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가 2025년 3분기(7~9월) 실적에서 매출은 역대 분기 최고치인 281억 달러를 기록했으나, 순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37% 급감한 13억7000만 달러에 머물렀다. 주당 순이익은 0.50달러로 월가 예상치 0.54달러에 미치지 못했다. 매출은 전년 대비 12% 성장해 월스트리트 전망치 263억7000만 달러를 상회했으며, 총이익률은 18%로 예상(17.5%)을 소폭 웃돌았다. 특히 테슬라는 1분기, 2분기 연속 감소세를 보였던 매출이 3분기 들어 성장세로 전환했다. Reuters, Electrek, CNBC, StockTitan, TipRanks, Tesla IR에 따르면, 매출 중 대부분을 차지하는 자동차 부문은 6% 증가한 212억 달러를 기록했고, 3분기 차량 인도량은 전년 대비 7% 증가한 49만7000여 대에 달했다. 이는 미국의 전기차 세제 혜택 종료가 임박하면서 구매가 집중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한편 탄소 배출권 매출은 지난해 동기 대비 44% 급감한 4억1700만 달러로, 순이익 감소에 주요 원인으로 지목됐다. 또 관세 상승, 구조조정 비용 증가, 연구개발 및 인공지능(AI) 관련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미국 CNN이 2025년 10월 18일 발표한 ‘세계 50대 빵’ 명단에 한국 대표 빵으로 ‘계란빵(Gyeran-ppang)’이 이름을 올렸다. CNN은 계란빵을 “1인분 크기의 빵 안에 계란 한 알이 통째로 들어가 있어 빵 속에 보물이 숨겨진 것 같다”며 “서울 길거리에서 아침 식사나 하루 중 언제든지 따뜻하게 즐기는 인기 메뉴”라고 소개했다. 계란빵 선정 기준에 대해서는 페이스트리 셰프 출신 작가 젠 로즈 스미스가 “나라별 다양성, 기억에 남는 맛, 독특한 재료, 상징적인 의미, 먹을 때 주는 소박하고 따뜻한 즐거움”을 반영했다고 밝혔다. 이날 명단에는 한국 외에도 프랑스 바게트, 이탈리아 치아바타, 일본 카레빵, 미국 비스킷, 멕시코 토르티야, 중국 샤오빙 등 50개국 대표 빵이 포함됐다. 50국 대표 빵을 뽑으며 알파벳 순(나라 이름)으로 정렬했을 뿐, 순위를 따로 두진 않았다. 계란빵의 고향은 인천으로, 인천 미추홀구 인하대학교 후문이 원조 판매지다. 인하대 후문 ‘원조통계란영양빵’ 가게는 1984년 11월 문을 열었으며, 당시 100원부터 판매를 시작했다. 이 가게는 40년 가까이 지역 학생들과 지역 주민들의 사랑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10월 26일 일요일, 전 세계 주요 이슈는 미국의 외교 전략과 아시아의 국제정세에 관심이 모아진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은 사실상 핵보유국이다. 김정은 위원장이 준비되면 만날 용의 있다”고 발언하면서 한반도 정세가 들썩였다. 이는 APEC 회의가 열리는 경주 인근에서 미중 정상회담이 예정된 가운데 나온 발언으로, 외교적 파장이 예상된다. 역사적으로 10월 26일은 국내외 정치 역사에서 의미가 큰 날이다. 왜냐하면 10월 26일은 세계적으로 ‘운명의 아이러니’가 깃든 날짜로, 역사적 거물의 탄생과 죽음이 맞닿은 날이다. 힐러리 클린턴 미국 대통령 후보, 미테랑 프랑스 대통령, 러시아 볼셰비키 혁명 지도자로 스탈린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테슬라가 2026년 2분기 미국 텍사스 기가 팩토리에서 완전 자율주행 로보택시 ‘사이버캡’ 대량생산에 돌입한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발표는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2025년 10월 23일(현지시간) 3분기 실적 발표에서 직접 밝힌 내용으로, 사이버캡에는 스티어링 휠이나 페달 없이 오로지 자율제어만 가능하도록 설계된 것이 특징이다. ackodrive.com, scanx.trade, Electrek, ArenaEV, WebProNews에 따르면, 머스크는 “테슬라가 무감독 완전자율주행(FSD, Full Self-Driving) 기술을 100% 달성할 것”이라며 “역대 최대 규모의 생산확장”이라 언급했다. 사이버캡은 이미 2024년 10월 첫 콘셉트 공개 이후 논란과 기대를 동시에 받아왔다. 실물이 없다는 의혹이 불거졌지만, 머스크는 직접 “사이버캡에 수동조작 장치는 절대 탑재하지 않는다”고 밝히는 등 완전 자율주행 기술에 대한 신념을 재확인했다. 테슬라의 사이버캡은 오로지 로보택시 플랫폼을 위한 전략적 모델로, 향후 테슬라의 차량 생산 중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할 전망이다. 느린 시장 도입과 사용자 반응 하지만 테슬라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10월 하늘은 천문 관측 애호가들에게 사상 드문 이중 혜성 관측 기회를 제공한다. Space.com, Economic Times, Sky & Telescope, Astronomy Magazine, Star Walk, CNN, NASA에 따르면, 태양계 외곽에서 날아온 혜성 C/2025 R2 (SWAN)가 오는 10월 21일 지구에 약 0.26천문단위(약 2400만 마일)까지 근접하여 최상의 관측 조건을 갖춘 가운데, 동시에 북서쪽 하늘에서는 두 번째 혜성 C/2025 A6 (Lemmon)이 빛을 발하고 있다. 이 두 혜성은 각각 6등급대와 4등급대의 밝기로, 어두운 도시 외곽 지역에서는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 없이도 보일 가능성을 열어둔다. C/2025 R2 (SWAN)는 9월 12일 태양에 가장 가까운 근일점을 통과한 이후 태양열에 의해 핵의 얼음이 기체로 직접 승화하면서 특유의 녹청색 꼬리와 함께 밝기를 급격히 증가시켰다. 현재 밝기는 약 5.6~6.1등급으로 관측 데이터를 봤을 때 대부분의 도시에서는 육안 관측이 쉽지 않으나, 쌍안경이나 소형 망원경으로는 남서쪽 저녁 하늘에서 일몰 후 45분에서 90분 사이에 관측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대표적인 대형 기술 기업군인 이른바 ‘Tesla (TSLA)·Apple (AAPL)·Microsoft (MSFT)·Alphabet (GOOGL)·Amazon (AMZN)·Meta Platforms (META)·Nvidia (NVDA)’ 이른바 ‘매그니피센트 7(Magnificent 7)’이 이번 주부터 2025년 3분기(7~9월) 실적 발표 시즌을 시작한다. 하지만 인공지능(AI) 투자에 대한 거품 논란과 클라우드·전기차 시장의 구조 변화 등 리스크 요인이 커지는 가운데 이들 기업이 호실적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시장의 최대 관심사다. 주요 실적 일정 및 시장 기대 전기차 업체 테슬라는 10월 22일 장 마감 후 실적을 발표하며 이번 시즌의 포문을 연다. 이어서 마이크로소프트 (MS)와 Alphabet (GOOGL)(구글)은 10월 29일 실적을 내놓을 예정이며, 아이폰 제조사인 애플과 아마존은 10월 30일 실적 발표가 예정돼 있다. 증권사 및 팩트셋(FactSet) 집계에 따르면, 이 ‘매그니피센트 7’의 3분기 잠정 실적 성장률은 전년 대비 약 +14.9% 수준으로 예상된다. 반면, S&P 500 전체의 3분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구글 CEO 순다르 피차이가 소셜 미디어 X에서 생각하는 이모지로 제미나(Gemini )3.0 출시가 임박했다는 사실을 간접적으로 알리면서 AI 업계의 긴장감이 극에 달하고 있다. businessinsider, 로이터에 따르면, 이번 암시적인 제스처로 구글이 오픈AI의 챗GPT에 도전하는 결정적인 전환점을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확산됐다. 제미나이3.0은 뛰어난 코딩 능력과 멀티미디어 생성 기능이 대폭 강화된 차세대 AI 모델로, 구글이 지난 10월에 밝힌 올해 말 출시 일정에 근접해 있다. 제미나이3.0에 탑재될 주요 기능으로는 여러 단계에 걸쳐 고도화된 추론 능력을 지원하는 Deep Think 아키텍처, 몇 초 내에 2,000줄 이상의 고기능 코드를 생성하는 코드 생성 능력의 대폭 향상, 그리고 텍스트, 이미지, 오디오, 비디오를 아우르는 멀티모달 능력 확장 등이 있다. 더욱이, 기존에 구글의 바이럴 이미지 생성 도구인 나노 바나나(Nano Banana)의 업그레이드 버전도 포함돼 제미나이앱의 월간 사용자 수가 6억5000만명에 달하며, AI 상용화의 저변 확대에 기여하고 있다. 구글은 이번 제미나이3.0 출시에 클라우드 인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마이클 세일러(Michael Saylor) 마이크로스트래티지(MicroStrategy) 회장이 10월 19일(현지시간), 그의 시그니처인 비트코인(BTC) 누적 보유량 추적 차트를 공유했다. 그는 “가장 중요한 주황색 점은 항상 다음 점이다(The most important orange dot is always the next)”는 메시지를 남겨 암호화폐 시장에 큰 파장을 일으켰다. 이는 기업 비트코인 매수 전략의 지속을 의미하는 신호로 해석되며, 세일러 회장이 대규모 추가 매수를 예고한 것이 아니냐는 관측이 힘을 얻고 있다. Cointelegraph, Coindesk, Coincentral, Bitwise, Tradingview, Cointribune, Yahoo Finance에 따르면, 현재 마이크로스트래티지는 총 64만250 BTC를 보유해 전 세계 비트코인 공급량의 약 2.5%를 차지하며 기업 투자자 중 단연 선두를 굳건히 지키고 있다. 이 비트코인의 현재 가치는 약 690억 달러(한화 약 90조원) 수준이며, 평균 매입 단가는 약 7만4000달러로, 약 210억 달러(약 27조원)의 미실현 이익을 품고 있다. 최근에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이탈리아 현대미술의 거장 마우리치오 카텔란(Maurizio Cattelan)의 18캐럿 순금 변기 조각품 '아메리카(America)'가 세계 경매 시장에 다시 등장한다. CNN, 뉴욕타임스, BBC, ARTnews에 따르면, 뉴욕 소더비는 2025년 11월 18일 이 작품을 약 1000만 달러(한화 143억원)의 시작가에 내놓을 예정이며, 이는 변기에 포함된 순금 무게(약 101.2kg, 223파운드)의 시세를 기준으로 한 역사상 최초의 경매 시작가 산정 방식이다. 약 1000만 달러는 최근 금 시세 급등을 반영한 금괴 가격과 맞먹는 수준이다. '아메리카'는 2016년 처음 제작되어 뉴욕 구겐하임 미술관에 설치된 후 공공이 직접 사용하는 예술작품으로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당시 방문객들은 3분 예약을 통해 이 황금 변기를 사용할 수 있었으며, 10만명 이상의 인파가 몰려 예술과 일상이라는 경계를 허무는 독특한 체험의 장을 제공했다. 그러나 2019년, 같은 작품의 또 다른 에디션이 영국 블레넘 궁전에서 도난당하면서 미술품 절도 범죄로도 악명 높아졌다. 절도범들은 변기를 훔친 뒤 궁전 내 침수와 구조적 피해까지 초래했고, 변기는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최근 국내외에서 “rnicrosoft.com”와 같은 교묘하게 알파벳을 바꾼 피싱 이메일이 급증하는 가운데, 사용자·기업 피해가 폭발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Economic Times, Trustwave에 따르면, 전문가들은 이러한 수법을 ‘호모그래프(homograph) 공격’ 또는 ‘도메인 스푸핑(domain spoofing)’이라고 부르며, 사이버 범죄자들이 시각적 유사성을 이용해 정교한 속임수 이메일을 보내고 있다고 분석한다. 호모그래프 공격의 원리 호모그래프 공격은 유명 도메인의 알파벳 일부를 닮은 글자(예: ‘m’→‘rn’)로 교체해 정식 도메인과 시각적으로 거의 구분이 안 되는 피싱 주소를 만든다. 대표적 사례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