시청률은 수도권과 전국 기준 모두 자체 최고 기록을 경신했다. 또 지상파를 포함한 전 채널 동시간대 1위를 차지했다.

 

임영웅은 가수로서 공연 뿐만 아니라 예능에서도 탑스타답게 시청률 기록을 세워왔다. 앞서 tvN ‘유 퀴즈 온 더 블럭’ SBS ‘미운 우리 새끼’ tvN ‘놀라운 토요일’ JTBC ‘뭉쳐야 찬다3’ 등에 출연해 시청률 기록을 갈아치웠다.

 

차승원과 유해진은 세끼 하우스를 찾아온 첫 손님 임영웅을 따뜻하게 맞아주며 본격적인 잔칫상을 준비했다. 작업복으로 갈아입은 임영웅 역시 "이등병 마인드를 장착하고 왔다"는 각오로 화답했다.

이 과정에서 터줏대감 차승원과 유해진의 임영웅에 대한 호칭도 "영웅씨"에서 "영웅아"로 자연스럽게 변했다.

 

이날 방송의 묘미는 감자캐기였다. 손님맞이 잔칫상을 차리느라 많은 비용을 쓴 탓에 갚아야 할 감자 무게가 자그마치 140㎏이나 됐기 때문이다. 드넓은 감자밭 앞에 들어선 세 사람은 허리 펼 새도 없이 일한 덕에 120㎏가량을 캐내는 엄청난 수확을 거뒀다. 고된 하루 일을 마친 세 사람은 천막 아래서 함께 밥을 먹으며 돈독한 우정을 쌓기도 했다.

 

진정한 일꾼으로 거듭난 임영웅의 '삼시세끼 라이트' 두 번째 날은 10월 4일(금) 저녁 8시 40분에 만나 볼 수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신간] 삼국지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삼국지 명문장 30개로 배우는 '삼국지 인생 공부' 출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역사와 문화의 정수이며, 지식인의 교양을 구성하는 핵심 고전 중의 하나인 삼국지가 새로운 버전으로 돌아왔다. <삼국지 인생 공부-천하를 움직인 심리전략>(나관중 원저, 김태현 지음)은 진수의 『삼국지』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인간 군상의 다양한 얼굴과 지혜를 담아냈다. 이 책은 삼국지 속 절체절명의 순간에 나온 명문장 30개를 선정했다. 그 문장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전쟁과 정치의 흐름을 바꾸었는지를 살펴봤다. 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전투 등 삼국지의 명장면을 통해 기만, 연합, 기회 포착 같은 전략을 분석한다. 이 전술들은 오늘날 리더십과 인간 관계에도 깊은 통찰을 준다. 삼국지는 단순한 전쟁사가 아니라 인간의 심리를 해부한 책이다. 혹자는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과는 친구가 되지 말고, 세 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싸우지 말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작가는 "오늘을 사는 우리도 각자의 ‘인생 삼국지’를 치르고 있다. 조조처럼 결단하고, 유비처럼 사람을 모으며, 제갈량처럼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사마의처럼 인내하며 흐름을 읽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어 "삼국지를

[랭킹연구소] 5년간 국립대 성비위 징계 대학 순위…서울대>경상국립대>전북대>강원대 順 ‘솜방망이 처벌’ 빈축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5년간 전국 39개 국립대에서 성비위 징계 161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서울대가 18건(11.1%)으로 가장 많은 징계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39개 국립대(4년제·교대·산업대 포함)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교수, 학생, 직원 포함 총 161건의 성비위 징계가 확정됐다. 교수 64명 중 36.7%가 정직, 감봉 등의 경징계를 받고 복귀했으며, 평균 정직 기간은 2개월 수준에 불과해 신속한 복귀가 가능했다. 특히 중징계인 해임과 파면 비율은 낮고, 상당수가 경징계인 점에서 교육기관으로서 윤리기준 강화와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학교 성비위 징계 현황 교수에게 내려진 징계가 68건으로 가장 많았고, 학생 징계는 67건이었다. 성비위 징계가 많은 대학은 서울대, 경상국립대, 전북대, 강원대 순이다. 서울대는 전체 징계의 11.1%를 차지했다.​ 경징계 비중 및 문제점 64명의 징계 대상 교수 중 36.7%가 정직(16건), 감봉(5건), 견책(4건) 등 경징계를 받고 복귀한 것으로 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