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남미 대륙을 가로지르며 대서양에서 서쪽 안데스 산맥까지 수분을 운반하는 아마존의 대기 중 수분 통로, 일명 '하늘을 나는 강(Flying Rivers)'이 산림 파괴와 기후 변화로 인해 심각하게 약화되고 있다는 과학자들의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아마존 보전 단체인 아마존 모니터링 프로젝트(MAAP)의 최근 분석에 따르면, 브라질에서의 광범위한 삼림 파괴는 대기 중 수분의 서쪽 이동을 교란해, 특히 남부 페루와 북부 볼리비아 지역에서 가뭄 위험을 크게 증가시키고 있다. AP News, ABC News, Amazon Conservation MAAP, Mongabay, Nature Communications, Max Planck Institute, Rainforest Foundation, Woodwell Climate Research Center에 따르면, 기후 과학자 카를로스 노브레는 "하늘을 나는 강 시스템이 안데스 근처 서부 아마존 강수량의 최대 50%를 책임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했다. 아마존 숲은 마치 거대한 펌프처럼 나무들이 대기로 물을 방출, 수분이 대륙을 횡단하는 데 필수적이다. 그러나 건기 동안 특히 산림 벌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여성은 문화와 역사적 시기를 막론하고 다양한 동물 종에서 남성보다 더 오래 사는 현상이 관찰되어 왔으며, 이에 대한 생물학적 이유를 밝힌 연구결과가 나왔다. 2025년 10월 2일 Science Advances에 발표된 이 획기적인 연구는 진화 인류학자인 요한나 스터크(Johanna Stärk)가 이끄는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Max Planck Institute for Evolutionary Anthropology)와 일본, 호주 등의 연구진이 1176종 이상의 포유류와 조류를 분석해 이뤄졌다. 막스 플랑크 진화 인류학 연구소 발표자료, newscientist, phys.org, popular science에 따르면, 이번 연구들은 성별 수명 차이를 단순한 환경 요인이 아닌 진화생물학적 염색체 구조와 번식 전략 차원에서 설명한다는 점을 명확히 밝혀냈다. 이번 연구들에 따르면, 포유류에서 암컷은 두 개의 X 염색체(동형접합)를 지니는 반면, 수컷은 X와 Y 염색체(이형접합)를 가지며, 이로 인해 수컷이 X 염색체의 유전적 결함에 더 취약해 평균 수명이 약 12~20% 짧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이형접합 성 가설(het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6년 전 스탠퍼드 대학원생 시절, 한 젊은 과학자의 단순한 궁금증에서 시작된 프로젝트가 1만1500여종 조류의 생태적 특성을 포괄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데이터베이스 'BIRDBASE'로 완성됐다. 유타대학교 보존생물학자 차간 셰케르지오글루(Çağan Şekercioğlu) 교수가 2025년 9월 30일 국제 학술지 'Scientific Data'에 공개한 이 데이터베이스는 조류 254과 1만1589종의 몸무게, 서식지, 식성, 둥지 형태, 알 크기, 이동 패턴 등 78가지 생태 특성을 체계적으로 수집해 담고 있다. Scientific Data, Bioengineer, Phys.org, Cornell Lab of Ornithology에 따르면, 초기에 "열대우림 하층 곤충식조류의 멸종 위기 비율을 산출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는 사실"을 알게 된 셰케르지오글루 교수가 직접 9400여종 이상의 조류를 현장에서 관찰하고, BirdLife International, Birds of the World, 수백 편의 조류학 논문 등 권위 있는 자료를 합쳐 거의 30년에 달하는 세밀한 작업을 거쳐 완성했다. 셰케르지오글루 교수는 "전 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유네스코(UNESCO)는 2025년 9월 27일(현지시간), 중국 항저우에서 열린 제5회 세계 생물권보전지역 총회에서 21개국에 걸쳐 26개의 신규 생물권보전지역 지정을 발표했다. unesco공식발표와 ABC News, Grand Pinnacle Tribune, Geographical Magazine, chinadaily에 따르면, 이번 지정은 지난 20년간 가장 큰 규모의 전 세계 생물권보전지역 네트워크 확대이며, 이로써 세계 생물권보전지역은 총 142개국 785곳으로 늘었다. 2018년 이후로 약 100만 평방킬로미터에 달하는 자연지역이 새롭게 보호구역으로 포함됐는데, 이는 볼리비아 국토 면적과 맞먹는 규모다. 특히 가장 역사적인 이번 신규 지정 중 하나는 상투메 프린시페가 전체 국가를 단일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지정받은 점이다. 서아프리카 기니만에 위치한 이 열대 군도는 화산봉, 열대우림, 농경지가 포함된 1130㎢ 면적에 달하며, 콩고 분지 산림 시스템의 일부다. 상투메 프린시페는 멸종위기종인 난쟁이 따오기와 상투메 뾰족쥐 등 고유종 보호와 함께 약 13만명 주민이 지속가능한 어업, 유기농 코코아 및 커피 재배, 생태관광에 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본 정부 지진조사위원회가 추석 연휴를 앞둔 9월 26일, 난카이 해곡 대지진의 30년 내 발생 확률을 기존 '80% 정도'에서 최대 '60∼90% 정도 이상'으로 상향 조정했다고 발표했다. 이번 계산법 재검토로 한국인들의 최대 여행지인 일본에 대한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Japan Times, NHK World, The Mainichi, Asia Economy, Sankei Shimbun에 따르면, 이번 발표는 12년 만에 계산 방법을 재검토한 결과로, 과거 고치현 무로쓰 지역의 지각 융기 데이터 불확실성과 판 내부 응력 누적의 비정상성 등이 반영됐다. 지진조사위원회는 또한 20~50%라는 이례적인 두 번째 확률도 함께 제시했는데, 이는 지각 변동을 무시하고 지진 간격만 활용한 통상적인 계산법에서 도출된 수치다. 전문가들은 두 확률 간 과학적 우위 판단이 어렵다고 설명하면서도 방재 차원에서는 높은 확률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한다. 도쿄대 명예교수이자 위원회장 히라타 나오시는 "지진 발생 확률은 해마다 높아져 언제든 발생할 수 있는 상태"라며 "30년 이상 멀리 있을 수도, 1년 이내에 발생할 수도 있다"고 경고했다. 난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과학자들이 상어 공격으로 인한 부상 감소를 위해 물지 못하는 잠수복을 개발했다. 호주 플린더스(Flinders) 대학교 해양과학자들이 상어 공격시 발생하는 출혈과 조직 손상을 획기적으로 줄여주는 내(耐)이빨 잠수복 소재를 개발하고, 현장 실험에서 뛰어난 효과를 입증했다. 이 연구는 2025년 9월 『Wildlife Research』 저널에 발표됐으며, 백상어와 호랑이상어에 의한 심각한 부상을 줄이는 데 새로운 희망을 제시한다. AP뉴스, BBC의 보도와 Flinders University Southern Shark Ecology Group 연구, International Shark Attack File 2024 통계, Australian Broadcasting Corporation 연구에 따르면, 연구진은 Aqua Armour, Shark Stop, ActionTX-S, Brewster 등 네 가지 내이빨 소재를 바다에서 실제 상어가 물도록 하는 방식으로 약 30일간 테스트했다. 기존의 무겁고 유연성 부족으로 레저활동에 부적합했던 체인메일 슈트와 달리, 이들 소재는 초고분자량 폴리에틸렌(UHMWPE) 섬유로 제작돼 케블러보다 50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UC 리버사이드 연구진이 지구 탄소 재활용 시스템의 중요한 결함을 밝혀내면서, 온난화가 과도하게 보정되어 미래에 빙하기를 촉발할 수 있다는 충격적인 가능성이 제기됐다. 이 연구는 2025년 9월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Science'에 발표됐으며, 기존의 지구기후 자율 조절 원리에 근본적 변화를 요구하는 내용이다. UC Riverside News, Sustainability Directory, Ground News, India Today, Tulane University Study, Science Advances에 따르면, 이번 발견은 지구 기후가 스스로를 조절하는 기존의 원리를 뒤흔들며, 온도를 완만하게 안정시키는 대신 과도하게 반응하는 피드백 메커니즘을 드러냈다. 기존 기후 과학은 암석의 풍화작용이 지구의 온도 조절 장치로 작용하여, 온도가 오르면 서서히 대기 중 이산화탄소를 흡수한다고 여겨왔다. 비와 암석이 반응해 대기의 CO₂를 해양 퇴적물 형태로 장기간 봉인하는 과정이 대표적이다. 그러나 이번 연구는 해양 내 탄소 매장에 있어서 누락된 피드백 루프를 발견했다. 대기 중 CO₂ 증가 및 지구 온난화가 진행되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아마존 열대우림의 나무들은 지난 수십 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의 증가에 반응해 매 10년마다 평균 3.3%씩 더 크게 자란 것으로 나타났다. miragenews, newscientist, phys.org, conservation.org, amazonwatch.org, nature.com, carbonbrief.org 보도에 따르면, 국제 연구진은 아마존 분지 전역 188개 영구 플롯에서 나무 크기를 최소 30년간 모니터링하며 진행됐으며, 크고 작은 나무 모두 성장세를 보인 점에서 이산화탄소가 비료 역할을 하여 생장과 생물량 축적을 촉진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브라질 마투그로수 대학교의 베아트리스 마리몬 교수는 "기후변화와 산림 훼손이 아마존 숲을 위협한다는 소식을 자주 듣지만, 온전한 숲 속 나무들은 오히려 성장세를 보이고 있고, 특히 거목들은 이 위협 속에서도 굳건히 살아가고 있다"고 평가했다. 연구진에 따르면 아마존 숲의 구조는 유역 전반에서 큰 나무들이 더 늘고 작은 나무들이 줄어드는 변화를 겪으며, 평균 나무 크기가 꾸준히 증가하는 중이다. 이는 일반 원시림과 달리 전체 숲이 성장하는 독특한 변화로 풀이된다. 케임브리지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구의 중요한 생명 지원 시스템이 전례 없는 위기에 직면했다. 9월 24일(현지시간) 포츠담 기후영향연구소(Potsdam Institute for Climate Impact Research) 발표한 2025년 ‘플래너터리 헬스 체크(Planetary Health Check)’ 보고서에 따르면, 인류는 현재 지구의 안정성과 생명 지원을 관장하는 9개 행성 경계 중 7가지를 이미 안전 한계 밖으로 넘어섰다. 플래너터리 바운더리 사이언스 랩(Planetary Boundaries Science Lab), Planetary Health Check 2025 공식 보고서를 비롯해 euronews, DW, Mongabay, Grist의 보도에 따르면, 특히 올해는 해양 산성화가 최초로 위험 한계(Marine Danger Zone)를 초과해, 바닷물의 pH가 지속적으로 낮아지며 생태계 균형을 위협한다는 사실이 공식 확인됐다. 그 결과, 지구의 필수 시스템 75% 이상이 ‘인류를 위한 안전한 작동 공간’을 벗어나 심각한 리스크에 직면했다. 새롭게 침해된 이 경계는 지구 필수 시스템의 4분의 3 이상이 이제 '인류를 위한 안전한 작동 공간'을 넘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스웨덴에서는 2024년 한 해 동안 국가 전체 빙하 277곳 중 8곳이 완전히 사라지는 역사적인 빙하 소멸이 관측됐다. 이는 스웨덴 내 고해상도 위성감시가 시작된 2000년 이후 처음 있는 일로, 기후변화가 가속화되는 명백한 지표로 꼽힌다. RTE 뉴스, Ground News, AFP, UNESCO State of the Cryosphere 2024,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 2024, Euronews, Tarfala Research Station 공식 홈페이지, IPCC 보고서에 따르면, 스톡홀름 대학교 타르팔라 연구소의 빙하학 권위자 니나 키르히너 교수는 "연구팀이 위성 이미지 연례 분석을 진행하던 중 2024년 가장 빙하가 작았을 때, 8개의 빙하가 위성 영상에서 완전히 사라진 것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또 "처음엔 데이터 오류를 의심했으나 재확인 결과 명확히 빙하가 소멸했다"고 전했다. 사라진 빙하에는 스웨덴 최북단에 위치한 쿠누요켈른(Cunujokeln) 빙하가 포함되며, 가장 큰 소멸 빙하는 축구장 6개 크기에 달한다. 키르히너 교수는 "이 빙하들은 우리의 생애 동안 다시 돌아오지 않