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SK하이닉스 보통주 1주당 종가가 지난 10월 24일 기준 50만원을 처음으로 넘기고, 삼성전자도 10만원 돌파를 목전에 두고 있는 상황에서 두 종목에서 주식평가액이 10억원 넘는 비(非)오너 임원은 30명을 훌쩍 넘긴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지난 5월 조사 때 파악된 9명보다 3배 이상 많아진 수치다. 두 종목에서 이달 24일 기준 주식재산 1위는 50억원대를 기록한 노태문 삼성전자 사장이었고, 같은 회사 박학규 사장과 유병길 부사장도 30억~40억원대 주식가치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SK하이닉스에서는 곽노정 사장이 30억원에 근접하며 가장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26일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가 ‘2025년 10월 24일 기준 삼성전자·SK하이닉스 비오너 임원 주식평가액 분석’ 결과에서 도출됐다. 조사 대상은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에서 반기보고서에 등재된 등기와 미등기임원들이다. 주식평가액은 이달 24일 해당 회사 보유 주식수와 보통주 1주당 종가(終價)를 곱한 값으로 산출했다. 보유 주식현황은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공시된 각 임원별 ‘임원·주요주주특정증권등소유상황보고서’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 이달 24일 기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디지털 달러 시장이 약 3000억 달러 규모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2025년, 에테나의 합성 스테이블코인 USDe가 120억2600만 달러 이상의 시가총액으로 세 번째로 큰 스테이블코인으로 빠르게 성장중이다. Santiment 분석 리포트, CoinGecko 2025 Q3 보고서, Bloomberg, CoinDesk, FinancialContent에 따르면, 테더(Tether)의 USDT가 1760억 달러(58% 점유율)로 시장을 주도하는 가운데, 서클(Circle)의 USDC가 740억 달러(25%)를 점유하는 상황에서, USDe는 5%에 가까운 시장 점유율로 USDC에 본격적인 도전자로 부상했다. 에테나의 USDe는 전통적인 법정화폐 준비금에 의존하지 않고, 델타-헤징 전략을 통해 암호화폐 파생상품 시장에서 가격 안정화를 추구하는 합성 스테이블코인이다. 이 방식을 통해 보유자에게 약 5.5%의 수익률을 제공, 디파이(DeFi) 투자자들의 큰 관심을 끌고 있다. 또 다른 제품인 USDtb는 블랙록(BlackRock)의 BUIDL 펀드 등 실물자산으로 뒷받침되는 준비금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 규제 준수를 중요시하는 기관투자자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서울시 25개 자치구의 실제 거주자들이 체감하는 생활만족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 시민 대상 조사 결과에 따르면, 거주자의 생활만족도가 가장 높은 곳은 서초구, 가장 낮은 곳은 강북구였다. 인터넷 통신사 엘림넷의 설문 플랫폼 나우앤서베이의 2025년 조사 결과, 서초구가 78.95점으로 서울 25개 자치구 중 가장 높은 생활만족지수 1위를 기록했다. 전체 평균 70.75점 대비 8.2포인트 높은 수치로, 주거환경(82.00점), 문화생활(79.76점)에서 특히 우수한 점수를 받았으며, 공원과 산책로, 문화시설이 풍부한 점이 큰 장점으로 꼽혔다. 서초구에 이어 광진구(77.91점), 송파구(76.05점), 강남구(74.11점), 성동구(73.56점)가 상위 5위권에 포함됐다. 광진구는 주거 쾌적도(78.37점)와 생활환경(75.24점)에서 뛰어난 평가를 받았다. 송파구는 전반적인 만족도 보정치 부문에서 최고점(82.08점)을 기록했다. 6위에서 10위는 노원구, 영등포구, 마포구, 강동구, 서대문구로 조사됐다. 11위에서 15위는 동작구, 용산구, 중구, 은평구, 동대문구로 나타났다. 16위에서 20위는 종로구, 강서구,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중국이 세계 최고속 열차 시험운행에 성공하며, 글로벌 고속철도 시장의 판도를 재편하는 신호탄을 쏘아 올렸다. 이번 시험에서 중국 '푸싱호 CR450'은 최고속도 453㎞를 기록하며, 기존 중국 자율주행형 자기부상열차인 상하이 마그레브(460㎞/h)와 경쟁 구도를 형성하며 세계 최고 속도 기록을 새롭게 썼다. 중국은 2025년 초 개발을 완료한 CR450 열차의 시험운행을 진행했고, 이는 기존 중국의 최고속 열차인 CR400(최대 350㎞/h)보다 100㎞/h 이상 빠른 기록이다. 시험은 '상하이-충칭-청두' 고속철도 구간에서 이루어졌으며, 4분여 만에 시속 350㎞까지 가속하는 신속한 성능을 보여줬다. 현재 이 열차는 상업 운행을 위한 마지막 점검 단계에 있으며, 내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세계 다른 주요 고속열차와 비교해볼 때, 프랑스 '테제베(TGV)'는 최고속 기록 574.8㎞/h를 2007년에 기록한 바 있으며, 일본 신칸센은 현재 시속 320㎞의 운행속도를 유지중이다. 한국의 KTX 산천은 최대 시속 305㎞ 수준으로, 중국의 CR400이 시속 350㎞로서 선도적 위치를 공고히 하고 있다. 이처럼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5년간(2020~2024년) 국민건강증진법을 위반한 주류 광고가 총 8689건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단일 연도 기준으로 GS리테일이 140건으로 가장 많은 위반 사례를 기록했고, 뒤이어 롯데칠성음료(70건)와 OB맥주(67건)가 상위권에 이름을 올렸다. BGF리테일(56건), 서울장수(43건)도 주요 위반 업체로 나타났다. 이는 더불어민주당 남인순 의원이 한국건강증진개발원에서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를 토대로 한 조사 결과다. 주요 위반 유형을 보면, 국민건강증진법 제8조의2 제2항 제2호에 규정된 '음주 권유'가 430건(32.9%)로 가장 많았다. 법에서는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음주를 권장 또는 유도해서는 안 된다"고 명시한다. 이와 함께 '경고문구 누락'(31.5%, 412건), '경품 광고'(27.1%, 354건)도 상당한 비중을 차지했다. 기타 '음주 미화'(2.5%), '건강 관련 묘사'(2.2%), '미성년자 및 임산부 등장'(1.8%) 등도 적발 사례에 포함됐다. 대표적 위반 사례로 OB맥주는 자사 제품 구매 시 영화 무료 관람 캠페인을 진행해 경품 제공 금지 조항을 어겼고, 선양소주는 광고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을 앞둔 지난 9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쇼핑 앱 순위는 쿠팡, 올리브영, 에이블리 순으로 조사됐다. 22일 실시간 앱·결제 데이터 기반 시장/경쟁사 분석 솔루션 와이즈앱·리테일이 주요 쇼핑 앱의 월간 활성 사용자 수(MAU)를 조사해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 + 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블랙프라이데이 세일(코리아세일페스타)을 앞둔 2025년 9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쇼핑 앱 TOP3는 쿠팡(3,427만명), 올리브영(959만명), 에이블리(938만명) 순으로 나타났다. 그 뒤를 이어 4위~10위는 알리익스프레스(916만명), 테무(830만명), 11번가(794만명), 무신사(703만명), G마켓(684만명), 네이버플러스 스토어(513만명), 다이소몰(438만명) 순이었다. 11위~20위는 지그재그(409만명), 컬리(366만명), NOL(야놀자)(362만명), 여기어때(353만명), 오늘의집(330만명), GS SHOP(296만명), 삼성닷컴(291만명), 옥션(276만명), 퀸잇(270만명), 알라딘(269만명) 순으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실시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K·현대자동차·LG·롯데 등 국내 5대 그룹의 자산이 최근 5년 새 445조원 가량 증가한 1588조원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같은 기간 5대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47개 그룹의 자산은 367조원 늘어난 1121조원에 그쳐, 5대 그룹으로의 자산쏠림이 더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룹별로 보면, 삼성, SK, 현대차가 자산 증가액 톱3 체제를 굳혔다. 반면, 교보생명보험, 부영, 두산 등 3곳은 자산이 축소됐다. 자산 외에 매출과 영업이익 등 실적 증가세도 5대 그룹이 47개 그룹을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현대차는 5년간 매출액이 100조원 이상 증가해 증가액 1위를 기록했고, 삼성과 SK도 매출이 큰 폭으로 늘었다. 반면, 태영·두산·DL·부영 등 6개 그룹은 지난해 매출액이 5년 전보다 줄어들며 역성장했다. 2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공정거래위원회가 지정한 공시대상기업집단 중 2019년과 2024년 결산 기준 자산총액 비교가 가능한 52곳을 대상으로 자산 규모와 실적 변화를 조사한 결과, 52개 그룹의 전체 자산규모는 2019년 1897조2869억원에서 2024년 2709조8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10월 19일 발표된 World Population Review의 글로벌 부채 순위에서 인도가 국가 부채 3조 달러로 세계 7위를 기록했다. 이는 인구 1인당 약 504달러의 부채 부담을 의미하며, 남아시아 내에서는 파키스탄이 2608억 달러(1인당 543달러) 부채로 33위에 올랐다. 방글라데시는 약 1776억 달러 규모에 1인당 611달러 부채 부담을 안고 있어 인구수와 부채 규모에 따른 복잡한 경제 현실을 보여준다. World Population Review, IMF Fiscal Monitor Oct 2025, UNCTAD World of Debt 2025, Global Firepower External Debt Rankings 2025에 따르면, 주요 경제국들의 부채 규모는 압도적이다. 미국은 32조9000억 달러로 1위이며, 중국 15조 달러, 일본 약 10.9조 달러가 뒤를 잇는다. 영국과 프랑스는 각각 3조4000억 달러, 이탈리아는 3조1000억 달러에 달한다. 인도의 3조 달러 부채는 주요 경제국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성장 과정에서의 재정 부담이 심각함을 시사한다. 8위는 독일 2.8조 달러, 9위는 캐나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스포츠계의 '수입킹'은 단연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 축구)였다. 19일 미국 경제지 포브스, Statista, ESPN 등과 국내 주요 매체가 발표한 공식 자료에 따르면, 호날두는 한 해 동안 총 2억7500만 달러(약 3850억원)라는 역대급 수입을 기록, 3년 연속 세계 운동선수 수입 1위를 차지했다. 사우디 알 나스르와의 재계약에 따른 연봉 약 2억2500만~2억3000만 달러 외에도 나이키·바이낸스·CR7 브랜드 등 다양한 글로벌 기업의 홍보·협력에서 5000만~6000만 달러 이상의 부수입을 기록했다. 그의 인스타그램 팔로워는 약 8억명에 달해, 브랜드 시너지 효과도 압도적이다. 2위는 스테판 커리(농구), 3위는 타이슨 퓨리(복싱), 4위는 닥 프레스콧(미식축구), 5위는 리오넬 메시(축구)가 차지했다. 6위~10위는 르브론 제임스(농구), 후안 소토(야구), 카림 벤제마(축구), 오타니 쇼헤이(야구), 케빈 듀란트(농구) 순으로 조사됐다. 축구·농구·골프·복싱·야구 종목들이 상위권을 휩쓸었다. TOP10에는 축구와 농구가 가장 많은 3명, 야구가 2명, 미식축구 1명, 복싱 1명으로 조사됐다. 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2024년 한국인의 해외 범죄 피해 중 납치·감금 건수가 가장 많이 발생한 국가는 캄보디아로 집계됐다. 이어 실종은 베트남, 사기는 중국이 가장 많이 발생한 것으로 조사됐다. 2024년 국회 외교통일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상욱 의원이 외교부에서 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이 캄보디아에서 납치·감금 피해를 입은 사건은 무려 221건에 달하며, 베트남 16건, 중국 14건과 비교해 압도적인 수치를 기록했다. 특히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범죄 조직의 납치·감금 피해 신고 건수는 최근 4년 새 90배 가까이 폭증했다. 2021년 4건, 2022년 1건에 불과하던 신고 건수는 2023년 17건, 2024년에는 220건으로 급증했다. 올해 들어서도 이미 8월 기준 330건이 접수되었으며, 대형 집단 범죄사건도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사건의 주요 원인은 캄보디아 내 현지 범죄 조직이 경제적 여력이 높고, 현금 및 송금력이 우수한 한국인을 주요 타깃으로 삼기 때문이라는 전문가 분석이 나왔다. 특히 한국인의 해외취업 광고나 SNS를 통한 유입 경로 활용도가 높아, 조직적 사기와 납치로 이어지는 범죄 구조가 고도화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