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해 4월 경기도 시흥시 월곶동 시화MTV 서해안 우회도로 건설 현장에서 발생한 교량 상판 구조물 붕괴 사고와 관련해 국토교통부가 시공사인 SK에코플랜트와 계룡건설에 대해 각각 6개월 영업정지 처분을 내렸다. 이번 처분은 오는 12월 1일부터 내년 5월 31일까지 시행된다. 사고 발생 당시 거더를 교각 위에 올리는 과정에서 거더가 파단 및 충돌하며 교량 상판 9개가 연쇄적으로 붕괴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50대 근로자 1명이 사망하고, 다른 작업자 5명과 시민 1명 등 6명이 부상을 입었다. 국토부는 사고 원인으로 안전관리 미흡과 공사 현장 관리의 부실을 지적했다. 경찰은 현장소장 등 6명과 하도급업체 관계자 2명을 업무상 과실치사상 혐의로 검찰에 송치한 상태다. SK에코플랜트와 계룡건설은 컨소시엄 형태로 해당 공사를 진행했으며, 두 회사 모두 이번 행정처분에 불복해 법적 대응에 나선다. SK에코플랜트는 “시공 품질에 문제는 없었으며 안전관리 의무도 충분히 이행했다”는 입장을 밝히고 법적 절차를 통한 소명을 예고했다. 계룡건설 역시 집행정지 가처분 신청과 행정처분 취소소송을 계획하고 있다. 만약 가처분 신청이 받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가 대규모 인공지능(AI) 투자와 사업체질 혁신을 기반으로 역사적인 시가총액 4조 달러(약 5200조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다. CNBC, Reuters, Microsoft Investor Relations, Al Jazeera, Bloomberg, Yahoo Finance에 따르면, 10월 17일 종가 기준 마이크로소프트의 주가는 513.58달러로, 회사 시가총액은 약 3.82조 달러에 달해 세계에서 두 번째로 4조 달러 클럽에 진입하려는 기업이 됐다. 단 한 개의 경쟁사인 엔비디아(Nvidia)와 함께 AI 시장을 이끄는 양대 주자로 부상한 모습이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이러한 성장세는 AI 인프라 투자와 클라우드 사업의 폭발적 성장, 그리고 AI 혁신을 중심으로 한 조직 재편에서 비롯된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AI 관련 대규모 파트너십과 인수합병을 잇달아 체결하며 시장을 선도하는 중이다. 9월에는 5년간 약 174억 달러 규모의 네비어스(Nebius)와의 AI 인프라 계약을 맺어, 1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칩을 전용으로 확보, AI 모델 학습과 개발에 필수적인 컴퓨팅 자원을 대거 증강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베이징인공지능연구원(BAAI, Beijing Academy of Artificial Intelligence)이 개발한 35킬로그램 무게의 Unitree G1 휴머노이드 로봇이 자기 몸무게의 40배에 달하는 1400킬로그램(약 3086파운드) 자동차를 견인하는 데 성공했다. 132cm의 키를 가진 이 로봇은 지난 10월 28일 소셜 미디어에 시연 영상이 공개되며 세계적인 주목을 받았다. Digital Trends , Interesting Engineering, CCTV Finance 보고서, BAAI 공식 트위터 계정, South China Morning Post에 따르면, 이번 성과의 핵심은 로봇의 단순 근력보다 고도화된 ‘균형 제어 알고리즘’에 있다. 평평하고 마찰이 거의 없는 표면에서 자동차를 끌었음에도, 로봇은 급격히 뒤로 기울이는 동시에 미끄러운 바닥 위에서 발과 다리를 빠르게 움직여 균형을 유지하며 안정적인 견인을 수행했다. 즉, 1400kg이라는 무게보다도 이를 견디며 안정적으로 움직이는 ‘동적 평형 제어’ 기술이 기술적 돌파구로 평가된다. BAAI는 시연 하루 전 ‘THOR 시스템(Towards Human-lev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지난 10월 27일 공개한 자료에 따르면, 매주 100만명 이상의 챗GPT 사용자가 자살 관련 대화를 나누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오픈AI 공식 발표 및 GPT-5 시스템 카드, BBC, Wired, Sky News, TechCrunch, Rolling Stone, NBC News에 따르면, 오픈AI측은 주간 활성 사용자 8억명 중 약 0.15%에 해당하는 120만명 이상이 자살 계획 또는 의도가 담긴 대화를 나누고 있다고 밝혔다. 이러한 수치는 AI 기반 챗봇 중에서 처음으로 공개된 정신건강 위기의 구체적 규모다. 이와 더불어 약 0.07%의 사용자는 정신병(조현병) 또는 조증과 연관된 증세를 대화에서 보였으며, 0.15% 사용자는 챗GPT에 지나친 정서적 의존을 보임으로써 현실 관계와 책임에 악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고 전했다. 오픈AI는 이처럼 극히 드물지만 복잡한 민감 대화 응답을 개선하기 위해 전 세계 170명 이상의 정신건강 전문가와 협력하여 GPT-5 모델을 업그레이드했고, 이에 따라 민감 대응 오류가 65-80% 감소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사태의 심각성은 법적 문제로도 현실화되고 있다. 2025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JP모건 체이스는 최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Money 20/20 컨퍼런스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 분야를 선도하는 ‘거물급’ 기술 기업 중 하나로 리플(Ripple)을 공식 인정하며, 디지털 금융 시대의 중추적 역할을 강조했다. disruptafrica.com, timestabloid.com, williamfry.com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Juniper Research가 15개 글로벌 CBDC 플랫폼 중 리플의 XRP 기반 솔루션을 1위로 평가한 데 이어 나온 것으로, 리플이 전세계 금융 인프라 혁신의 중심에 있음을 입증한다. 리플의 CBDC 플랫폼은 XRP Ledger를 바탕으로 개발돼 중앙은행이 디지털 자산을 발행하고 관리하며 안전하고 즉각적인 결제를 가능케 하며, 이미 부탄, 콜롬비아, 조지아 등 여러 국가의 CBDC 파일럿 프로그램에 활용되고 있다. 중국, 인도, 러시아와 같은 대형 경제권도 CBDC 고도화 단계에 접어들며 리플 기술에 대한 국제적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JP모건은 이번 컨퍼런스 자료에서 리플을 블록체인 기반 국경 간 결제 및 CBDC 영역을 혁신하는 핵심 기업으로 소개했다. 한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2025년 10월 유럽 시장에서 올해 들어 가장 가파른 월간 판매 감소를 기록했다. 일부 국가에서는 판매량이 최대 89%까지 급감하며 유럽 내 입지가 크게 흔들리고 있다. Reuters, Electrek, Bloomberg, Gizmodo, CarbonCredits,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스웨덴에서는 지난달 테슬라 신차 등록 대수가 133대에 불과해 전년 대비 88.7%나 하락했다. 덴마크도 86% 감소했으며, 노르웨이와 네덜란드에서는 각각 50.2%와 47.9%의 판매 급락이 나타났다. 스페인에서는 31%의 감소율을 기록했다. 반면 프랑스는 유일하게 전기차 보조금 정책 덕분에 2개월 연속 소폭 성장(2.4%)을 보였다. 이 같은 급감은 전체적인 유럽 전기차 시장 내 테슬라의 점유율 하락과 맞물려 있다. 2025년 9월까지 유럽 내 테슬라 판매는 2024년 동기 대비 28.5% 감소했으며, 시장 점유율은 16.8%에서 7.7%로 55% 급감했다. 특히 중국 전기차 업체 BYD가 급부상해 지난 8월 두 달 연속 테슬라 판매량을 넘어섰으며, 9월에는 EU 내 판매가 272% 급증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대기업 오너 일가의 혼인에서 과거에는 정·관계와 사돈을 맺는 ‘정략결혼’이 많았으나 최근에는 재계 및 일반인과 혼맥을 잇는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대기업 총수 일가의 혼맥이 사업을 확장하는데 필요한 연결고리를 만드는 수단에서 벗어나, 서로를 잘 이해하는 기업이나 개인의 선택을 존중하는 방향으로 변화한 것이다. 실제로 2000년 이전에는 총수일가의 24.2%가 정·관계와 혼맥을 형성했지만, 2000년 이후에는 7.4%로 급감했다. 반면, 2000년 이전 39.2%를 차지했던 재계 집안 간 혼맥은 2000년 이후에는 48.0%로 확대됐고, 연예인을 포함한 일반 가계와의 혼맥도 24.6%에서 31.4%로 늘었다. 11월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2025년 지정 총수가 있는 공시대상기업집단(이하 대기업집단) 81곳의 총수일가 중 혼맥 분류가 가능한 380명을 조사한 결과, 오너 2세는 정·관계 혼맥 비중이 24.1%에 달했지만 오너 3세는 14.1%, 오너 4~5세는 6.9%로 크게 감소했다. 오너 2세 중 정·관계와 새로운 혼맥을 맺고 있는 대표적인 사례로 HD현대, LS, SK를 들 수 있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10월 20일 새벽(미국 동부 표준시 기준 오전 3시 5분경)부터 발생한 아마존 웹 서비스(AWS)의 대규모 장애는 전 세계 주요 플랫폼에 광범위한 충격을 안겼다. 스냅챗 Snapchat, 포트나이트 Fortnite, 코인베이스 Coinbase, 로빈훗 Robinhood, 퍼플렉시티 Perplexity AI 등 수십여 개의 인기 서비스가 몇 시간 동안 접속 불능 상태에 빠지면서 수백만명의 사용자가 불편을 겪었다. Amazon AWS 공식발표, Tom's Hardware, Hindustan Times, Al Jazeera에 따르면, 특히 이 장애는 미국 버지니아 북부의 AWS US-EAST-1 리전에서 발생한 DynamoDB API 엔드포인트의 DNS 해결 문제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됐다. AWS 측은 장애 발생을 확인한 지 약 12분 후 "복구를 가속화하기 위해 여러 병렬 경로를 진행 중"이라며 신속 대응에 나섰다. 이번 장애는 글로벌 인터넷 인프라가 소수의 거대 클라우드 사업자에 집중되어 있음에 따른 취약성을 여실히 보여주었다. 금융, 게임, 미디어 스트리밍 등 다양한 산업군에서 서비스가 멈추었으며, Amazon.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11월 6일, 구글의 위협 인텔리전스 그룹(GTIG, Google Threat Intelligence Group)은 공격 중 실시간으로 자신을 재작성하는 인공지능(AI) 기반 악성코드를 최초로 확인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pcmag, securityaffairs, thehackernews에 따르면, 이번에 발견된 여러 악성코드 패밀리 중 PROMPTFLUX와 PROMPTSTEAL이 대표적 사례로, 이들은 AI를 활용해 코드 난독화 및 보안 탐지를 회피하며 적응적으로 공격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의 사이버 위협과 근본적으로 차별화된다. PROMPTFLUX는 2025년 6월에 발견된 실험 단계의 VBScript 드로퍼 악성코드로, 구글의 차세대 AI 모델인 제미니(Gemini) API를 호출해 매시간 자신의 소스코드를 난독화된 새로운 버전으로 자동 재작성한다. 이 과정은 ‘씽킹 로봇(Thinking Robot)’ 모듈이 담당하며, 안티바이러스 탐지를 회피하기 위한 특화된 코드를 AI에 요청해 실시간 '즉시 수정(just-in-time)' 형태로 실행된다. 다만, 아직 네트워크 침해 단계에는 이르지 않은 프로토타입 수준이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테슬라 일론 머스크 CEO가 인공지능(AI)과 로봇이 결국 모든 인간의 일자리를 대체할 것이라 단언하면서, 일은 “가게에서 사는 대신 직접 채소를 재배하는 것처럼” 선택 사항이 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는 아마존 내부 문서 유출에 따른 것으로, 해당 문서에서는 아마존이 2033년까지 미국 내 약 60만명의 근로자를 로봇으로 대체하겠다는 계획을 담고 있어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다. The Federal, Morning Brew, Benzinga, News18, Journal of Economic Perspectives에 따르면, 아마존은 2025년부터 2027년 사이에는 16만명 이상의 신규 채용을 회피할 수 있다고 보고하며, 창고 운영의 75%를 자동화해 배송 품목당 약 30센트(약 400원)의 비용 절감을 목표로 한다. 이는 연간 126억 달러(약 17조원)의 비용 절감 효과로 분석된다. 이미 아마존은 전 세계 100만대 이상의 로봇을 운영 중이며, 이는 자사 인력의 약 2/3 수준이다. 이에 대해 미국 상원의원 버니 샌더스는 강력히 비판하며 "빅테크 과두들이 당신의 일자리를 노리고 있다"고 경고했다. 샌더스는 아마존이 향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