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발생한 1억200만 달러(약 1430억원) 규모의 왕관 보석 강도 사건과 관련해, 프랑스 경찰이 10월 26일 저녁 주요 용의자 2명을 전격 체포하며 국제적 관심을 모은 슈퍼급 미술품 도난 사건 수사에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했다. BBC, ABC News, CBS, PBS, Al Jazeera에 따르면, 이 사건은 한 주 전, 아폴로 갤러리에서 프랑스 왕실 보석 8점이 대낮에 사라진 전무후무한 범죄로 기록된다. '7분 작전'…歷史상 가장 대담한 박물관 강도극 10월 19일 오전, 4명의 도둑은 신축식 사다리가 장착된 트럭을 이용해 세계 최대 박물관 루브르의 2층 창문을 단숨에 뚫고 진입했다. 이들은 단 8분, 실제 내부에 머문 시간은 4분에 불과했던 전광석화 같은 초고속 작전으로 아폴로 갤러리의 전시장을 덮쳐, 나폴레옹 황제와 퀸 마리 루이즈, 엉프레스 유제니 등 19세기 프랑스 왕실이 소장했던 값비싼 보석류 8점을 초토화된 진열장에서 꺼내 오토바이로 파리 시내를 질주하며 도주했다. 강도단은 값비싼 에메랄드 및 사파이어 세트, 다이아몬드 왕관, 네크리스, 브로치 등 총 1억200만 달러(약 88m 유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 2025년 10월 19일, 프랑스 파리 루브르 박물관에서 1480억원 상당(8800만 유로)의 프랑스 왕실 보석 컬렉션 8~9점이 대담한 낮 도난 사건으로 사라졌다. 절도범 4명은 사다리차를 타고 박물관 외벽 창문을 통해 침입, 불과 7분 만에 두 개의 고강도 유리 진열장을 절단기로 깬 뒤 보석을 훔쳐 전동 스쿠터를 타고 도주했다. 범행은 개장 직후 인파가 많은 아폴롱 갤러리에서 발생해 충격을 줬다. 현재 피의자 4명은 체포되어 구속됐으며 공범 1명은 도주 중이다. 보안 취약성 논란과 감찰 결과 사건 이후 밝혀진 루브르 박물관의 보안 시스템 상태는 극도로 취약했다. 2014년 프랑스 국가사이버보안국(ANSSI)의 영상 감시 시스템 감사에서 보안 서버 비밀번호가 단순하게 ‘LOUVRE’였던 사실이 드러났다. 박물관이 이후 비밀번호를 교체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보안을 담당하는 소프트웨어 역시 20년 이상 된 구식으로, 여러 차례 실시된 보안 감사에서도 보안 강화보다는 작품 구입에 더 중점을 뒀다는 지적이 나왔다. 프랑스 감사원 보고서(2018~2024년)에 따르면 2004년 수립한 화재 대응 기본계획이 20년이 지난 시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스페이스X는 미 국방부가 추진하는 골든돔 프로젝트를 통해 미사일과 항공기 추적 위성망 구축 사업의 우선 수임자로 부상했다. WSJ·인디펜던트·로이터 등 복수의 외신에 따르면, 이 위성망은 최종적으로 600기 이상에 달할 전망이며, 여기에 포함된 AMTI 시스템은 전 세계 공중 이동 표적을 실시간 탐지·식별할 예정이다. 실제로 프로젝트 예산은 트럼프 대통령이 1,750억 달러(약 250조원)라고 공개했지만, 미 의회예산처(CBO)는 장기적으로 최대 5,420억 달러(약 778조원), 일부 공화당 의원 및 군사전문가는 “수 조 달러”로 추산하는 등 논란이 계속된다. 이번 계약에서 스페이스X가 주목받는 이유는 실전 배치 경험과 초대형 위성망 구축 역량 덕분이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를 통해 이미 1만기 이상의 위성을 운용 중이며, 정부 영역에서는 ‘밀넷(Milnet)’이라는 별도의 군사기밀 위성통신망과 지상 감시용 위성 인프라 구축에도 핵심 파트너로 부상했다. 이번 프로젝트의 운영 속도 역시 주목할 포인트로, 트럼프 대통령은 임기 내(2028년 전) 골든돔 시스템의 주요 기능이 가동될 수 있도록 일정 단축을 독려 중이다. 반면, 미군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중소벤처기업부가 2025년 '아기유니콘' AI·빅데이터 부문에 선정한 F사라는 팬덤 비즈니스 플랫폼 스타트업이 선정성 높은 성인 콘텐츠를 다수 제공하며 논란이 일고 있다. F사는 2018년 설립 이후 기존 유튜브 등에서 활동이 어려웠던 고수위 성인 콘텐츠 크리에이터들이 많이 유입되면서 해당 카테고리가 확대됐다. 플랫폼 내에서는 수영복이나 란제리 차림을 넘어 일부 전라 수준의 영상도 게시되고, 불법 음란물 유포 우려도 제기된다. 아기유니콘 사업은 기업가치 300억원 이상 혹은 투자유치액 20억원 이상 100억원 미만의 혁신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정부 사업으로, 총 217개 기업 중 50개사를 약 4.3대 1 경쟁률로 선정해 각종 보조금과 50억원 규모의 특별보증, 글로벌 IR 기회 등을 제공한다. 선정 기업은 평균 기업가치 321억원, 매출액 44억원, 투자유치금액 56억원 정도로 AI·빅데이터 등 딥테크 분야가 약 86%를 차지한다. F사 측은 "성인 콘텐츠 문제에 대해 심사 과정에서 충분히 소명했으며, 2022년부터 자체적으로 선정성 콘텐츠에 대해 수수료율 인상과 제재 강화로 매출 비중을 10% 이하로 줄였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연구진이 쌀알보다 작은 실리콘 칩 위에 1마이크론(백만분의 1미터) 이하 두께의 초유체 헬륨을 도포해 세계 최소 규모의 ‘파동 수조’를 만든 연구(Science, 2025년 10월 23일 발표)가 국내외 과학계에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퀸즐랜드대 공식 발표 및 Phys.org, ScienceBlog, arXiv, Ground News에 따르면, 기존 실험실 수로가 수백 미터 길이와 며칠 단위 테스트에 의존하던 것과 달리, 이 칩은 불과 밀리초 만에 실험 데이터를 모으고, 파동의 비선형성을 10만배 이상 증폭시킨다는 평가다. 미세 바다와 초유체 헬륨: 칩 위 파동 수조의 과학적 의미 이 초소형 파동 수조의 결정적 요인은 ‘초유체 헬륨’이다. 초유체 헬륨은 일반적인 액체와 달리 극저온에서 점성 없이 마치 양자역학적으로 움직여, 미세 구조 내에서도 자유롭게 흐른다. 연구진은 굵기 100마이크론(1마이크론=0.001mm) 길이의 칩 전체에 헬륨을 얇게 도포, 레이저를 이용해 파동을 유도하고 광기계적 상호작용으로 실시간 측정을 한다. 정점이 아닌 함몰 형태로 이동하는 솔리톤(Soliton) 이 모두가 그동안 이론적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SK인텔릭스(대표이사 김완성)는 10월 30일 선보인 세계 최초 웰니스 로봇 ‘나무엑스(NAMUHX)’가 ‘CES 2026 혁신상’을 수상하며 혁신 기술력을 글로벌 무대에서 인정받았다고 10일 밝혔다. 1976년에 제정된 'CES 혁신상(CES Innovation Awards)'은 미국소비자기술협회(CTA, Consumer Technology Association)가 매년 1월 개최하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Consumer Electronics Show)를 앞두고, 기술력과 혁신성이 뛰어난 제품에 수여하는 권위 있는 글로벌 상이다. 나무엑스는 인간 중심의 AI Tech를 기반으로 다양한 웰니스 솔루션을 통합 제공하는 세계 최초의 웰니스 로봇으로 혁신성·기술력·디자인·고객가치 등 전 항목에서 높은 평가를 받으며, CES 혁신상을 수상하는 영예를 안았다. 특히 ▲자율주행 및 100% 음성 컨트롤 기반 에어 솔루션(Air Solution) ▲비접촉식 바이탈 사인 체크(Vital Sign Check) 등 AI 기술이 집약된 다양한 웰니스 솔루션을 갖췄다는 점을 높이 평가받았다. 또한 향후에는 차별화된 AI 기술력을 바탕으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10월 말 기준, 뉴럴링크(Neuralink)의 첫 번째 인간 임플란트 환자인 놀란 아바우(Nolan Arbaugh)는 수술 후 21개월 만에 뇌 임플란트를 통해 학업과 직업에서 탁월한 성과를 거두며 자신의 인생을 크게 변화시켰다. 아바우는 2016년 다이빙 사고로 어깨 아래 마비를 겪었으나, 2024년 1월 애리조나의 바로 신경학 연구소에서 뉴럴링크 임플란트를 이식받은 이후 디지털 기기를 생각만으로 조작할 수 있게 됐다. 먼저 아바우는 신경과학 분야에 매진하며 화학, 생물학, 미적분학 예비 과정을 수강하고, 최고 성적을 달성하는 등 학업에서 뛰어난 성취를 이루고 있다. 그는 “현재의 학업 부담은 뉴럴링크 임플란트 없이는 불가능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래 텍사스 A&M에서 공부했던 그는 임플란트를 계기로 신경과학에 대한 깊은 관심을 갖고 대학으로 편입을 준비 중이다. 이 임플란트는 그의 학습 능력을 극대화하며 새로운 지적 도약의 발판이 되고 있다. 직업 분야에서도 아바우는 2025년 9월 유타주 파크시티에서 열린 포춘(Fortune) 주최의 Brainstorm Tech 컨퍼런스에서 유료 기조 연설자로 데뷔했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이재명 정부 출범 4개월이 지났지만 공공기관장의 절반 이상은 여전히 임기가 1년 이상 남아 있고 이 가운데 절반가량은 잔여임기가 2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12·3 계엄 이후부터 새 정부 직전까지 임명된 기관장은 37명으로, 윤석열 대통령 파면 이후 선임된 인사만 21명에 달했다. 반면 이재명 정부 출범 이후 4개월간 신규 임명된 기관장은 1명에 불과해 공공기관장 인사 교체는 지지부진한 상태다. 10월 28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2025년 10월 말 기준으로 공공기관 331곳의 기관장 295명과 상임감사 91명 등 총 386명의 임원 임기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공석을 제외하면 53.4%인 206명이 1년 이상 임기가 남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 유형별로 보면 위탁집행형 공공기관이 45곳 중 28곳(62.2%)으로 가장 많았고, 기타공공기관은 243곳 중 134곳(55.1%), 공기업은 31곳 중 12곳(38.7%), 기금관리형 기관은 12곳 중 4곳(33.3%) 순이었다. 이들 178곳 중 85곳의 공공기관장이 2년 이상 임기가 남아 있으며, 이 가운데 약 70%는 지난해 12·3 계엄 이후 부임한 것으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국마사회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도핑검사에서 금지 약물이 검출된 경주마들의 경주 결과를 그대로 인정하고, 도핑검사 비율도 기존 100%에서 50%로 축소해 경마 공정성에 심각한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이 기간 도핑 적발 경주에 걸린 마권 총액은 약 83억원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금지약물인 테스토스테론과 플루닉신이 검출된 경주마가 1~2위를 차지해 경주 순위 왜곡뿐 아니라 도박시장 신뢰에도 큰 타격을 주고 있다. 금지약물 검출 사례 중 2021년 10월에는 플루닉신 기준치 초과 투여 경주마가 1등을 차지해 약 4억4748만원의 마권이 정상 집행됐고, 2022년 11월에는 테스토스테론 농도 42.4ng/mL이 검출된 경주마가 2위에 올라 9억2708만원 규모 마권이 걸렸다. 2023년에는 79ng/mL의 테스토스테론 검출 경주마가 1위를 기록하며 22억3577만원의 관련 마권이 발생했다. 2024년에는 테스토스테론과 플루닉신이 검출된 경주마가 각각 2위와 1위를 기록, 두 경기에서만 약 47억3532만원의 마권이 정상 처리됐다. 한국마사회는 2018년까지 경주 모든 말에 도핑검사를 시행했으나 2019년부터는 5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108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대경사과원예농협이 새로운 100년을 향한 힘찬 도약을 시작한다. 광역 품목농협인 대경사과원예농협(조합장 서병진)은 10월 21일 대구광역시 동구 동부로 207에 신축된 종합청사에서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번 준공식은 조합원과 임직원의 오랜 염원이 담긴 ‘신축종합청사 시대’의 개막을 알리는 자리로, 역사와 미래가 만나는 뜻깊은 행사로 진행됐다. 새롭게 들어선 종합청사는 대지면적 3378.7㎡(1022평), 지하 2층부터 지상 5층까지 연면적 9119.41㎡(2758.6평) 규모의 현대적 건물이다. 건물 1층에는 금융점포, 하나로마트, 카페, 사과박물관이 자리해 조합원은 물론 지역주민도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특히 광역 품목농협의 특성을 살려, 하나로마트를 통해 경상북도의 우수한 농특산물을 대구 시민에게 소개함으로써 지역 간 농산물 유통의 가교 역할을 수행할 예정이다. 또한 건물 외부에는 사과 조형물과 사과박물관이 들어서, 대한민국 대표 과일인 사과의 상징성과 대경사과원예농협의 108년 역사를 흥미롭게 풀어낸 문화 체험 공간으로 운영된다. 이는 농업과 지역 문화를 융합한 새로운 지역 관광 콘텐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