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UC 데이비스 연구진이 지상 온도와 우주 공간의 극저온을 ‘복사적으로’ 연결해, 연료·태양광 없이도 밤에 기계적 동력을 뽑아내는 소형 스털링 엔진 시스템을 실증했다는 점이 핵심이다.
UC Davis 공식발표, TechXplore, Science Advances에 따르면, 연구팀은 1년간의 야간 실험에서 최소 평방미터당 400밀리와트(0.4 W/m²)의 기계적 출력을 얻었고, 이를 직접 팬 구동과 소형 발전 모터 결합으로 전류 발생까지 보여주었다. 이 연구는 11월 12일 Science Advances에 게재됐고, DOI(10.1126/sciadv.adw6833)가 공개됐다.
원리는 어떻게 작동하나
스털링 엔진은 큰 온도차가 아닌 작은 온도 구배에서도 효율적으로 일하는 폐회로 열기관으로, 연구진은 ‘뜨거운 쪽을 가열’하는 통상 접근을 뒤집어 ‘차가운 쪽을 우주와 복사적으로 연결’했다. 장치는 위로 향한 복사 냉각 안테나 패널(상부, 우주와의 복사적 결합)과 지면(하부, 상대적으로 따뜻한 열원) 사이의 미세한 온도차를 이용해 피스톤–플라이휠을 구동한다.
제러미 먼데이 UC 데이비스 교수는 “우주와 물리적으로 닿을 필요는 없고, 맑은 밤에 몸에서 열이 빠져나가듯 ‘복사적’ 상호작용만으로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어디에 유리한가
복사 냉각의 효율이 높은 저습·맑은 밤 지역에서 성능 잠재력이 가장 크다. 온실·주거 환기처럼 야간에 ‘적당한 전력’을 요구하고, 동시에 외기 온도가 낮아 환기 수요가 늘어나는 용처가 대표적 초기 시장으로 제시됐다.
상용화·지식재산 동향
UC 데이비스는 본 기술에 대해 임시 특허를 출원했으며, 설계 고도화와 응용 확장 연구를 예고했다. UC의 기술이전 포털도 ‘저온 차동(LTD) 스털링 엔진을 복사냉각과 결합한 지속가능 동력’ 콘셉트를 소개하며 이전·사업화를 모색 중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