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가 주도하는 3억 달러(약 4200억원) 규모의 특수목적 인수회사(SPAC) ‘뉴 아메리카 어퀴지션 코퍼레이션(New America Acquisition Corp.)’이 미국 제조업 심장부 공략에 본격 나섰다. 2025년 8월 SEC(미 증권거래위원회) 제출 서류와 USAToday, Forbes 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이 SPAC은 자본금 3억 달러 유치 후, 기업가치 최소 7억 달러 이상인 미국 내 제조업체 인수·합병(M&A)을 추진하며 산업 생태계와 핵심 공급망 강화, 혁신 시스템 확대를 직접 목표로 삼는다. 플로리다 본사, 뉴욕증시 상장 추진…창립자 주식 500만 주 무상할당 플로리다에 본사를 둔 이 SPAC은 개당 10달러씩 3000만 단위(유닛) 공모로 NYSE(뉴욕증권거래소) 상장을 추진한다. 창업주인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에릭 트럼프는 자문위원회에 합류, 각각 200만주, 300만주 등 총 500만주 창립자 지분을 확보했다. 이는 M&A 성사 시 상당한 평가차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 구조다. 미디어·기술 베테랑 등 경영진 전진 배치 케빈 맥건(전 T-Mobile 광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의 비밀 딸로 추정되는 엘리자베타 크리보노기흐(22)가 최근 "수백만명의 생명을 앗아가고 내 삶을 파괴한 그 남자"라는 암호 같은 텔레그램 게시글로 수년 동안 이어진 침묵을 깼다. 이는 푸틴을 직접 언급하지 않았으나, Economic Times, Meduza, TheMoscowTimes, NYPost 등의 해외 주요 매체와 독일 빌트(Bild) 등에서 푸틴을 겨냥한 첫 공개 비판으로 해석됐다. “다시 세상에 내 얼굴을 보여줄 수 있다는 것은 해방감을 준다. 내가 누구인지, 그리고 누가 내 삶을 파괴했는지를 상기시켜준다”는 그의 고백은 곧바로 파장을 일으켰다. 사치스러운 인생에서 파리 망명 아트업계까지 2003년 3월 3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출신인 크리보노기흐는 푸틴과 그 측근이었던 청소부 출신 스베틀라나 크리보노기흐 사이에서 태어났다는 설이 2020년 러시아 탐사보도 매체 '프로옉트(Proekt)'를 통해 널리 알려졌다. 출생증명서에 부칭이 ‘블라디미로브나’로 명시되어 있으나, 부(父) 란은 비어 있다. 스베틀라나의 자산은 딸 출생 후 단기간에 약 1억달러로 급증했으며, 이는 Bank Rossiya(뱅크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인류가 ‘술꾼’으로 태어날 수밖에 없었던 비밀이 진화 연구로 확인됐다. 미국 다트머스대와 영국 세인트앤드루스대 공동 연구진이 발표한 최근 논문(ADH4 진화, 발효 과일 섭취 분석)과 BBC, Nature등의 보도에 따르면, 인류의 조상은 나무에서 생활하다가 땅에서 떨어진 발효 과일을 자주 섭취하는 습성이 있었고, 이 결과 아프리카 유인원보다 알코올 분해 효소(ADH4) 활성도가 40배 이상 폭발적으로 향상됐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땅에 떨어진 ‘발효 과일’이 만든 숙련된 알코올 분해자 연구진에 따르면, 약 1000만년 전 인류 조상이 땅에서 열매를 주워 먹기 시작하면서 자연발효된 과일의 알코올에 노출되는 빈도가 비약적으로 늘어났다. 이에 따라 알코올 대사에 관한 효소(ADH4)가 강하게 선택적으로 진화해, 기존 아프리카 영장류에 비해 40배나 강력한 알코올 분해 능력을 갖추게 됐다. 특히 인간은 침팬지 등 나무 위 생활에 특화된 영장류보다 발효 과일 알코올을 더 빨리, 더 많이 대사하는 대사 경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이 실험으로 확인됐다. 진화사의 ‘술친구’…현대인 음주 문화와의 관계 연구 논문에서 “자연적으로 바닥에 떨어진 열매는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8월 5일 서울 중구 신세계백화점 본점에 폭발물 설치를 알리는 글이 인터넷 커뮤니티에 올라와, 영업 중인 백화점 내부 이용객과 직원 등 수백명이 긴급 대피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국내 대표적 도심 상권의 핵심이자 하루 이용객 평균 8만~10만명 수준인 신세계백화점 본점에서 벌어진 사건에 대한 경찰과 시민사회의 긴장감이 높아졌다. “폭약 설치”…글 한 줄에 도심 상권 셧다운 서울경찰청에 따르면, 이날 오후 1시 43분경 “신세계백화점 본점 1층에 폭약을 설치했다”는 내용의 게시글이 한 인터넷 커뮤니티에 나타나자, 신고 접수와 동시에 경찰과 소방당국이 출동했다. 백화점 방문객 및 임직원 등 모든 인원을 신속히 대피시키는 한편, 회현사거리~서울역사거리 방면 도로 일부까지 통제됐다. 경찰특공대(EOD)는 건물 내외부에 대한 정밀 수색을 벌이고 있으며, 경찰 관계자는 “현재 인원 대피는 거의 완료됐고, 실제 폭약 유무는 확인 중”이라고 설명했다. 오후 3시 현재 신세계백화점 본점은 영업을 전면 중단한 상태다. 강남·명동 등 유사 사건 연쇄…최근 3년간 ‘폭발물 협박’ 142건 경찰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전국적으로 ‘폭발물 설치 협박’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제로 콜라’와 같은 인공 감미료 첨가 음료가 오히려 기존 설탕 음료보다 제2형 당뇨병 발병 위험을 더 높인다는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건강에 덜 해로운 대체재로 인식되던 제로음료가 실상은 ‘당뇨병 위험 음료’가 될 수 있다는 분석이다. Australian study, Monash University, RMIT, Cancer Council Victoria, <Diabetes & Metabolism> 2025, [Oncology Republic], [ScienceAlert], [New Atlas] 등의 발표와 보도를 취합해 인공감미료 첨가음료의 건강 유해성에 대해 알아봤다. 1캔만 마셔도 당뇨병 위험 최대 38%↑…설탕음료(23%)보다 높아 호주 모나시대학교, RMIT(로열 멜버른 공과대), 빅토리아 암협회 공동 연구팀은 40~69세의 호주인 3만6608명을 대상으로 약 14년간 인공 감미료 및 설탕 음료 섭취 습관을 추적 관찰했다. 연구 결과 인공 감미료가 첨가된 음료를 하루 한 번 이상 마신 사람은 제2형 당뇨병 위험이 38%나 증가했다. 같은 빈도로 설탕음료를 마신 사람의 위험 증가율(23%)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테슬라 이사회가 2025년 8월 4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 CEO에게 약 290억 달러(한화 약 40조원) 규모의 새로운 보상 패키지를 승인했다. CNBC, ABC News, NDTV 등의 매체들의 보도에 따르면, 9600만주의 제한주식으로 구성된 이번 제안은 최근 6년째 이어지는 기록적인 임원 급여 논란과 치열한 법적 분쟁의 한복판에서 나온 결정으로, 전기차에서 인공지능(AI)·로보틱스 기업으로 신속히 탈바꿈 중인 테슬라의 향방에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2차례 무효 판결에도 '머스크 붙잡기' 카드 꺼낸 이사회 머스크에게 주어질 9600만주(약 290억 달러)는 주당 약 302달러(전일 종가 기준)에 달하며, 그는 베스팅(행사조건 충족 시 주식 취득) 시점에 주당 23.34달러를 테슬라에 지불해야 한다. 이는 2018년 기존 보상의 행사 가격과 동일하다. 새 패키지는 두 가지 조건이 선행돼야 한다. 머스크가 향후 2년간 테슬라에서 최고 경영진 역할을 유지해야 하며, 만약 델라웨어 주 법원이 항소심에서 기존 2018년 560억 달러(현재 가치 1010억 달러)의 보상 패키지의 효력을 최종적으로 복원할 경우, 새 주식 보상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8월호 보그(Vogue) 미국판에 게스(Guess)가 실은 광고에서 인공지능(AI)으로 창조한 금발 여성 모델이 등장해 전 세계 패션업계를 뒤흔들고 있다. 화려한 줄무늬 원피스와 백을 든 금발의 완벽한 모델. 하지만 이 화보의 하단에는 ‘AI 모델’임이 조그맣게 적혀 있었고, 이 사실이 대중에 알려지며 논란은 일파만파로 확산됐다. “모델 일자리·현실감 위협”…독자들 항의 쇄도·구독 취소 미국 ABC뉴스, CNN, BBC 등 다양한 매체는 이번 보그의 AI 모델 게재가 현실 모델은 물론 포토그래퍼, 메이크업 아티스트 등 패션 생태계 전체의 일자리를 위협할 것이라는 우려를 전했다. 실제로 레딧 등 해외 커뮤니티와 SNS에서는 “현실 여성의 자리를 가짜가 빼앗았다”, “이젠 잡지도 안 본다”며 보그 구독을 해지하는 독자까지 속출했다. 한 틱톡 영상은 270만뷰를 넘기며 AI 모델 논란에 불을 지폈고, “실제 여성도 충분하다. 이제는 실존하지도 않는 ‘완벽한’ 모습을 요구받게 됐다”는 비판이 쏟아졌다. AI 모델, 왜 문제인가?…‘미의 기준’ 획일화·다양성 후퇴 비판 비판의 핵심은 AI 모델이 대체로 ‘백인·금발·이상적 몸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이 2025년 8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민중기 특별검사팀의 피의자 신분으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조사 대상은 HS효성 계열사들이 IMS모빌리티에 투자한 35억원과 이 투자 결정의 배경 및 적법성 등이다. IMS모빌리티는 김건희 여사의 집사로 알려진 김예성 씨가 주요 주주로 참여한 기업이며, 해당 투자가 "전 정권을 염두에 둔 보험성 투자" 아니었는지가 이번 수사의 핵심 쟁점이다. 핵심 쟁점 및 배임 혐의 특검은 조 부회장에게 배임 혐의를 적용했다. 2022년 말, 오아시스 에쿼티파트너스의 투자 제안에 대해 HS효성이 35억원, 카카오모빌리티 등이 30억원 규모로 IMS모빌리티 투자에 참여해 총 180억원이 모였다. 특검은 당시 IMS모빌리티가 사실상 자본잠식 상태였음에도 투자가 이뤄진 경위, 김 여사의 측근이 경영권을 보유했던 점 등을 근거로 "정경 유착성 보험성 투자가 아니었나" 하는 의혹을 집중적으로 조사했다. 재계의 입장과 안전장치 HS효성측은 해당 투자가 단순한 신사업 투자였으며, 조 부회장의 직접적인 개입은 없었고 내부 임원 주도로 검토된 안건이었다고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NH투자증권이 6500억원 규모의 대규모 유상증자를 단행하며 종합투자계좌(IMA) 시장에 출사표를 던졌다. 8월 4일 증권가에 따르면, NH투자증권은 지난 7월 31일 이사회를 열고 최대주주인 농협금융지주를 대상으로 제3자 배정 방식의 유상증자를 결의했다. 신주 발행가액은 할인 없이 2만150원, 신주 상장예정일은 8월 25일로, 상장 예정 주식 수는 3,225만8,064주(발행주식수의 약 10%)에 달한다. 이로써 자기자본 8조원을 충족, 금융당국의 IMA 신규 인가 신청 기준을 확보한 셈이다. NH투자증권의 이번 결정은 IMA 사업자 신청 자격을 확보하기 위한 것으로, 한국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에 이은 세 번째 도전이다. 9월까지 금융위원회에 인가 신청서를 제출한다는 방침으로 업계 초미의 관심을 받고 있다. 작년 말 기준 국내에서 IMA 진출 요건을 갖춘 증권사는 단 두 곳(미래에셋증권, 한국투자증권)뿐이었다. NH투자증권이 대규모 자본 조달에 성공하며 ‘3파전’의 서막이 올랐다. IMA, “고객 원금보장·수익 분배”…초대형 IB 도약의 열쇠 vs 리스크 논란 IMA는 증권사가 원금 지급 의무를 가지면서 고객에게 투자수익을 분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한국 금연 전문가들이 정부에 담뱃값 1만원 인상, 소매점 광고·진열 전면 규제, 신종 니코틴제품 법적 관리 등 7대 정책을 강력 촉구하고 나섰다. 실제 국내 담배 가격은 10년째 4500원(2025년 4월 JT코리아 등 일부 최대 4600원)에서 사실상 동결된 반면, OECD 평균(8000~1만원)에 한참 못 미친다. 전문가들은 “흡연율이 다시 오르고, 신종 전자담배 규제도 시급하다”며, 담배 정책 ‘패러다임 전환’을 요구하고 있다. 이들은 정부에 ▲담뱃값 인상 ▲광고와 진열 규제 ▲모든 실내 공공장소 금연 ▲무광고 표준담뱃갑 도입 ▲담배 및 니코틴제품 관리법 제정 ▲담배의 유해성 관리에 관한 법률의 실행력 확보 ▲금연지원 예산 확대까지 총 7가지 요구안을 내놨다. 10년째 멈춘 담뱃값…“최소 8000~1만원, OECD 수준으로 인상 시급” 한국 담배가격은 2015년 2000원 인상 이후 4500원에 고정됐다. 이는 2024년 기준 OECD 38개국 중 다섯 번째로 저렴한 가격 수준이다. 호주(약 3만1600원), 뉴질랜드(약 2만7000원), 영국·노르웨이(1만6000~2만원대)와 비교해 현저히 낮다. 한국금연학회, 서울대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