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0.3℃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청소년 마약사범, 6년간 1430명 '급증'…만 14세도 165명·여성이 70%

강민국 의원 "미성년자 마약중독 심각…대책 시급"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최근 6년 동안 청소년 마약류 사범이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와 우려가 나오고 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이 4일 경찰청으로부터 제출받은 '마약류 범죄소년 검거 현황 자료'에 따르면, 2018∼2023년 마약사범으로 검거된 만 14∼18세 청소년은 총 1430명이다.

 

연도별로 살펴보면 2018년 56명, 2019년 72명, 2020년 132명, 2021년 183명, 2022년 201명으로 꾸준히 증가했다. 특히 2023년은 786명으로 전년 대비 3.9배, 2018년과 비교하면 14배 넘게 폭증했다.

 

연령별로는 만 14세 165명, 15세 178명, 16세 260명, 17세 335명, 18세 492명, 성별로는 여성 1009명, 남성 421명으로 집계됐다.

 

마약류 유형별로는 향정신성의약품이 1145명으로 가장 많았다. 대마 142명, 마약 139명, 기타 4명 순으로 뒤를 이었다.

 

앞서 식품의약품안전처도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10대 이하 환자가 대폭 늘었다고 지적했다. 식약처의 '의료용 마약류 월간 동향' 9월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메틸페니데이트 처방 환자 수는 25만6848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지난해 전체 기간 메틸페니데이트를 처방받은 환자(28만663명)의 90%에 해당하는 수치다.

 

10대 이하 남성이 8만5106명으로 가장 많았고, 여성의 경우 10대 이하 환자 수가 올해 상반기 3만2780명으로, 20대 여성 3만5773명 다음으로 많았다.

 

메틸페니데이트는 중추신경계를 자극하고 각성을 높이는 의료용 마약류다. 6세 이상 소아·청소년의 ADHD를 치료하는 데 주로 활용되고 있다. 메틸페니데이트를 오남용할 경우 두통, 불면증 등의 부작용은 물론 환각, 망상, 자살 시도까지 나타날 수 있어 복용에 특히 주의해야 한다.

 

강민국 의원은 "미성년자인 청소년이 향정신의약품을 쉽게 접해 마약중독의 길에 빠져드는 것은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심각한 사안이다"며 "장기적인 대책 마련도 중요하지만, 현재 마약 위기에서 벗어날 수 있는 대책이 시급하다"고 말했다.

배너
배너
배너



中장가계 '폭싹 속았수다' 홍보 이용 '빈축'...서경덕 "도둑시청 인정한 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장자제(장가계)시가 넷플릭스 시리즈 '폭싹 속았수다'의 제작진과 배우들에게 초대장을 보내 빈축을 사고 있다. 이들이 이런 행동을 한 이유는, 극 중 중년의 애순(문소리)이 관식(박해준)에게 "내년엔 단풍 보러 장가계 가자"고 말하는 장면이 나왔기 때문이다. 장가계 측은 해당 대사를 인용하며, "드라마에서 장가계를 언급해줘서 감사하다. 가을을 기다릴 필요 없이 지금 바로 출발하라"며 드라마의 세계적인 인기를 이용해 직접 홍보에 나선 것이다. 이에 대해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중국에서 넷플릭스는 정식으로 서비스가 되고 있지 않다"며 "이는 중국에서 '폭싹 속았수다'를 몰래 훔쳐보고 있다는 것을 공개적으로 시인한 꼴"이라고 비판했다. 서 교수는 "최근 '오징어게임' 시즌2가 공개될 때도 그러더니 중국 내에서는 '도둑시청'이 이제는 일상이 된 상황"이라며 "특히 어떠한 부끄러움도 느끼지 못한다는 것이 더 기가막힐 따름"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무엇보다 중국 지자체에서도 훔쳐 본 영상을 대외적인 홍보 수단으로 버젓이 이용하는 건 큰 문제"라며 "이젠 우리 정부가 나서야만 한다. 이들의 도둑시청을 더 이상 묵과하지 말고 강하게 항의를

[공간파일] "아이유, 폭싹 속았수다"…'이담엔터', 3대주주 아이유 덕분에 매출·이익 급증 '반색'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이유가 소속된 카카오 산하 이담엔터테인먼트(대표 배종한, 이하 이담엔터)가 지난해 역대 최고 실적을 낸 것으로 나타났다. 카카오 산하 중소 연예 기획사들 대부분이 실적이 부진한 가운데 아이유의 고군분투한 효과인 것으로 보여진다. 29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이담엔터테인먼트는 매출 749억원, 영업이익 62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2023년 매출 462억원, 영업이익 43억원와 비교해 각각 62%, 44% 증가한 실적이다. 당기순이익 역시 전년 31억원에서 58% 증가한 49억원을 기록했다. 주요 아티스트 활동 증가로 매니지먼트 수익은 474억원을 차지하며 전체 매출의 약 63%를 차지하며 핵심 사업으로 자리잡았다. 매니지먼트 수익은 전년 대비 약 148% 증가했다. 또 음반·음원 매출은 105억원을 창출, 전년 대비 176% 급증하며 전체 매출의 약 14%를 차지했다. 이런 호실적의 배경에는 아이유가 콘서트, 음원 수익뿐 아니라 드라마까지 맹활약을 하면서 많은 수익을 창출한 '아이유 효과'때문이다. 이담엔터테인먼트는 카카오엔터테인먼트가 52.5% 지분을 보유한 최대주주다. 아이유는 지분 2

日고교 교과서 "독도는 일본땅" 주장...서경덕 "선 넘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6년 봄부터 일본 고등학생이 사용할 사회과 교과서 상당수에 '독도는 일본땅'이라는 억지 주장이 반영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다. 25일 일본 지지통신에 따르면 일본 문부과학성은 이날 교과서 검정 조사심의회 총회를 열어 일선 고등학교가 2026년도부터 사용할 교과서 심사 결과를 확정했다고 밝혔다. 검정을 통과한 사회과 교과서는 지리총합(종합) 7종, 역사총합 11종, 공공 12종, 정치·경제 1종 등이다. 공공(公共)은 사회 체제와 정치, 경제 등에 관한 과목을 말한다. 새로운 고교 사회과 검정 교과서 대부분에는 4년 전 검정을 통과해 현재 사용되는 교과서처럼 독도 영유권을 주장하는 일본 정부 견해가 그대로 실렸다. 이 매체는 지리·역사와 공공 교과서 모두가 독도를 다뤘다고 전하며 '일본의 고유 영토'라는 기술이 검정을 거쳐 추가된 사례도 있다고 소개했다. 이에 서경덕 성신여대 교수는 "초중 교과서에 이어 고등 교과서까지 독도에 관한 억지 주장을 펼치는 꼴"이라며 "일본이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고 비판했다. 특히 서 교수는 "우리도 초중고 교과서에 일본의 억지 주장을 어떻게 논리적으로 반박하면 되는지를 상세히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