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반도체 수출 규제에도 불구하고 중국이 인공지능(AI) 경쟁에서 미국을 추월할 것이라는 엔비디아(Nvidia) CEO 젠슨 황의 강력한 경고가 나왔다. 야후파이낸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채널뉴스아시아, TechWire Asia에 따르면, 황은 2025년 11월 5일(현지시간) 영국 파이낸셜 타임스 주최 ‘AI 미래 서밋’에서 "중국이 AI 경쟁에서 승리할 것"이라며 그 배경으로 베이징의 우호적인 규제 환경과 거의 무시할 수 있을 정도의 막대한 에너지 보조금을 꼽았다. 그는 미국 내에서 수십 개 주별로 복잡한 AI 규제가 난립하는 현실과 대비하여 중국의 신속하고 유연한 규제 대응을 비판했다. 중국의 전략적 에너지 보조금 중국은 간수성, 귀주성, 내몽골 등 데이터센터가 밀집한 지역에서 대형 IT 기업들이 운영하는 데이터센터에 최대 50%까지 전기요금을 보조하는 정책을 추진 중이다. 주요 수혜 기업으로 바이트댄스(ByteDance), 알리바바(Alibaba), 텐센트(Tencent)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이 보조금은 화웨이(Huawei)와 캄브리콘(Cambricon) 같은 국내 AI 칩을 사용하는 센터에 집중돼 있다. 외국산(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일본의 요리 연구가, 음식문화 전문가, 즉석면 마니아들이 참여해 라면의 맛, 면발의 식감, 국물의 향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해 라면 순위 TOP10을 뽑았다. 니케이(Nikkei) 신문 주말판 '닛케이 플러스원'이 발표한 2025년 아시아 즉석면 TOP10에서 한국 농심의 ‘오징어짬뽕’이 3위를 차지했다. 1위는 싱가포르의 락사라면, 2위는 대만의 만한대찬 파우육면이 이름을 올렸다. 오징어짬뽕은 자극적인 매운맛이 특징인 기존 한국 라면들과 달리 해물 베이스의 시원하고 깔끔한 맛이 핵심 강점으로 평가받았다. 이들은 오징어짬뽕에 대해 “쫄깃한 굵은 면발이 해물탕과 같다” “면발의 찰기와 깊은 해물 국물 맛이 밥과 완벽한 궁합”이라고 호평했다. 농심은 오징어 추출물과 해물 페이스트를 사용해 인공조미료를 최대한 배제하고, 국물의 감칠맛은 유지하면서 나트륨 함량은 낮춘 점을 강점으로 내세웠다. 오징어짬봉의 면발은 일반 라면보다 두껍고 탄력 있어 국물을 잘 흡수하며, 건조 오징어와 야채가 식감을 더해 준다. 한국 라면은 신라면과 불닭볶음면 등 매운맛을 내세운 제품들로 세계적인 명성을 얻어왔으나, 오징어짬뽕은 기존의 매운맛 트렌드를 넘어 새로운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글로벌 배터리 선두주자 SK온이 11월 1일 SK엔무브와의 합병을 공식 완료하며 배터리와 플루이드 통합 솔루션 시대의 본격 개막을 알렸다. 이번 합병은 SK이노베이션 산하 배터리 사업부문의 경쟁력 강화와 수익성 개선에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합병법인 명칭은 ‘SK온’으로 통합되며, SK엔무브는 기존 SK트레이딩인터내셔널과 함께 사내 독립기업(CIC) 체제를 유지한다. 기술 혁신 부문에서의 시너지 효과가 가장 두드러진다. SK온은 SK엔무브의 액침 냉각 플루이드 기술과 자체 셀투팩(CTP, Cell-to-Pack) 기술을 융합한 차세대 배터리 패키지 솔루션 사업화를 추진 중이다. 액침 냉각 기술은 절연성이 뛰어난 플루이드가 배터리 팩 내부를 직접 순환하며 효율적으로 열을 배출하는 방식으로, 전기차, 에너지 저장장치(ESS), 데이터센터, 선박 등 다양한 산업에 적용 가능하다. 셀투팩 기술은 모듈을 생략하고 셀을 바로 배터리 팩에 연결해 제조 효율성과 에너지 밀도를 동시에 끌어올리는 혁신 기술이다. 전문가들은 두 기술의 결합이 모듈 생략에 따른 안전성 우려를 액침 냉각 기술이 보완하는 완성도 높은 통합 솔루션이 될 것으로 평가한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에서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스냅챗, 틱톡, 유튜브 등 거대 소셜미디어 기업을 상대로 청소년 유해성 및 중독성에 관한 집단 소송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Bloomberg, CNBC, BBC, AOL, TradingView, LA County Superior Court 판결문, Medical News Today, Law360에 따르면, 최근 캘리포니아 LA 고등법원은 메타(Meta) CEO 마크 저커버그와 스냅(Snap) CEO 에번 스피걸, 인스타그램 책임자 아담 모세리에게 증언 출석을 명령했다. 이는 이들 기업이 미성년자 대상 플랫폼 설계와 운영 과정에서 중독성과 정신건강 피해 가능성을 인지했고, 이에 충분히 조치를 취했는지 여부를 실제 최고경영진의 입을 통해 직접 검증하겠다는 의미다. 소송 규모와 재판 일정: 집계된 피해자 2053건, 내년 1월 첫 심리 2025년 10월 기준, 미국에서 진행 중인 청소년 소셜미디어 중독 및 정신건강 유해성 관련 집단소송(MDL)은 2053건을 넘어섰다. 이 중 상당수는 연방법원과 캘리포니아 주 법원에서 병합·집행되고 있으며, LA 고등법원에서 첫 ‘벨웨더’(선도) 재판이 내년 1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김정영 기자] KT는 2025년 11월 5일부터 차기 최고경영자(CEO) 공모 절차에 돌입한다. 최근 발생한 무단 소액결제와 개인정보 유출 해킹 사고에 대한 책임을 김영섭 대표이사가 지고 연임 도전을 공식 포기함에 따라 본격적인 CEO 교체 레이스가 시작됐다. 이번 공모에는 약 30여명 이상의 후보가 참여해 치열한 경쟁이 예상된다. 차기 대표 선임 절차는 공개 모집과 외부 전문기관 추천, 0.5% 이상 지분을 6개월 이상 보유한 주주의 추천 등 세 가지 경로로 진행되며, 공개 모집은 11월 5일부터 16일까지 약 열흘 간 진행된다. 이후 서류 심사와 면접 등을 거쳐 연내 최종 후보 1인이 확정될 계획이다. 차기 CEO의 임기는 2026년 3월 정기 주주총회부터 시작해 2029년 정기 주주총회까지로, 3년간 회사를 이끌 예정이다. KT 이사후보추천위원회는 사외이사 8명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공정하고 투명한 절차 진행을 통해 KT의 지속 가능한 성장과 주주가치 제고에 기여할 것을 밝혔다. 후보군 선정에는 기업 경영 경험, ICT 및 산업 전문성, 대내외 이해관계자와의 신뢰 구축 능력, 글로벌 시각과 리더십 역량 등이 중요한 평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025년 10월 29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서울의 오피스를 주택으로 전환해 획기적으로 공급량을 늘리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세계적으로 오피스 수요가 감소하고 있으며, 인공지능(AI) 등으로 이 현상은 가속될 것”이라며 기존 오피스 유휴 공간을 주택으로 적극 전환할 필요성을 제기했다. 서울 오피스 시장 현황과 공급수치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기업 CBRE코리아에 따르면, 2031년까지 서울 주요 업무권역(도심, 강남, 여의도)에만 471만㎡(약 142만5000평) 규모의 신규 오피스가 공급될 예정이며, 이는 현재(1057만㎡)보다 약 45% 증가한 수치다. 특히 도심업무지구(CBD)에는 전체 물량의 83%에 해당하는 신규 공급이 집중되어, 서울 도심 오피스 시장의 외형은 커질 전망이다. 그러나 동시에 공실률도 20%대 중반(예상치는 24.5%)까지 상승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와, 오피스→주택 전환의 현실적 배경이 되고 있다. 주택시장 공급 불균형과 정책 과제 통계청과 서울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서울의 주택 보급률은 93.6%로 전국(102.5%)에 크게 못 미치며, 수도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0여년전 나폴레옹 군대 몰살 비밀이 DNA연구를 통해 비로소 진실이 드러났다. 최근 프랑스 파스퇴르 연구소와 에스토니아 타르투대학교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국제 학술지 『Current Biology』 논문에 따르면, 1812년 러시아 원정길에서 참혹하게 무너진 나폴레옹의 그랑다르메를 괴멸시킨 주요 요인은 '살모넬라 엔테리카 파라티파이 C(Paratyphi C)'와 '보렐리아 리큐렌티스(Borrelia recurrentis)'라는 두 가지 박테리아 감염이었다는 사실이 DNA 분석을 통해 새롭게 밝혀졌다. Scientific American, The Scientist, Dongascience, BioRxiv preprint, Evrimagaci, Eurekalert에 따르면, 연구진은 2001년 리투아니아 빌뉴스 퇴각로에서 발견된 집단 매장지의 치아 시료(총 13명)를 21세기 최첨단 차세대 DNA 시퀀싱 기술로 분석했다. 분석 결과, 4명의 군인에서 파라티푸스균(S. enterica Paratyphi C) 양성, 2명에서 재귀열균(B. recurrentis) 양성이 각각 확인됐다. 해당 감염병은 당시 추위·영양실조로 면역력이 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호주 퀸즐랜드대학교 연구진이 쌀알보다 작은 실리콘 칩 위에 1마이크론(백만분의 1미터) 이하 두께의 초유체 헬륨을 도포해 세계 최소 규모의 ‘파동 수조’를 만든 연구(Science, 2025년 10월 23일 발표)가 국내외 과학계에 센세이션을 일으키고 있다. 퀸즐랜드대 공식 발표 및 Phys.org, ScienceBlog, arXiv, Ground News에 따르면, 기존 실험실 수로가 수백 미터 길이와 며칠 단위 테스트에 의존하던 것과 달리, 이 칩은 불과 밀리초 만에 실험 데이터를 모으고, 파동의 비선형성을 10만배 이상 증폭시킨다는 평가다. 미세 바다와 초유체 헬륨: 칩 위 파동 수조의 과학적 의미 이 초소형 파동 수조의 결정적 요인은 ‘초유체 헬륨’이다. 초유체 헬륨은 일반적인 액체와 달리 극저온에서 점성 없이 마치 양자역학적으로 움직여, 미세 구조 내에서도 자유롭게 흐른다. 연구진은 굵기 100마이크론(1마이크론=0.001mm) 길이의 칩 전체에 헬륨을 얇게 도포, 레이저를 이용해 파동을 유도하고 광기계적 상호작용으로 실시간 측정을 한다. 정점이 아닌 함몰 형태로 이동하는 솔리톤(Soliton) 이 모두가 그동안 이론적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테슬라 차량의 설계 결함 의혹이 다시 한번 사회적 논란으로 떠올랐다. 작년 11월 미국 위스콘신주 매디슨 외곽에서 2016년형 테슬라 모델S가 나무에 충돌한 뒤 불이 붙는 사고가 발생, 탑승자 5명이 모두 문을 열지 못해 불길에 휩싸여 사망하는 참극이 벌어졌다. 로이터, 블룸버그, 월스트리트저널, NHTSA에 따르면, 숨진 제프리·미셸 바우어 부부의 유족은 11월 3일(현지시간) 테슬라를 상대로 “차문 설계의 치명적 결함이 부모의 사망을 초래했다”며 소송을 제기했다. 소장에 따르면 사고차량은 충돌 직후 리튬이온 배터리팩이 폭발하며 화재가 발생했고, 전자 제어로 작동되는 차량 문의 잠금장치가 작동 불능에 빠져 내부 탑승자들이 수동으로 문을 열 수 없었다. 실제로 테슬라 차량의 창문이나 문을 작동시키는 저전압(12V) 배터리가 고장나면 비상시 수동 잠금 해제 위치를 모르는 승객의 탈출이 불가능하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지적됐다. 이 사건 외에도 지난해 11월 샌프란시스코 교외에서는 테슬라 사이버트럭 충돌 후 유사 화재로 대학생 2명이 문을 열지 못해 목숨을 잃었고, 해당 유족들도 테슬라를 상대로 소송을 진행 중이다. 미국 도로교통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전기차 제조사 테슬라가 2023년 11월 말 첫 출고된 사이버트럭에 대해 2년도 채 지나지 않아 10번째 리콜을 단행했다. 로이터, 블룸버그, 더버지, CNET, 일렉트렉, 매셔블, 아레나EV, 야후파이낸스에 따르면, 이번 리콜은 2024년식 사이버트럭 6197대를 대상으로 하며, 도로교통안전국(NHTSA)에 따르면 차량에 선택 사양으로 장착된 오프로드 라이트 바 액세서리에 결함이 발견되어 진행된다. 이 부속품은 불량 프라이머로 부착되어 운행 중 떨어질 위험이 있어, 사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테슬라는 이 부품을 서비스센터에서 무상으로 교체할 예정이다. 사이버트럭은 과거에도 지나치게 밝은 주차등, 강철 트림 부품 이탈, 인버터 결함, 경고등 글자 크기 문제 등 다양한 문제로 여러 차례 리콜을 겪었다. 올해 3월에는 전체 생산 차량 약 4만6000대에 달하는 대규모 리콜도 있었다. 당시에는 스테인리스 스틸 외부 트림 패널 접착 불량으로 인한 부품 이탈 문제였다. 2024년을 포함해 테슬라는 총 10회 리콜을 사이버트럭에 대해 실시하며, 제조 초기 단계부터 품질 문제가 계속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판매 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