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 전 흥미로운 인터뷰 영상을 접했다. 메타의 “수퍼 인텔리전스 팀”을 이끌고 있는 스케일 AI의 창립자 “알렉산더 왕”의 팟캐스트 영상이었는데, 올해 나이 28세인 그는 출산을 보류하고 있다고 했다. 이유인 즉 최근 인간의 두뇌에 칩을 심어 사람의 뇌와 컴퓨터를 직접 연결 후 뇌의 신호를 해석하고 이를 명령이나 데이터로 변환하는 기술이 개발 초기 단계에 있는데, 만약 이것이 상용화 된다면 이후 태어나는 아이는 이를 통해 진정한 초지능 시대를 누릴 수 있기 때문에 태어날 아이를 위해 출산을 미루고 있다고 했다. 인간은 생후 7세 이전 까지가 두뇌 가소성(neuroplasticity)이 가장 높은 시기이기 때문에, 이 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BCI)를 활용한다면 놀라운 방식으로 학습과 인지 방식 측면에서 우위에 설 것이라는 설명이었다. ◆ 그럼에도 코칭은 필요하다 영화에서나 볼 법한 두뇌 칩의 시대가 도래한다면 인간은 지금보다 더 많은 정보를 빠른 시일 내에 습득할 수 있으며, 현상 및 상황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훨씬 수월해질 것이다. 그렇다면 과연 우리에게 굳이 코칭이 필요할까? 필자는 이러한 시대일 수 록 코칭의 중요성은 높아질 것이라고 생각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NASA 연구진은 왜소행성 세레스가 단순한 얼음과 암석 덩어리가 아니라, 과거에 생명체가 존재할 수 있었던 조건을 갖춘 ‘해양 세계’였을 가능성을 제시했다. NASA의 공식발표, CBC, Science Advances, Sci.News등의 보도에 따르면, NASA의 우주생물학 전략 수석 과학자인 데이비드 그린스푼 박사는 2015년부터 2018년까지 NASA의 Dawn(던) 미션이 관측한 세레스의 데이터를 인용하며, 지하의 방대한 염수 저장소와 유기 탄소 분자, 그리고 수십억 년 동안 지속된 화학 에너지 공급원이 발견됐다고 밝혔다. 이는 생명체 존재에 필수적인 3대 요소로 평가된다. 1. 숨겨진 해양 세계의 실체 Dawn 탐사선은 세레스 표면에서 두드러진 밝고 반짝이는 얼룩들이 소금 퇴적층이라는 점을 밝혀냈다. 이 퇴적물은 수백 마일에 걸쳐 약 40km 깊이의 거대한 염수(소금물이 섞인 물) 저장소에서 지하수가 올라와 증발하며 형성된 것으로, 2020년 후속 연구에서 확인됐다. 이러한 염수 저장소는 세레스의 오카토르 분화구 아래 저밀도 지역에 존재하며, 이는 액체 상태의 물이 여전히 일부 존재할 가능성을 시사한다. 또한 에르누테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본 남부와 폴란드 동부의 밤하늘을 각각 수초 간격으로 환하게 밝힌 두 개의 거대한 불덩어리가 전 세계인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NZ Herald, NHK World, 폴란드 현지 경찰 발표, 글래스고 대학교 루크 데일리 교수 인터뷰 등의 자료와 보도에 따르면, 8월 19일 밤 11시 8분경 일본 가고시마 지역 상공에서 발생한 화구는 약 1.6킬로톤의 에너지를 방출하며 폭발해 수백 킬로미터 떨어진 간사이공항 근처까지 눈부신 빛을 던졌다. 동일한 시기, 폴란드 루블린주의 작은 마을 오시니에서는 정체를 알 수 없는 물체가 옥수수밭에 떨어져 폭발을 일으켰고, 인근 주택의 유리창을 깨뜨리는 등 충격을 남겼다. 이번 일본 화구의 에너지는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약 1/40 수준인 1.6킬로톤에 달하는 것으로, 실제로 발생하는 소행성 충돌의 위험성을 상기시키며, 폴란드의 미확인 폭발은 군사용 드론 또는 우주 쓰레기가 갈수록 복잡해지는 글로벌 안보 환경과도 맞물려 주목받고 있다. 일본 현장의 목격자들은 "공기가 달처럼 진동하고, 빛이 너무 밝아 마치 낮처럼 느껴졌다"고 증언했다. 센다이 우주 박물관장 마에다 토시히사는 이 사건을 “하늘에서 펼쳐진 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의 과학자들은 8월 21일(현지시간) 기린이 수십 년 동안 사용되어 온 단일 종 지정 대신, 네 개의 별개의 종으로 분류되어야 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분류학적 변화는 아프리카에서 가장 키가 큰 최대 포유류에 대한 생물학적 이해를 한층 심화시키는 동시에, 기린 보존 및 멸종 위험 평가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Discover Wildlife, U.S. News & World Report, 국제자연보전연맹(IUCN), Sambad English, species ENVIRONMENT, State of Giraffe 2025, globalconservationforce.org 등의 연구결과와 보도에 따르면, 지금까지 아프리카 기린은 하나의 종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유전적 분석과 형태학적 차이 검증을 통해 북부기린, 그물무늬기린, 마사이기린, 남부기린 등 네 개의 종으로 명확히 분리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IUCN 산하 기린 및 오카피 전문가 그룹이 발표한 보고서에 의하면, 네 종은 미토콘드리아뿐 아니라 핵 DNA에서 뚜렷한 유전적 차이를 보이고, 두개골과 골격 구조 또한 종별로 독자적 특징을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최근 호주에서 치사율이 97%에 이르는 ‘뇌 먹는 아메바’로 알려진 파울러자유아메바(Naegleria fowleri)가 수돗물에서 발견되면서 현지 당국이 주민들에게 강력한 주의를 당부했다. 8월 18일(현지시간) 호주 퀸즐랜드 보건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CDC,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의 자료를 비롯해 과학전문 매체 뉴아틀라스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발견은 퀸즐랜드 주 오거셀라와 샤를빌 두 소도시에 공급되는 마을 용수에서 이뤄졌으며, 퀸즐랜드 보건부 의뢰로 퀸즐랜드 대학이 진행한 종합 수질 검사에서 확인됐다. 파울러자유아메바는 주로 섭씨 25~40도 사이의 따뜻한 담수 환경에서 증식하는 단세포 원생동물로, 강, 연못, 호수, 온천, 그리고 관리되지 않는 수영장이나 수돗물 등에서 발견될 수 있다. 이 미생물은 사람간 전염은 없지만, 코를 통해 인체에 침투하면 ‘원발성 아메바성 뇌수막염(Primary Amoebic Meningoencephalitis, PAM)’을 일으킨다. PAM은 두통, 발열, 오심, 구토 등의 초기 증상을 보이다가 증상 발현 5일 후 혼수상태에 빠지며, 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남극 대륙이 이미 돌이킬 수 없는 기후 변화의 임계점에 진입했으며, 이로 인한 급격하고 상호 연결된 변화들이 전 세계에 치명적인 파장을 불러올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최근 발표된 네이처(Nature)지의 발표를 비롯해 CBS News, UNSW Sites, ioes.ucla.edu(Institute of the Environment and Sustainability at UCLA), intellinews, JournalPolar의 연구와 보도에 따르면, 남극 빙상의 붕괴 가능성은 전 지구 해수면 상승을 3미터 이상 초래할 수 있어, 세계 주요 연안 도시들의 생존을 위협하고 있다. 호주 남극청의 수석 과학자 네릴리 아브람 박사는 “다음 세대를 위해서라도 이 위기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례 없는 해빙 손실, 남극 시스템의 근본적 붕괴 신호 남극의 해빙은 이제까지 경험한 적 없는 정도의 급격한 감소를 보이고 있다. 최근 6년간 3차례나 기록적인 최저치를 경신하며 체제 전환(regime shift)이 현실화됐다. UCLA 연구진은 20세기 중반까지 이런 급격한 해빙 손실은 0.1% 미만의, 즉 1000번 중 한 번도 발생하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최근 중국 광저우의 기술 회사 카이와 테크놀로지(Kaiwa Technology)가 인공 자궁을 장착한 휴머노이드 로봇을 통해 인간 임신을 완전하게 수행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주장을 내놓은 가운데, 이를 놓고 진실논란이 일고 있다. 회사 설립자인 장치펑 박사(Dr. Zhang Qifeng)은 2026년까지 수정부터 출산까지 가능한 로봇 프로토타입을 10만 위안(약 1400만원) 수준에 상용화할 계획이라고 발표하며 큰 관심을 불러일으켰다. 하지만 해당 주장은 해외의 다양한 팩트체커들과 학계에서 신빙성 부족 및 허위 가능성이 높다는 반응을 받고 있다. Newsweek, Jamaica Observer, Robotics & Automation News의 보도와 미국 팩트체크 기관 Snopes에 따르면, "장치펑 박사의 학력과 연구 배경을 검증한 결과, 그가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고 알려진 싱가포르 난양공과대학교(Nanyang Technological University)에는 해당 인물이 존재하지 않았다"며 "인공 자궁 연구 자체도 실제로 수행된 적이 없다"고 밝혔다. 발표 후 여러 언론사가 관련 기사를 철회했으며, 시제품이나 임상 데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인공지능(AI) 기술의 폭발적 성장에 힘입어 데이터센터의 냉각용 수자원 소비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2028년까지 미국 데이터센터의 물 사용량이 현재 대비 최대 4배까지 증가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국 로렌스 버클리 국립연구소(Lawrence Berkeley National Laboratory)와 andthewest.stanford.edu(스탠포드 대학교의 Bill Lane Center for the American West가 운영하는 온라인 매거진)의 연구자료와 economictimes, digitalinformationworld등의 보도에 따르면, 2023년 미국 내 데이터센터가 냉각 목적으로 직접 사용한 물의 양은 약 170억 갤런(약 644억 리터)에 이른다. 이 수치는 지난 5년간 2배에서 최대 4배까지 상승할 여지가 있다고 경고한다. 전력 생산 등 간접적인 물 소비까지 포함하면 2023년 총 물 사용량은 2280억 갤런에 달했다. 주요 IT 기업들의 물 사용량도 어마어마하다. 구글은 2023년에만 61억 갤런의 물을 데이터센터에 소비했는데, 이는 매일 올림픽 규격 수영장 26개를 채우는 규모다. 마이크로소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본 자동차 대기업 토요타가 2025년 8월 20일 블록체인 기반 모빌리티 혁신을 위한 최신 프로토콜인 ‘Mobility Orchestration Network(MON)’의 프로토타입을 공식 발표하며 글로벌 모빌리티 생태계 변화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토요타 블록체인 연구소가 제시한 백서에는 모빌리티 산업의 세 가지 근본적 구조적 격차를 해소하고, 재정·운영·법률 측면의 복잡한 관계망을 통합하는 기술적 로드맵이 구체적으로 담겼다. 토요타는 MON을 ‘프로토콜이자 네트워크’로 규정하며, 단일 플랫폼이 아닌 각국과 지역별 규제를 존중하는 상호운용 가능한 생태계 조성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토요타는 “현대 모빌리티 자산은 법적·기술적·상업적으로 다층적인 관계망에 갇혀 있다”며 “등록소, 제조사, 보험사, 운영사, 금융기관이 개별 사일로에 머물러 자산의 가치 측정과 관리가 불투명한 상태”라고 지적했다. ◆ 신뢰를 잇는 ‘세 개의 다리’ MON은 이러한 격차를 극복하기 위해 ▲제도적·기술적·경제적 증명을 결합한 ‘신뢰 번들(Bridge 1)’ ▲신뢰·자본·서비스 네트워크를 연결하는 ‘가치 순환 점화(Bridge 2)’ ▲지역별 자율성을 유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하이닉스가 최근 5거래일 연속 주가가 하락하며 2개월여 만에 최저가로 근접하는 등 약세를 보이고 있다. 8월 21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SK하이닉스는 전일 대비 4.11% 빠진 24만5000원에 마감해 6월 13일 기록한 23만5500원 이후 최저가에 접근했다. 최근 5거래일간 주가가 약 11.87% 하락하는 등 투자 심리가 크게 위축되고 있다. 주가 급락의 배경에는 복합적 악재가 작용하고 있다. 먼저 인공지능(AI) 산업에 대한 과열된 투자 우려가 증시에 직격탄을 가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최근 언론 인터뷰에서 AI 관련 주가가 "이미 통제 불능 수준의 거품"이라며 거듭 투자 과열을 경고했다. 올트먼 CEO는 투자자들이 AI 기업 가치를 지나치게 부풀리고 있다고 언급하며 AI 산업에 대한 과도한 기대가 조정 국면을 맞았음을 시사했다. 이 영향으로 미국 나스닥과 필라델피아 반도체 지수 등이 동반 하락세를 나타냈고, SK하이닉스 주요 고객사인 엔비디아 주가도 연일 부진했다. 또 글로벌 금융시장은 8월 22일 예정된 연방준비제도(Fed) 의장 제롬 파월의 잭슨홀 미팅 발언을 앞두고 불확실성에 따른 경계감이 확산돼 투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