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08 (수)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빅테크

[빅테크칼럼] 구글, 2년 연속 노벨상 수상…AI·양자컴퓨팅서 ‘선두주자’ 입증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이 올해 노벨상 수상자를 또 배출하며, 인공지능(AI)·양자컴퓨팅 분야에서 기술 혁신의 ‘총아’임을 다시 한 번 세계에 각인시켰다.

 

로이터, NYT, 포춘, 네이처, 유로뉴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구글 공식 블로그, 노벨재단 공식자료에 따르면, 2025년 노벨 물리학상은 구글 퀀텀AI(Quantum AI) 수석 과학자 미셸 드보레(Michel Devoret), UC샌타바버라 출신으로 구글 양자컴퓨터 하드웨어 총괄을 역임한 존 마티니스(John Martinis), UC버클리 명예교수 존 클라크(John Clarke)가 공동 수상했다.

 

양자컴퓨터 ‘거시현상’의 실증, 상용화의 문 열다

 

올해 수상은 1980년대 이들이 초전도회로(Josephson Junction) 실험에서 맥락적 양자역학 현상이 거시적인 전기회로에서 구현될 수 있음을 입증한 데 기인한다. 기존엔 원자·소립자 등 극미 세계에서만 관찰되던 ‘양자 터널링’과 ‘에너지 양자화’가 실리콘 칩 위의 전기회로에서 실험적으로 검증됐다.

 

이 실험적 혁신을 토대로, 현재 구글 퀀텀팀의 양자컴퓨터(시커모어 등)는 2019년 ‘양자 우위(quantum supremacy)’를 세계 최초로 달성, 슈퍼컴퓨터가 1만년 걸릴 계산을 200초 만에 완료했다는 결과를 발표하며 정보기술 역사에 한 획을 그은 바 있다.

 

이들의 원천 기술은 양자 암호화·슈퍼컴퓨터·첨단 센서 등 산업 직결 적용성을 높였다는 평가다. 노벨위원회와 주요 매체는 “양자현상의 직접 제어를 가능케 한 실험은 차세대 국가경쟁력으로 이어질 파급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수상자들은 110만 크로나(120만 달러) 상금을 공동 수령할 예정이다.

 

2024년엔 화학·AI ‘노벨상 트리플크라운’


구글은 지난해(2024년)에도 노벨상을 휩쓸었다. 구글 딥마인드 데미스 허사비스(Demis Hassabis) CEO와 존 점퍼(John Jumper)가 단백질 구조 예측 AI ‘알파폴드(AlphaFold)’ 개발로 노벨 화학상을 공동 수상하며, AI가 생명과학과 신약개발 등 실용분야에 큰 지각변동을 일으킨 사례로 꼽혔다. ‘AI 대부’ 제프리 힌턴(Geoffrey Hinton)도 AI 신경망 발전 공로로 물리학상에 등재됐다.

 

현역·퇴직 인력을 포함해 2년 연속 5명의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하며, 구글은 AI와 양자컴퓨팅 양대 미래산업 기술의 글로벌 트렌드를 주도하게 됐다.

 

글로벌 기술 패권 경쟁 ‘가속’


구글 계열 수상자들이 알파폴드, 양자컴퓨터, 신경망 딥러닝 등에서 세계적 표준을 제시하면서, 마이크로소프트·IBM·중국 빅테크 등 경쟁사들도 AI·양자 연구개발 투자를 크게 늘리고 있다. 노벨상 2관왕 기업은 드물며, 최근 2년 5명이 수상한 경우는 구글이 유일하다.

 

주요 외신들은 “기초 과학부터 실용 AI·양자에 걸친 구글식 혁신모델이 앞으로도 기술 패권경쟁의 핵심 기준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빅테크칼럼] 아스트라제네카, AI 접목 CRISPR 유전자 편집에 5억5500만 달러 투자…"면역질환 신약 개발 가속화"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영국-스웨덴 제약 대기업 아스트라제네카는 미국 샌프란시스코 소재 바이오 스타트업인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Algen Biotechnologies)와 5억5500만 달러(한화 7800억원) 규모의 계약을 체결해 인공지능(AI)을 활용한 CRISPR 유전자 편집 치료제 개발에 착수했다. 로이터, 비즈니스와이어, 프리스탁, 마켓앤마켓, 프리시던스리서치에 따르면, 이번 계약으로 아스트라제네카는 알젠의 AI 기반 유전자 편집 플랫폼에서 도출되는 치료제 개발과 상업화에 대한 독점권을 확보했다. 알젠은 초기 지급금과 개발·규제·상업적 마일스톤 달성에 따른 최대 5억5500만 달러를 수령한다. 알젠 바이오테크놀로지스는 노벨 화학상 수상자 제니퍼 도우드나(Jennifer Doudna)의 버클리 연구실에서 분사한 기업으로, AI와 CRISPR 기술을 접목한 ‘알젠브레인(AlgenBrain)’ 플랫폼을 통해 수십억 건의 RNA 변화를 모델링하며 질병 진행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정밀 분석한다. 이를 통해 질병의 원인 유전자 치료 타깃 발굴을 가속화하고, 신약 개발 성공 가능성을 높인다는 목표다. 이번 협력은 면역계 질환을 우선 목표로 삼고 있으며, 아스

[이슈&논란] 구글코리아, 법인세는 '찔끔' 유튜브 가격인상은 '왕창'…네이버와 형평성 문제·세원 잠식 '논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빅테크 구글코리아가 네이버 등 국내 경쟁사 대비 현저히 낮은 법인세만 납부하면서, 동시에 유튜브 프리미엄 요금은 최근 5년간 무려 71% 넘게 인상했다는 지적이 거세지고 있다. 7일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 소속 최수진 국민의힘 의원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가 실제 납부한 법인세는 172억원(1720만 달러)으로, 네이버의 3902억원에 비해 4% 수준에 불과하다. 구글코리아는 지난 한 해 최대 11조3020억원의 매출을 올렸다는 학계 추정과 달리, 공식 매출은 3869억원만 신고했다. 국내 데이터 트래픽 점유율은 31.2%로 네이버(4.9%)의 6배가 넘는 반면, 매출과 세금 신고는 터무니없이 낮아 ‘세원 잠식’ 논란이 거세다. “최대 11조원 매출…실납부세액은 172억원, 네이버의 4%” 가천대 전성민 교수 연구에 따르면 2024년 구글코리아의 실질 매출은 최대 11조3000억원~최소 4조8360억원으로 추산된다. 이를 네이버의 평균 법인세율(5.9%)로 적용하면 납부세액은 6000억원대를 훌쩍 넘겼을 것으로 분석됐다. 반면 구글코리아의 실제 신고 매출은 3869억원, 법인세 납부액은 172억원에 불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