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앤트로픽(Anthropic)이 2028년까지 700억 달러(약 90조원)에 달하는 매출과 170억 달러(약 22조원)의 현금흐름을 달성할 것으로 전망된다. 이는 경쟁사인 오픈AI가 높은 현금 소진을 지속하는 가운데, 앤트로픽이 기업용 AI 시장에서 유의미한 수익성 경로를 확보하며 입지를 굳혀가고 있음을 보여준다. The Information, TechCrunch, CNBC, IndexBox에 따르면, 앤트로픽은 올해 약 50억 달러 수준인 매출을 시작으로, 내년에는 연간반복매출(ARR)이 9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2026년에는 200억~260억 달러로 급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한 해 API 매출은 38억 달러로, 오픈AI의 18억 달러를 크게 앞서며, 이 중 개발자용 AI 도구인 Claude Code만 해도 7월 4억 달러에서 연간 10억 달러에 육박하는 매출 증가를 기록했다. 앤트로픽은 30만개 이상의 기업 고객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들은 전체 매출의 약 80%를 구성한다. 특히 앤트로픽은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 세일즈포스Salesforce 등 글로벌 IT기업과의 전략적 파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인공지능 기업 오픈AI가 비영리 재단의 통제 아래 공익법인(Public Benefit Corporation, PBC)으로 전환하는 기업구조 개편을 완료했다. 이번 개편으로 마이크로소프트(MS)는 영리 기업인 오픈AI 그룹 PBC의 27% 지분을 약 1350억 달러(약 180조원) 가치로 확보하며 전략적 파트너십을 한층 공고히 했다. Bloomberg, Reuters, CNBC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구조 개편은 오픈AI가 2015년 설립 당시 비영리단체로 출발한 이후 AI 산업 성장과 투자 확대에 따른 자본 조달 필요성에 적응한 결과다. 비영리 통제 아래 영리 공익법인 형태를 유지함으로써, 공익 중심 목표를 지키면서도 투자 유치와 혁신 가속화를 가능하게 했다. 개편 후 비영리 재단인 ‘오픈AI 재단’이 영리 법인을 통제하며, 재단은 약 1300억 달러가치의 지분을 보유한다. 이는 기업 가치가 상승할 경우 재단 지분도 추가로 확대된다. MS는 이번 재편과 함께 오픈AI 지식재산권(IP)과 모델에 대한 독점 접근권을 2032년까지 연장했으며, 이는 범용인공지능(AGI) 모델이 포함된다. AGI가 도달됐다고 선언될 경우 독립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 각지의 미접촉 원주민 부족 절반이 2035년까지 사라질 위험에 처했다고 런던 소재 인권단체 서바이벌 인터내셔널(Survival International)이 2025년 10월 27일 내놓은 보고서에서 경고했다. Survival International, NBC News, PBS, Sky News, Mongabay에 따르면, 현존하는 196개 이상의 자립형 미접촉 원주민 집단 중 약 95%는 아마존 분지에 거주하며, 이들은 수백년 간의 식민지 공격과 외부 질병의 피해를 이유로 고립을 유지하고 있다. 연구진은 이들이 외부 접촉을 거부하는 것은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을 명확히 표현하는 것이라 상황을 설명했다. 보고서는 미접촉 원주민이 직면한 생존 위협 중 가장 큰 것은 대규모 벌목과 광산 개발이라고 지적했다. 벌목이 미접촉 부족의 약 65%, 광산이 약 40%를 위협하며, 또 약 30%는 마약 밀매 및 불법 채굴 범죄 조직의 침입에 노출되어 있다. 농업 대기업의 목축업도 약 20% 지역에 피해를 미치고 있다. 브라질에는 124개 미접촉 부족이 산발 거주하고 있는데, 특히 페루의 마시코 피로 부족은 숲 파괴와 무장 개척자 및 벌목꾼과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인공지능 회사 xAI가 차세대 AI 모델 ‘Grok 5’의 출시를 2026년 1분기로 연기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당초 2025년 말까지 출시하겠다고 했던 계획에서 큰 폭으로 지연된 것이다. The Information, Morningstar, CNBC, 9to5Mac, NAACP, Politico, MarketWatch,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회사는 이번 출시 연기의 배경에 높은 정확성 확보와 허위정보 정화 작업 등 품질 개선에 주력하기 위함이라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Grok 5가 인공지능 일반화(AGI)에 도달할 가능성을 약 10%로 보고 있다. 이번 지연으로 인해 오픈AI, 구글 등 경쟁사들의 추격을 허용하는 양상이다. 법적 공방 가열…애플·오픈AI 상대 반독점 소송 xAI와 모기업 X Corp은 미국 텍사스 서부지방법원에 애플과 오픈AI를 상대로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다. 이들은 애플이 iPhone과 기타 기기에 오픈AI의 챗GPT를 독점적으로 통합해 AI 시장 경쟁을 저해하고 있다고 주장하며 수십억 달러 규모의 손해배상을 청구 중이다. 애플과 오픈AI는 이 소송을 기각해달라는 요청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IT기업 아마존이 이번 주, 전 세계적으로 약 1만4000개의 직책을 감원하겠다는 대규모 조치를 발표하며 시장의 이목을 끌고 있다. 이는 2023년 이후 최대 규모의 정리해고로, 강력한 3분기 실적 발표 직후 나온 결정임에도 불구하고, 회사는 재정적 압박보다는 조직 문화의 재구성과 효율성 제고를 우선시하는 전략으로 해석된다. 강력한 3분기 실적, 주가 급등 주도 indiatoday, CNBC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5년 3분기 매출이 1802억 달러로 집계되어, 전년도 같은 기간보다 13% 상승하며 시장 기대치를 훨씬 상회했다. 애널리스트들은 1778억 달러를 예상했으며, 조정된 주당순이익은 1.95달러로 전망치인 1.57달러를 크게 넘어섰다. 특히 아마존의 클라우드 서비스인 AWS의 성장세가 눈길을 끌었다. AWS는 매출이 전년 대비 20% 증가한 330억 달러를 기록하여, 최근 몇 년간 가장 빠른 확장세를 보여주었으며, 영업이익도 114억 달러에 달해 전체 영업이익의 약 66%를 차지하였다. 이러한 실적 호조는 투자자들의 기대감을 증폭시켜, 이날 아마존의 주가는 시간외 거래에서 10% 이상 급등하는 성과를 보였다. C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이재명 대통령은 31일 경북 경주에서 열린 APEC 정상회의 현장에서 젠슨 황 엔비디아(NVIDIA) 최고경영자(CEO)를 접견하고 AI 생태계 혁신을 위한 대규모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는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 최태원 SK그룹 회장,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 이해진 네이버 의장 등 국내 주요 대기업 총수들도 함께 했다. 엔비디아는 이번 협력의 일환으로 최신 GPU(Graphics Processing Unit) 26만197대를 한국 정부와 삼성전자, SK, 현대차, 네이버 등 국내 대표 기업에 공급하기로 했다. 이 중 네이버에는 6만대, 삼성전자, SK, 현대차에는 각각 5만대씩 배정됐으며, 나머지 5만대는 한국 정부에 공급된다. 이는 현재 국내 보유 GPU 4만5000대 대비 5배 이상 늘어난 규모로, 시장 가치는 약 78억 달러(한화 약 14조8000억원)로 추산된다. 이번 GPU 공급은 AI 컴퓨팅 인프라 구축에 중추적 역할을 할 전망이다. 삼성전자, SK, 현대차는 해당 GPU를 활용해 AI 팩토리 구축, 반도체 공정 디지털 트윈, 자율주행·로봇 등 피지컬AI(실제 하드웨어 기반 AI) 개발에 박차를 가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SNS에서 화제가 된 한 장의 사진은 서울의 한 펫카페에서 유리벽을 사이에 두고 서로를 바라보는 강아지와 고양이의 모습을 담고 있다. 단순한 순간의 교감처럼 보이지만, 이 광경은 국내외 반려동물 문화의 변화, 그리고 사람과 동물 사이의 새로운 관계 형성의 흐름을 잘 보여준다. 국내외 반려동물 양육 및 펫카페 현황 2025년 기준, 한국의 반려동물 인구는 약 1500만명으로 전체 가구의 약 25.4%에 달한다. 반려견과 반려묘는 각각 598만 마리, 258만 마리가 기르고 있어 집집마다 ‘멍냥이’와 함께하는 시대가 열렸다. 세계적으로도 반려동물 인구는 급증 추세로, 독일 시장조사기관 GFK는 22개국 2만7000명 대상 조사에서 평균 33%가 개, 23%가 고양이를 양육한다고 밝혔다. 특히 남미국가(아르헨티나, 멕시코, 브라질)는 반려견 비율이, 러시아·프랑스·미국은 반려묘 비율이 높다고 집계됐다. 국내 펫카페와 반려동물 동반 외식시설도 매년 급증해, 2023년 규제샌드박스 시범사업을 통해 시범 운영된 반려동물 동반출입 음식점은 228곳을 기록했다. 내년 4월부터는 전국적으로 확대될 예정이다. 강아지와 고양이, ‘적’에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얼음의 나라’로 불리는 아이슬란드에서 사상 최초로 모기가 자연 서식하는 현상이 발견되면서 전 세계 기후변화의 심각성을 다시 한 번 일깨우고 있다. 2025년 10월 21일(현지시간) 아이슬란드 자연과학연구소 소속 곤충학자 마티아스 알프레드손(Mattias Alfredsson)은 수도 레이캬비크 북쪽 약 30km 지역에서 암컷 모기 2마리와 수컷 1마리 총 3마리의 줄무늬모기(Culiseta annulata)를 포획했다고 AFP통신과 영국 일간 가디언 등 여러 매체가 보도했다. 아이슬란드는 혹독한 추위와 긴 겨울 덕분에 남극과 더불어 전 세계에서 모기가 서식하지 않는 몇 안 되는 청정지역이었다. 그러나 최근 전 세계 평균보다 약 4배 빠른 속도로 온난화가 진행되면서 여름이 길어지고 겨울은 더 따뜻해지는 등 기후 환경이 변화하고 있다. 예를 들어 2025년 5월 일부 지역의 기온은 평년보다 섭씨 18도 이상 높은 기록적인 폭염을 기록했고, 앞바다에서 발견되는 어종에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는 상황이다. 줄무늬모기는 유럽과 북아시아, 북아프리카 등, 비교적 추운 지역에도 적응력이 높은 종으로 알려져 있다. 이번에 발견된 모기들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발표된 다수의 연구 결과들이 AI와 자동화가 일자리나 임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존의 공포와 달리 일관된 부정적 증거를 찾지 못했다고 밝혔다. 캔터베리 대학교 메타분석, 옥스퍼드대 Frey & Osborne 연구, 아세모글루 & 레스트레포 연구, 맥킨지 2030 데이터센터 투자 전망, MIT 기업 AI 투자 현황, J.P. Morgan AI 노동시장 분석에 따르면, AI 도입과 로봇 확산이 임금의 상승이나 하락을 일괄적으로 이끌고 있다는 확실한 근거는 없다는 것이다. 특히 캔터베리 대학교의 메타분석에서는 52편의 연구에서 수집한 2586개의 임금 영향 추정치를 종합 검토한 결과, 로봇과 자동화가 임금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경제적으로 무의미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과거 예측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인다. 2013년 옥스퍼드대 연구진은 미국 일자리의 47%가 10~20년 내 자동화 위험에 처해 있다고 경고했다. 2017년 노벨경제학자 아세모글루와 레스트레포 연구는 로봇이 실제로 고용과 임금을 하락시키는 구체적 증거를 제시했으나, 이후 발표된 연구들은 이런 부정적 영향의 전면적 실현 가능성에 의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GC녹십자(006280.KS)는 연결재무제표 기준 2025년 3분기 매출이 6,095억원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3일 공시했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1.1% 증가한 수치로, 창립 이래 처음으로 분기 매출 6,000억원을 돌파한 것이다.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92억원, 순이익은 181억원을 기록했다. 회사 측은 알리글로의 지속적인 성장과 처방의약품 매출 확대가 사상 최대 분기 매출을 견인했다고 설명했다. 특히, 주력 제품인 알리글로는 올해 들어 매 분기 성장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전년 동기 대비 117% 매출 성장을 이뤘다. 또한, GC녹십자는 미국의 관세 정책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상반기 중 알리글로 수출 물량을 늘려 현지 재고를 확보했고, 4분기에는 내년도 판매 물량 선적을 진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별도 기준 사업 부문별 매출은 혈장분획제제 1,336억원, 백신제제 919억원, 처방의약품 1,702억원, 일반의약품 및 소비자헬스케어 340억원으로 나타났다. 일부 고마진 제품은 대외 환경 변화의 영향을 받았다. 독감백신은 올해부터 3가 백신으로 전환됐으며, 헌터라제는 상반기에 해외 공급이 집중돼 기저효과로 소폭 감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