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30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위성 '도요샛 3호기' 사출 불발로 최종 확인… "원인 파악 불가"

지구 궤도를 돌면서 임무를 수행하는 큐브위성 도요샛의 모습을 가상으로 그린 것. [한국천문연구원]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한국형발사체 누리호(KSLV-Ⅱ)에 실려 우주로 간 큐브위성 도요샛 4기 중 3호기가 정상적으로 사출되지 않은 것으로 최종 결론났다.

 

지난달 25일 ‘한국형 발사체’ 누리호에 실려 우주로 올라갔으나 행방이 묘연했던 ‘도요샛 3호기’(다솔)가 사출관 문이 열리지 않아, 누리호에서 내리지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다만 누리호 궤적, 자세, 엔진, 전자장치, 제어 등 발사 임무 수행과 관련된 시스템은 모두 설계대로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3일 우주발사체사업추진위원회를 열고 누리호 3차 발사 최종 분석 결과를 심의·확정했다. 우주발사체사업추진위원회는 누리호, 차세대발사체, 소형발사체 등 우주발사체사업과 관련한 주요 사항 심의·의결하는 기구로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이 위원장을 맡는다.

 

비행 고도 데이터의 경우 모든 이벤트가 기준 범위 내에서 이뤄졌다. 1·2단 분리 고도는 기준 범위가 56.3~59.2㎞였는데, 실제로는 57.8㎞에서 이뤄졌다. 2·3단 분리는 245.6~258.3㎞가 기준 범위였는데 실제로는 257.6㎞에서 이뤄졌다. 3단 정지 역시 기준 범위 안인 550.1㎞, 주탑재위성 분리도 기준 범위 내인 550.3㎞에서 진행됐다.

 

다만 도요샛 3호기의 경우 위성 사출관 문이 열리지 않은 것으로 최종 분석돼 ‘옥의 티’로 남았다. 과기정통부가 공개한 데이터를 보면 도요샛 3호기가 분리될 때 사출관 문 개방 확인 신호가 없었고, 진동센서에도 신호가 없었다. 나머지 7기의 위성은 모두 사출관 문 개방과 진동센서에 신호가 남았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위성 사출관으로 사출 명령은 정상적으로 공급됐고, 전기계통 상에도 문제가 없었다”며 “현재 실물을 확인할 수 없어 위성 사출관 문이 열리지 않은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과기정통부는 향후 재발 방지를 위해 다양한 시나리오를 식별하고 각각의 발현 가능성 검토, 검증 방안 마련 등을 통해 미작동 가능성이 있는 항목에 대해서는 보완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다.

 

한편, 과기정통부는 차세대발사체개발사업의 연구책임자로 현재 발사체연구소 발사체체계종합연구부장을 맡고 있는 박창수(49) 박사를 선정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우주AtoZ] 서울대, 2035년 AI 우주정거장 발사 목표…K-우주 견인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한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대학교가 2035년 무인 AI 기반 우주정거장 발사라는 혁신적 목표를 내걸고 대한민국 우주산업 생태계 활성화에 박차를 가한다. 2026년부터 시작되는 '우주융합기술관' 건립 사업에는 총 6년간 481억원이 투입될 예정이며, 이 기술관은 1979년 준공된 풍동실험동1(40동)을 증개축해 연면적 8280㎡ 규모로 새롭게 탈바꿈한다. 우주융합기술관에는 서울대 ‘우주연구단’(가칭), AI 우주기술연구센터, 국방공학센터 등이 입주해 첨단공학·AI·기초과학·의학·법·정책 등 융복합 연구와 고급 우주 인재 양성에 집중한다. 특히 한화에어로스페이스와 LIG넥스원 등 국내 방위산업 대표기업, 미국 스페이스플로리다, 독일 항공우주센터(DLR) 등과 국제 협력연구 공간도 마련, 본격적인 글로벌 공동연구 플랫폼 구축에 나섰다. 서울대가 목표로 하는 2035년 무인 AI 우주정거장은 바이오·반도체·의학·농업 등 첨단 우주 실증연구를 위한 핵심 플랫폼으로서, 우주 환경에서 생성되는 쓰레기를 회수하는 무인 우주 수송선도 운영될 예정이다. 이는 각국이 우주정거장 주권 경쟁을 벌이는 현실에서 한국이 도약을 위한 포석으로 평가된다. 우주강국 인도도 2035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