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9월 3일 중국에서 열린 열병식에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불멸에 이를 수 있다”, “인간이 150살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고 언급해 장수 산업에 대한 관심이 전세계적 관심으로 떠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실리콘밸리의 억만장자부터 할리우드 스타, 그리고 글로벌 정치 지도자까지 전례 없는 규모로 장수 산업에 베팅하며 ‘불멸(immortality)의 꿈’을 현실화하려는 움직임이 가속화되고 있다. 최근 25년간 이 분야에 투입된 투자금액은 약 125억 달러(한화 17조원)에 달한다는 월스트리트저널(WSJ)을 비롯해 비즈니스 인사이더, 타임, 로이터등의 글로벌 자료들이 이를 뒷받침한다.
대표적 투자자로는 팔란티어의 피터 틸, 오픈AI의 샘 올트먼 등이 꼽힌다. 틸은 12여개 기업을 통해 장수 관련 산업에 7억 달러 이상을 투자했고, 올트먼은 세포 노화 역전을 목표로 하는 스타트업 레트로바이오사이언스에 1억8000만 달러를 쏟아부었다.
이 밖에도 구글의 에릭 슈밋, 조 론스데일, 그리고 바이오 기업 뉴리미트 등에는 억만장자 9명 이상이 2억 달러 이상을 모았다. 전 세계적으로 200여개 이상의 장수 스타트업과 비영리 연구소가 총 125억 달러 이상의 자금을 유치하며 장수 생태계를 구성 중이다.
투자 동기는 대개 개인적인 경험과 희망에서 비롯된다. 비옴라이프사이언스 창업자 나빈 자인은 아버지를 췌장암으로 잃은 후 맞춤형 건강검사 및 영양보충제를 개발하는 데 3000만 달러를 투자하며 “노화를 선택사항으로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모더나 스테판 방셀 CEO도 단식 모방 다이어트 연구에 4700만 달러를 투자하며 장수 연구에 동참했다.
배우들도 장수 산업에 적극 가세하고 있다. 케빈 하트, 맷 데이먼 등 톱스타들이 펑션헬스와 같은 건강·생활습관 분석 업체에 투자하여 시장 확장에 힘을 보태고 있다. 미국 연예인 및 인플루언서들의 투자 소식은 글로벌 장수 산업의 대중적 관심과 투자 확대를 증명한다.
장수 산업의 시장 규모도 폭발적으로 커지고 있다. 글로벌 장수 시장은 2023년에 약 650억 달러 매출을 기록했고, 2030년까지 314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연평균 복합 성장률(CAGR)은 25.2%에 달할 정도로 고성장 산업으로 각광받고 있다. 이 시장은 예방 헬스케어, 생명공학, 재생 의학, 노화 방지 치료와 제품, 디지털 헬스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
특히 최근 중국 시진핑 국가주석과 러시아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9월 초 베이징에서 열린 군사 퍼레이드 중 생방송 도중 ‘인간 수명 150세 가능성’과 ‘불멸’ 연구에 관한 대화를 나누면서 장수 산업에 대한 글로벌 정치권의 관심도 드러냈다.
푸틴 대통령은 의학적 진보와 장기 이식 수술을 통해 활동 수명이 크게 연장될 것이라며 “5년 뒤에는 인간이 더 젊어지고 불멸에 이를 수도 있다”고 전망했다. 시진핑 주석 역시 “과거에는 70세까지 살기 힘들었지만 이제는 70세도 어린애와 같으며, 이번 세기에 150세까지 살 수 있을 것”이라 말했다.
국제 사회에서는 이번 대화가 첨단 바이오 기술에 대한 경쟁과 국가 전략적 관심을 상징하는 장면으로 평가된다. 유엔 보고서에 따르면 2050년에는 65세 이상 인구가 5세 이하 어린이보다 많아지는 고령화 사회가 본격화되며, 이에 따른 사회·경제적 영향이 막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장수 산업은 단순한 생명 연장뿐 아니라 고령화 사회 대응 차원에서 필수 산업으로 떠오르고 있다.
결국 억만장자와 글로벌 스타, 정치 지도자들이 앞다투어 장수 산업에 투자하는 것은 인류의 ‘건강 수명’과 ‘활력 있는 장수’에 대한 강한 열망과 맞물려 빠르게 성장하는 글로벌 미래 산업의 중심으로 자리잡는 중이다. 시장 규모가 커지고 투자 액수가 폭증하는 가운데, 바이오 기술과 맞춤형 건강관리, 생활습관 분석, 노화 방지 약물 등 다양한 영역에서 혁신이 가속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