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궁내정'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13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겨울이 찾아와 기온이 내려가고 특히 눈이 오면 도로와 하늘, 바다를 누비는 모든 교통수단과 인프라가 숨겨진 적과 맞서야 한다. 얼음과 추위는 단순히 계절적인 불편을 넘어 사고와 피해를 유발하는 주요 원인이다. 도로 위의 블랙아이스, 항공기의 디아이싱, 전력선의 라인 아이싱 등 겨울철 특정 환경에서 발생하는 위험들은 기술과 사전 대비 없이는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1. 도로 위의 보이지 않는 적 : 블랙아이스(Black Ice) 블랙아이스는 도로 표면에 얇게 형성된 투명한 얼음층으로, 운전자들에게는 치명적인 함정이 될 수 있다. 도로 표면이 검게 보이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주로 다리 위나 터널 입구, 그늘진 구간처럼 기온이 낮은 곳에서 발생한다. 얇고 투명하기 때문에 도로 표면이 마치 젖은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접지력을 잃게 만들어 차량이 쉽게 미끄러지게 한다. 주로 겨울철, 밤이나 새벽 시간대에 기온이 급격히 내려가면서 생긴다. 블랙아이스는 눈에 거의 보이지 않기 때문에 운전자가 도로 위의 얼음을 인지하지 못한 채 주행할 위험이 크다. 영어권에서는 'Invisible Ice' 또는 'Clear Ice'라고도 불린다. 형성 원리는 도로 표면의 온도가 영하로 떨어질 때, 공기 중의 습기가 응결하거나 녹은 눈이 다시 얼어붙어 만들어진다. 때론 공기 중의 수증기가 도로에 직접 얼음으로 응결하는 경우도 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일부 국가에서는 도로 표면에 열선을 설치하거나 사전에 염화칼슘을 살포해 얼음 생성을 방지한다. 조은경 한국교통안전공단 연구교수는 "기온이 0도 근처일 때는 속도를 줄이고, 겨울용 타이어와 체인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 하늘에서의 얼음 전쟁 : 디아이싱(Deicing) 겨울철 항공기의 가장 큰 적은 표면에 얼음이 형성되는 것이다. 항공기 날개나 엔진 부분에 얼음이 쌓이면 양력이 감소하고 비행의 안정성이 저하될 위험이 크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디아이싱(Deicing) 기술이 사용된다. 비행기의 표면에서 'Ice(얼음)'를 제거한다(de~)는 뜻에서 파생된 단어다. 항공기의 날개, 꼬리날개, 동체 등 주요 표면에 형성된 얼음을 녹이거나 형성을 방지하는 작업을 말한다. 디아이싱은 화학제(글리콜 혼합물) 용액을 고온으로 분사해 얼음을 녹이고, 방빙제(Anti-icing fluid)를 추가로 도포해 비행 중에도 얼음이 형성되지 않도록 한다. 항공사들은 이륙 전 철저한 디아이싱 작업을 시행하며, 특히 극지방이나 고산지대를 지나는 항공편에서는 방빙 시스템을 필수적으로 점검한다. 이 과정은 비용이 높지만, 안전을 위한 불가피한 투자다. 3. 전력망을 위협하는 얼음 : 라인 아이싱(Power Line Icing) 겨울철 강설과 저온이 이어지면 전력선에 얼음이 두껍게 쌓이는 라인 아이싱(Power Line Icing) 현상이 발생한다. 얼음의 무게로 인해 전력선이 끊어지거나 전봇대가 넘어지는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이는 단순한 정전을 넘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심각한 문제로 평가된다. 해결책으로는 전력선에 발열 장치를 설치하거나 방빙제를 코팅하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드론을 활용해 전력선에 쌓인 얼음을 제거하는 기술도 개발되고 있다. 한 연구자는 "겨울철 라인 아이싱 문제를 해결하지 않으면 전력망의 신뢰도가 떨어지고 복구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할 것"이라고 경고한다. 4. 해상·항구에서의 얼음 문제 : 시 스프레이 아이싱(Sea Spray Icing)과 도크 아이싱(Dock Icing) 해상에서의 얼음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강풍과 추위가 겹치면 바닷물이 미세한 물방울 형태로 선박에 분사되면서 배나 구조물 표면에 얼어붙는 시 스프레이 아이싱(Sea Spray Icing) 현상이 발생한다. 이는 선박의 갑판, 장비, 심지어 조타 장치에 얼음이 쌓여 안정성이 떨어지거나 선박의 무게 중심을 변화시켜 위험을 초래한다. 항구에서는 도크 아이싱(Dock Icing) 문제가 발생한다. 부두나 선박 정박 구역에 얼음이 쌓여 물류 작업이 지연되고 선박 손상 가능성이 커진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선체가열 시스템, 방빙제 코팅 등 다양한 기술과 심각한 기상상황일 경우 항로변경까지 하는 경우도 있다. 5. 교통 인프라와 도로 설계의 한계 : 워터 플래닝(Hydroplaning), 스노우 슬러시(Snow Slush), 터널 드립핑 아이스(Tunnel Dripping Ice) 겨울철에는 얼음뿐만 아니라 녹은 눈과 물이 도로 위에 얇게 깔리면서 차량이 제어력을 잃는 워터 플래닝(Hydroplaning) 현상도 큰 문제다. 자동차 타이어와 도로 사이에 물이 얇은 막을 형성하여 차량의 접지력을 상실하는 현상을 말한다. 또한, 눈이 녹은 후 다시 얼어붙으며 얼음과 눈의 혼합물로 형성된 스노우 슬러시(Snow Slush)는 차량의 타이어 손상을 유발하고 도로 미끄럼 사고를 증가시킨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는 트레드 깊이가 충분한 타이어 사용, 배수 성능을 높인 도로 설계, 스마트 도로 시스템, 친환경 제설제 개발 등이 제안되고 있다. 터널 내부의 천장에서 물이 떨어져 얼음으로 변하는 현상인 터널 드립핑 아이스(Tunnel Dripping Ice)도 도로 표면의 블랙아이스처럼 미끄럼 사고를 유발한다. 터널내 사고발생시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는 만큼 터널 내 온도 관리, 배수 설비 개선은 중요하다. 6. 항공기의 또 다른 적 : 윈드 실드 프로스팅(Windshield Frosting), 윈드실드 서멀 쇼크(Windshield Thermal Shock), 서모크라스트(Thermoclast) 윈드 실드 프로스팅(Windshield Frosting)는 항공기 또는 자동차의 앞유리(윈드실드)에 급격히 성에가 끼는 현상이다. 조종사의 시야를 가로막아 사고로 이어질 가능성이 크다. 열선 윈드실드, 성에 방지 스프레이, 자동 디프로스팅 시스템이 해결책이다, 또 항공기가 고온 지역에서 출발해 고도가 높은 차가운 환경에 진입할 때, 기체 내부의 급격한 온도 차로 앞유리가 깨지는 현상을 윈드실드 서멀 쇼크(Windshield Thermal Shock)도 조심해야 한다. 조종석의 압력 손실 및 구조적 손상으로 비행기 전체가 위험할 수 있다. 특히 극지방 비행시 발생할 수 있는 서모크라스트(Thermoclast)도 무서운 적이다. 항공기가 극지방의 온도 변화와 강한 풍속으로 인해 날개나 엔진에 얼음 결정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7. 기온 변화로 인한 철도 문제 : 레일 버클링(Rail Buckling) 기차와 지하철이 다니는 철길에서는 추위보다 오히려 더위를 조심해야 한다. 여름철 고온으로 인해 철로가 팽창하며 휘어지는 현상이 레일 버클링이다. 이 현상으로 여름철 열차 탈선 등 대형 사고가 발생한 적도 있다. 겨울철 숨겨진 적들은 단순히 날씨 탓으로 돌리기엔 그 영향력이 크다. 도로 위의 블랙아이스와 항공기의 디아이싱은 사람의 생명을 위협하고, 안전과 직결된다. 또한 라인 아이싱은 사회 전반의 전력망 안정성을 흔들고, 해상과 항구에서의 얼음 문제는 물류와 경제적 손실로 이어진다. 기후전문가들은 "기후 변화로 인해 기상으로 인한 교통수단에서의 문제들은 더 자주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면서 "사전 대비와 기술적 해결이 없다면 겨울철 교통과 인프라는 지속적인 도전에 직면할 것이다"고 경고한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현대자동차는 신차 개발 시 각 모델에 고유한 프로젝트명(코드명)을 부여해 내부적으로 관리하고 있다. 이러한 코드명은 차량의 세그먼트, 제조사, 세대 등을 나타내는 알파벳 조합으로 구성된다. 예를 들어, 'D'는 중형 승용차를, 'N'은 현대자동차를 의미하며, '8'은 8세대를 나타낸다. 따라서 'DN8'은 현대자동차의 8세대 중형 승용차인 쏘나타를 의미한다. 모델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생산, 마케팅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용도로 활용된다. 이러한 프로젝트명은 내부 신차 개발 과정에서 차량을 구분하고 관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차량의 세대 변화와 함께 업데이트되기도 한다. 현대자동차 주요 모델의 프로젝트명과 실제 차량 출시시기를 알아봤다. ◆ 그랜저 (Grandeur) 1세대 (1986년): L 2세대 (1992년): LX 3세대 (1998년): XG 4세대 (2005년): TG 5세대 (2011년): HG 6세대 (2016년): IG 7세대 (2022년): GN7 ◆ 쏘나타 (Sonata) 1세대 (1985년): Y1 2세대 (1988년): Y2 3세대 (1993년): Y3 4세대 (1998년): EF 5세대 (2004년): NF 6세대 (2009년): YF 7세대 (2014년): LF 8세대 (2019년): DN8 ◆ 아반떼 (Avante) 1세대 (1990년): J1 2세대 (1995년): J2 3세대 (2000년): XD 4세대 (2006년): HD 5세대 (2010년): MD 6세대 (2015년): AD 7세대 (2020년): CN7 ◆ 제네시스 브랜드(G70, G80, G90) - G70: 1세대 (2017년): IK - G80: 1세대 (2016년): DH 2세대 (2020년): RG3 - G90: 1세대 (2015년): HI 2세대 (2021년): RS4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김정영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11월 24일 정우성이 문가비가 최근 낳은 아들의 친아버지로 밝혀지면서 온라인은 뜨겁게 달아올랐다. 이미 일본 국적의 방송인 사유리가 정자기증을 받아 출산해 '자발적 미혼모'의 길을 걷기로 하는 등 한국 사회에서도 혼외자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다. '새로운 가족의 탄생' '변형된 다부다체제' '선진국으로 가는 통과의례' '저출산문제에 대한 해결책(?)' '가족 개념이 바뀌는 본격적인 신호탄' 등의 찬반의견과 함께 비혼 출산, 혼외자에 대한 논란도 한층 가열되고 있다. 혼외자는 정확히 무엇이고 국내 혼외자는 얼마나 있을까. 혼외자 이슈로 시끄러웠던 사건사고들을 알아봤다. 혼외자란 법률상의 혼인 관계가 없는 남녀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를 말한다. 더 쉽게 말하면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남녀의 사이에서 태어난 자녀다. 결혼은 했지만, 혼인신고를 안한 상태의 자식도 혼외자다. 확실히 법률적으로 부부라는 것을 인정받으려면 혼인신고를 해야 한다. 혼외자(婚外子)의 한자는 婚(혼인할 혼), 外(바깥 외), 子(자식 자)를 쓴다. 한자 그대로 직역하면 혼인 외의 자식을 말한다. 즉 혼인 상태에 낳은 자녀를 친생자, 혼인 상태 아닌데 낳은 자녀를 혼외자라 부른다. 일반적으로는 배우자의 외도로 인해 태어나는 경우가 많고 그 외에도 사실혼, 무효혼 사이에서 태어난 경우도 혼외자가 될 수 있다. 혼인 외 출생아 수는 2023년 사상 처음으로 1만명을 돌파했다. 지난 8월 통계청이 발표한 '2023년 출생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외 출생아 수는 1만900명이다. 이는 1981년 관련 통계 작성 이래 역대 최대치로, 전체 출생아 23만명의 4.7% 수준이다. 전체 출생아 20명 가운데 1명은 혼외자라는 설명이다. 출생아수는 줄고 있지만 혼인 외 출생아 수는 2021년 7700명, 2022년 9800명, 2023년 1만900명 등 최근 3년째 늘고 있는 추세다. 그간 유교적 전통을 중시해 온 우리사회 통념상 결혼과 출산은 연결고리처럼 필수코스였다. 이를 반영하듯 혼인외 출생자 비율은 1981년 통계 집계 이래 줄곧 0~2%대 초반에 머물렀다. 그러다 2018년 2.2%로 올라섰고, 2020년 2.5%, 2021년 2.9%, 2022년 3.9%에 이어 지난해 4%대를 넘어선 것이다. 혼외자 비율과 이에 대한 사회적 인식은 국가마다 크게 다르다. 한국에서는 4%를 넘어선 것이 역대 최대 기록일 정도로 보수적인 나라지만, 유럽에서는 상당수 국가들이 절반의 비율로 혼외자가 많다. 프랑스의 2021년 기준으로 혼외자 출생률은 약 63%로, 신생아의 절반 이상이 혼인 외에서 태어날 정도다. 프랑스에서는 다양한 가족 형태를 인정하고 지원하는 사회적 분위기가 조성되어 있다. 혼인 여부와 관계없이 자녀 출산과 양육이 사회적으로 수용되며, 법적·제도적 지원도 이루어지고 있어 혼외자에 대한 개념과 논의가 없을 정도다. 스웨덴의 혼외자 출생률은 약 54.5%로, 절반 이상의 신생아가 혼인 외에서 태어난다. 스웨덴 역시동거와 같은 다양한 가족 형태를 사회적으로 인정하며, 혼외 출산에 대한 부정적 시각이 거의 없다. 국가 차원에서 모든 아동에게 평등한 권리를 보장하고 있다. 영국의 혼외자 출생률은 약 48.4%, 미국의 혼외자 출생률은 약 39.6%에 이를정도로 혼외자의 비율이 높다. 과거에는 혼외자가 상속 등에서 차별을 받았으나, 현대에는 법적 권리가 동등하게 보장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혼외자에 대한 사회적 인식도 점차 개선되고 있으며, 다양한 가족 형태에 대한 한 모습으로 받아들이는 분위기가 확대되고 있다. 젊은층 대상의 최근 통계에서도 "결혼은 의미, 결혼 통한 자녀출산"의 공식도 깨지는 분위기다. 통계청 '2024년 사회조사'에 따르면 올해 20~29세 가운데 42.8%가 '결혼하지 않고도 자녀를 가질 수 있다'고 답했다. 2014년 30.3%가 긍정적인 답변을 한 것과 비교하면 10년 새 12.5%포인트 증가했다. 혼외자를 둔 국내 유명인사는 누가 있는지를 알아봤다. 혼외자 문제는 연예인을 비롯해 정치인, 고위 공직자 그리고 재벌집안에서도 단골 이슈였다. 우선 영화배우 하정우의 이버지인 김용건 배우를 꼽을 수 있다. 배우 김용건은 2021년 3월 70대의 나이에 혼외자 늦둥이 소식으로 놀라움을 안겼다. 김용건은 1977년 결혼해 슬하에 배우 하정우, 김영훈을 뒀으나 1996년 이혼했다. 아이돌 그룹 SS501 출신 김현중은 2022년 첫사랑과 결혼을 발표하고 그해 10월 아들을 품에 안았다. 그러나 2015년 전 여자친구와의 사이에서 이미 첫 아들을 혼외자로 낳은 것으로 알려져 세상을 떠들썩하게 만들었다. '1세대 대표 아나운서'로 유명했던 임택근 전 아나운서는 생전 복잡한 가족 관계로 유명했다. 가수 임재범과 배우 손지창은 임택근 전 아나운서의 혼외자로, 두 사람은 이복 형제다. 손지창의 경우 자신을 키워준 이모부의 성을 따라 성이 손씨가 됐다. 민주화의 상징 고 김영삼 전 대통령도 혼외자가 있었다. 고 김영삼 전 대통령은 그의 존재를 인정한 적이 없으나, 혼외자 김상만(1959년생)씨가 인지청구소송을 제기하였고, 2011년 서울가정법원 판결을 통해 법률상의 친생자로 인정받았다. 2013년 제39대 검찰총장으로 임명된 채동욱 전 총장도 같은해 9월 혼외자 논란에 휩싸여 불명예 퇴진했다. 2013년 작가 이외수에게도 혼외자가 있음이 세상에 알려졌다. 생모인 오씨가 이외수를 상대로 춘천지방법원에 친자 인지 및 양육비 청구소송을 내면서다. 이외수, 전영자 부부는 결혼 44년 만인 지난 2018년 말부터 별거에 들어가며 졸혼을 선언했다. 재벌가와 기업 오너들 사이에서도 혼외자와 관련된 사건들은 종종 사회적 이슈로 부각되어 왔다. 2015년 12월,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한 언론에 보낸 편지를 통해 혼외자 존재를 공개적으로 인정하며, 부인 노소영 아트센터 나비 관장과의 이혼 의사를 밝혔다. 이 사건은 재계와 사회에 큰 파장을 일으켰으며, 이후 이혼 소송과 재산 분할 문제로 이어지며 소송이 진행중이다. 범현대가인 정몽익 KCC글라스 회장도 내연녀와 혼외자 문제로 부인 최은정씨와 1100억원대의 초대형 이혼 소송을 벌였다. 정 회장은 고(故) 정상영 KCC 명예회장의 둘째 아들이고 부인 최 씨는 고(故) 신격호 롯데 명예회장의 외조카다. 정 회장은 16살 아래인 다른 여성과 결혼식을 올리고 자녀까지 둔 것으로 알려져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켰다. 고(故) 이맹희 전 CJ그룹 명예회장의 혼외자인 이재휘씨가 이 전 명예회장의 장남 이재현 CJ그룹 회장과 부인 손복남씨 등에게 자신의 상속분을 달라며 소송을 제기했지만 패소한 사건도 있었다. 삼성 이병철 창업주의 장남인 이맹희 전 명예회장은 1964년 여배우 박모씨와의 사이에서 이씨를 얻었다. 그러나 당시엔 호적에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외국 유학을 다녀와 한국에 정착해 사업을 하던 2004년 이 전 명예회장을 상대로 친자 확인소송을 냈고, 유전자 검사를 거쳐 2006년 친자임을 인정받았다. 서정진 셀트리온그룹 회장도 장남 서진석 의장, 차남 서정수 이사 이외 호적에 딸 2명이 더 있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생활 논란에 휩싸였다. 혼외자 2명이 2021년 수원가정법원 성남지원에 친생자 인지 청구 소송을 제기했고 같은 해 11월 조정 성립으로 2명의 혼외자가 법적 딸로 호적에 올랐다. 두 딸의 친모는 2001년 당시 가정이 있었던 서 회장과 사실혼 관계를 맺은 것으로 알려졌다. 조희준 전 국민일보 회장과 차영 전 MBC 아나운서(대통령 문화관광비서관, 통합민주당 대변인 역임) 사이에도 혼외자 문제가 불거졌다. 조 전 회장은 조용기 여의도 순복음교회 원로목사의 장남이다. 차씨는 2013년 8월 조씨를 상대로 친자확인 및 양육비 청구 소송을 내면서 “2001년 3월 청와대 만찬에서 조씨를 처음 만나 교제했고 이혼 후 그와 동거하다가 2002년 8월 미국 하와이에서 아들을 낳았다. 조씨가 강력하게 권유해 전 남편과 이혼하고 아들을 낳았는데 정작 2004년 1월 일방적으로 연락을 끊고 결혼 약속을 지키지 않았다”고 주장했다. 태광그룹의 경우 故 이임용 창업주의 친자로 확인된 이유진씨가 부친의 차명재산 중 상속분을 돌려달라고 소송을 내 이복형인 이호진 전 회장과 법적 다툼을 벌였다. 이씨는 친자확인 소송을 거쳐 이 창업주의 친자로 인정받았다. 이 외에도 故 이병철 삼성그룹 회장이 일본인 여성과 낳은 혼외자 이태휘씨가 삼성가 상속소송에서 이름이 언급됐다. 코오롱그룹은 2004년 창업주 故 이원만 회장의 혼외자라 주장하는 이동구씨가 상속소송을 제기해 법적다툼을 벌인 바 있다. 2023년 펜싱 국가대표 출신 남현희씨의 재혼 상대로 알려졌던 전청조씨는 자신을 파라다이스그룹 전필립 회장의 혼외자라고 속이고 피해자들을 속이는 수법으로 억대의 돈을 가로챈 사기사건도 있었다. 파라다이스그룹은 “명백한 허위사실”이라며 기업 이미지 실추 등 피해를 겪었다. 카지노·호텔 등 관광서비스 사업을 진행하는 파라다이스그룹은 2004년 창업자인 전락원 회장의 타계 이후 장남인 전필립 회장이 그룹을 이끌고 있다. 2017년 팝 아티스트 낸시랭씨에게 접근한 왕진진(본명 전준주)씨도 파라다이스그룹 혼외자를 사칭해 사기 행각을 벌였다. 2003년에는 배우 김상중 씨가 파라다이스그룹 회장 딸을 사칭한 여성과 결혼을 발표했다가 파혼한 일도 있었다. 재계 한 관계자는 "재벌가에서 혼외자 이슈는 흔한 이슈 중 하나며, 조세포탈·횡령·배임·상속 등 재판과정에서 혼외자 존재가 드러나는 경우가 많았다"며 "재벌가의 사생활이 기업 경영과 사회적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로 관련된 법적·도덕적 논의도 이뤄지는 추세"라고 말했다. 해외 유명인사로는 일론 머스크와 스티브 잡스를 꼽을 수 있다. 머스크는 트럼프를 47대 대통령으로 당선시킨 일등공신으로 부각되며 연일 그의 행보가 화제가 되고 있는 가운데 사적으로도 이슈가 많다. 머스크는 총 12명의 자녀를 뒀다. 머스크는 첫 째 부인 저스틴 윌슨(Justine Wilson·2000~2008년) 사이에 네바다, 그리핀, 비비안, 카이, 색슨, 다미안 등 6명을 두었다. 하지만 네바다는 돌연사 증후군(SIDS)로 10주 만에 사망했다. 이후 영국 배우인 탈룰라 라일리 (Talulah Riley·2010년~2012년, 2013년~2016년)와 결혼했지만 자녀를 두지 않았다. 이후 미국 배우 앰버 허드(Amber Heard)와 짧은 연애를 했고, 캐나다 가수인 그라임스(Grimes)와 결혼 없이 X Æ A-Xii, 엑사 다크 사이더릴, 테크노 메카니쿠스 등 3명을 낳았다. 또 오픈AI 출신인 현 뉴럴링크 임원인 시본 질리스와 체외 수정으로 2021년 애저와 스트라이더를 낳았다. 또 이번 출생으로 12번째 자녀를 얻게됐다. 현재 생존한 자녀는 총 11명이다. 애플 공동 창업자인 故 스티브 잡스도 리사 브레넌 잡스를 23세에 혼외자로 두었으며, 이후 관계를 인정하고 친밀하게 발전시켰다. 배우이자 정치인으로 변신한 아놀드 슈워제네거는 캘리포니아 주지사 재임 중 가정부와의 관계에서 혼외자를 두었다. 또 영화감독 우디 앨런도 미아 패로우와의 관계에서 혼외자를 두었다. 미국 정치인 존 에드워즈는 혼외자 존재가 대선 캠페인 중 폭로되어 정치 경력에 치명타를 입었다. 세계적인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도 혼외 자식을 4명이나 두고 있다. 그의 연인 조지나 로드리게스는 호날두와 법적인 혼인 관계는 아니다. 사실혼 관계인 조지나는 호날두의 혼외자식 3명과 자신이 낳은 딸을 함께 키우고 있다. 조지나는 “호날두를 만나기 전 마드리드에서 월세 250파운드(약 40만원) 창고에서 살았다. 여름에는 빵이 구워질 만큼 더웠고, 겨울에는 모두 얼어붙을 정도로 추웠다. 냉난방비를 낼 여유가 없었다”면서 "호날두를 만난 날 내 인생은 바뀌었다”고 말했다. 당시 조지나는 명품매장에서 시급 10파운드(약 1만 6000원)받고 일하는 평범한 직원이었다. 호날두는 2016년 조지나가 일하는 매장에서 열린 VIP 행사에 참석했고 두 사람은 첫눈에 반했다. ‘축구 황제’는 펠레는 3번 결혼했다. 자녀는 7명이다. 이들 외에도 혼외 자식이 많다.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상품을 판매하는 기업들은 브랜드 로고를 통해 소비자들에게 제품 정체성을 형성하고 차별화된 이미지를 구축한다. 유독 패션, 의류, 쥬얼리 기업들의 브랜드 로고에는 동물 브랜드가 많다. 어떤 브랜드가 어떤 동물로고를 사용하는지, 그 유래와 이유를 알아봤다. 아울러 브랜드 전통과 관련해 재미있는 사건들도 같이 찾아봤다. 동물 이미지를 로고로 활용하는 브랜드들은 각 동물이 지닌 특성과 이미지를 통해 브랜드의 정체성을 표현하고 있다. 이러한 브랜드들은 동물 모티브를 통해 고유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소비자들에게 브랜드를 깊이 각인시키면서 친숙한 이미지를 전달하고 있다. 1. 악어 : 라코스테 라코스테(Lacoste)는 프랑스의 테니스 선수 르네 라코스테의 별명이다. 그는 코트에서 끈질긴 경기 스타일로 인해 '악어'라는 별명을 얻었고, 이후 1933년 설립된 라코스테는 악어를 브랜드 로고로 채택했다. 악어는 끈기와 우아함을 상징하며, 라코스테의 스포츠웨어와 캐주얼 의류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2018년 라코스테는 국제자연보전연맹(IUCN)과 협력해 멸종위기 동물 10종을 로고로 사용한 한정판 폴로 셔츠를 출시했다. 각 동물의 현존 개체 수에 맞춰 생산된 이 셔츠들은 멸종위기 동물 보호의 중요성을 알리는 데 기여했다. 프랑스 파리에 본사를 둔 라코스테는 한국시장에서 동일라코스테(주)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2023년 매출 2995억원, 영업이익 249억원, 당기순이익 199억원을 거뒀다. 영업이익률 8.3%에 달하는 알짜 의류업체로 성장중이다. 1947년 중국 출신의 천(陳)씨 형제가 설립한 브랜드인 크로커다일(Crocodile) 역시 악어를 로고로 사용중이며, 라코스테와 상표권 분쟁을 겪기도 했다. 한국에서는 이 브랜드를 패션그룹형지(회장 최병오)가 운영하고 있다. 2. 여우 : 메종키츠네, 파이어폭스 메종키츠네(Maison Kitsuné)는 프랑스어로 '집'을 뜻하는 '메종'과 일본어로 '여우'를 뜻하는 '키츠네'를 합친 이름의 브랜드로, 여우 로고를 통해 프랑스와 일본의 문화적 융합을 표현한다. 여우는 일본 민속에서 변신 능력을 가진 신비로운 존재로 묘사된다. 이는 브랜드의 다재다능함과 창의성을 상징한다. 메종키츠네는 패션과 음악 레이블을 동시에 운영중이며 다양한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독창적인 컬렉션을 선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 삼성물산 패션부문이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몇년새 매출이 300% 증가하는 등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메종키츠네는 2018년 한국시장에 공식 론칭한 이후 지속적인 성장세를 구가하고 있다. 특히 앤디 워홀의 뮤즈이자 1960년대 서브컬처를 상징하는 배우 에디 세드윅에게 영감을 받아 만든 첫 번째 핸드백인 에디(EDIE)백은 파리 특유의 우아함과 대담한 디자인 그리고 여우 모양의 실루엣 장식까지 핫템으로 인기다. 한편 파이어폭스(Firefox)는 모질라 재단에서 개발한 웹 브라우저로, 붉은 여우 로고를 사용한다. 여우의 빠르고 민첩함처럼 브라우저의 우수한 성능을 강조한다. 3. 표범 : 푸마, 까르띠에, 재규어 독일 헤르조게나우라흐에 본사가 위치한 푸마(PUMA)는 독일의 스포츠 브랜드로, 아메리카 표범을 로고로 사용한다. 푸마는 스피드와 민첩함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스포츠 정신과 역동성을 강조한다. 푸마는 아디다스의 창립자 아돌프 다슬러의 형인 루돌프 다슬러가 설립한 브랜드로, 두 형제의 갈등으로 인해 각각의 브랜드가 분리됐다. 특히 푸마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에서 우사인 볼트가 착용한 스파이크화를 제작해 그의 세계 기록 경신에 기여하면서 글로벌 브랜드로 유명해졌다. 이후 볼트와의 파트너십을 통해 다양한 제품을 출시하며 브랜드 인지도를 높였다. 푸마코리아는 2023년 1256억원의 매출, 97억원의 영업손실을 기록해 나이키와 아디다스의 독과점 체제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다. 까르띠에(Cartier)의 상징 동물은 팬서(Panther)다. 팬서는 흔히 흑표범이라고 불리는 표범, 재규어를 지칭하나 플로리다에 서식하는 퓨마의 개체군도 지칭한다. 어벤져스 시리즈에 등장하는 마블 코믹스의 슈퍼히어로 캐릭터인 블랙 팬서(Black Panther)로 더욱 유명해졌다. 팬서는 1914년 당시 디자이너였던 잔느 투생(Jeanne Toussaint)에 의해 까르띠에의 아이콘으로 처음 도입됐다. 잔느 투생은 강렬하고 우아한 매력을 가진 팬서 이미지를 사랑했으며, 이는 그녀의 별명인 라 파톰(La Panthère, 팬서)'에서도 알 수 있다. 팬서는 1914년 까르띠에 시계에 처음 등장했으며, 이후 목걸이, 팔찌, 시계, 반지등 다양한 주얼리와 액세서리 라인에 반복적으로 사용됐다. 팬서는 우아함, 힘, 독립성, 자유로움을 상징하며, 이는 까르띠에가 추구하는 여성성과 브랜드의 아이덴티티를 담고 있다. 까르띠에 뿐만 아니라 Vacheron Constantin, Van Cleef & Arpels, IWC, JLC, Piaget, Panerai, Roger Dubuis, ALS, Montblanc, Buccellati 브랜드를 보유하고 있는 리치몬트코리아(대표이사 이진원)의 제27기(2022년 04월 01일~2023년 03월 31일) 손익계산서에 따르면, 매출은 1조3979억원, 영업이익은 1250억원, 당기순이익은 750억원을 기록했다. 리치몬트코리아는 Cartier Brand 상품의 수입 및 판매를 목적으로 네덜란드 법인인 Cartier International B.V.의 투자에 의해 1997년 1월 28일 설립됐다. 2001년 10월 까르띠에에서 리치몬트코리아로 사명을 변경했다. 국내 백화점등에 97개의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표범의 일종인 영국의 고급 자동차 브랜드 재규어(Jaguar)도 재규어(표범) 로고를 사용한다. 자동차 브랜드답게 재규어는 속도와 우아함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고성능과 럭셔리 이미지를 강조한다. 4. 개(강아지) : 헤지스 헤지스(HAZZYS)는 영국의 전통적인 감성을 담은 패션 브랜드로, 영국 사냥견인 '잉글리쉬 포인터'를 로고로 사용한다. 강아지는 충성심과 우아함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클래식하고 품격 있는 이미지를 전달한다. 브랜드 이름 '헤지스'는 영국의 명문 사립학교인 해로우 스쿨(Harrow School)의 애칭에서 유래됐다는 설과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로잉(Rowing, 조정)팀이었던 ‘헤지스 클럽’을 모태로 했다는 설이 있다. 한국에서 LF(LG패션)는 헤지스 뿐만 아니라 닥스, 질스튜어트, 리복 등 30여 개 패션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하지만 LF의 매출의 70%가량을 해지스가 담당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약 1조원 이상의 매출을 이뤘을 것으로 추정된다. LF의 2023년 매출은 1조9007억원이다. 헤지스는 국내 기준 남성복 138개 매장, 여성복 117개 매장, 골프 70개 매장 등을 운영하고 있다. 5. 캥거루 : 캉골 캉골(KANGOL)은 1938년 영국에서 모자 브랜드로 설립됐으며, 캥거루 로고를 사용한다. 캉골 브랜드 이름은 니트(Knitting), 앙고라(Angora), 울(Wool)의 조합으로 만들어졌다. 캉골이라는 이름과 발음이 비슷한 캥거루를 로고로 채택해 브랜드의 독창성과 유머를 표현한다. 캉골은 1980년대 힙합 문화의 아이콘으로 자리매김하며, LL 쿨 J와 같은 아티스트들이 착용하며 대중적인 인기를 얻었다. 한국에서는 에스제이그룹이 캉골(KANGOL), 캉골키즈를 비롯해 헬렌카민스키, 팬암(PANAM), LCDC(LE CONTE DES CONTES, 이야기 속의 이야기) 브랜드를 전개하고 사업을 영위중이다. 2021년 매출 1497억원 영업이익 291억원, 2022년 매출 1978억원 영업이익 358억원, 2023년 매출 2037억원 영업이익 154억원을 달성했다. 6. 수탉 : 르꼬끄 스포르티브 르꼬끄 스포르티브(Le Coq Sportif)는 프랑스의 스포츠 브랜드로, 수탉 로고를 사용한다. 1882년 설립 이후 프랑스의 대표적인 스포츠 브랜드로 성장했으며, 특히 투르 드 프랑스의 공식 후원사로서 사이클링 의류를 공급하고 있다. 수탉은 프랑스의 상징으로, 프랑스 브랜드의 자부심과 전통을 나타낸다. 한국에서는 일본기업 데상트코리아가 수입해 운영중이다. 7. 펭귄 : 먼싱웨어 먼싱웨어(Munsingwear)는 미국의 골프웨어 브랜드로, 펭귄 로고를 사용한다. 펭귄은 우아함과 신뢰를 상징하며, 브랜드의 품질과 전통을 나타낸다. 미국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에 본사가 위치해 있으며, 1955년 세계 최초로 골프용 니트 셔츠를 개발해 골프웨어 시장을 선도했다. 브랜드 로고인 펭귄 '피트'는 한 직원이 뉴욕의 바에서 취한 상태로 펭귄 박제를 들고 돌아온 일화에서 유래됐다. 한국에서는 데상트코리아가 데상트를 비롯해 르꼬끄 스포르티브, 먼싱웨어, 엄브로 등 총 6개의 브랜드를 전개하고 있다. 데상트코리아는 일본기업 데상트가 100% 지분을 보유한 완전 일본기업이다. 2023년에는 5350억원의 매출과 372억원의 영업이익을 냈으며, 이중 500억원을 일본 본사에 배당금으로 지급했다. 지난 2018년 당시 매출 7270억원, 영업이익 679억원으로 사상 최대 매출을 기록했지만 이후 '노재팬(일본 제품 불매)' 운동의 후폭풍을 맞으며 2020년에는 사상 최저인 매출액 4986억원, 영업손실 33억원을 기록하며 적자 전환됐다. 8. 유인원 : A Bathing Ape(BAPE) 어 베이싱 에이프(A Bathing Ape, BAPE)는 1993년 니고(Nigo, 토모아키 나가오)가 우라하라주쿠에 설립한 일본의 스트리트 패션 브랜드로, 유인원 로고를 사용한다. 유인원은 독창성과 반항적인 이미지를 상징하며, 브랜드의 스트리트 감성을 강조한다. 한정판 제품과 독특한 디자인으로 전 세계적인 인기를 얻었다. 니고는 2011년 회사의 지분 90%를 홍콩 의류 브랜드 I.T에 매각했고, 중국 브랜드가 됐다가 유럽 CVC파트너스가 인수해 현재는 CVC가 FI로 5대5 구조로 참여하고 있다. 브랜드 이름은 일본어 속담 '미지루에 우카카루 사루'에서 유래됐는데, 이는 '따뜻한 물에 목욕하는 원숭이'를 의미한다. 일본 사람들은 보통 섭씨 40도 이상의 온도에서 매일 목욕을 한다. 미지근한 물에 목욕하는 것은 너무 오랫동안 욕조에 머물러 물이 차가워졌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현대인의 나태함을 풍자한다. 나이키는 2023년 어 베이싱 에이프(A Bathing Ape, 베이프)를 상대로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으나, 지난 4월말 양측은 합의 계약을 체결했다. 이 합의에 따라 베이프는 자사 베이프 스타 미드, 코트 스타, 코트 스타 하이의 판매를 중단하고 베이프 스타, 스케이트 스타의 경우 디자인을 수정하기로 했다. 결국 업계에서는 베이프가 나이키의 디자인을 베겼다는 점을 인정하고, 백기 투항했음을 보여줬다고 평가했다. 9. 말 : 폴로 랄프 로렌, 페라리, 에르메스 폴로 랄프 로렌(Polo Ralph Lauren)은 미국의 패션 브랜드로, 폴로(POLO) 경기를 하는 기수와 말을 로고로 사용한다. 말은 귀족적이고 고급스러운 이미지를 상징하며, 브랜드의 클래식한 스타일을 강조한다. 1972년 폴로 셔츠를 출시해 큰 성공을 거두었으며, 오늘날까지 '폴로셔츠'라는 대명사를 가질 정도로 브랜드의 아이콘으로 자리잡았다. 브랜드 로고의 '폴로 선수'는 창립자 랄프 로렌이 폴로 스포츠의 우아함과 고급스러움을 브랜드 이미지로 삼고자 선택했다. 랄프로렌코리아의 2023회계연도(2023년 4월~2024년 3월) 매출, 영업이익, 순이익은 각각 5176억원, 1557억원, 1265억원을 기록했다. 전년 대비 각각 7.4%, 1.6%, 6.8% 늘어난 수치로, 영업이익률이 무려 30%에 이른다. 패션기업의 영업이익률이 30%수준이라는 것은 상상을 초월한다. 그만큼 한국 소비자들이 폴로 브랜드에 '열광하고 비싸게 사입는다'는 점을 보여준다. 최고의 명품브랜드 에르메스의 브랜드 상징물도 말이다. 에르메스는 1837년 마구 제조업체로 시작해 말과 관련된 제품을 제작하며 명성을 쌓았다. 이러한 역사적 배경을 반영해 말과 마차를 로고로 사용하고 있다. 에르메스코리아는 2023년 매출이 전년 6502억원에서 23% 급증한 7973억원을, 영업이익은 2357억원을 기록했다. 페라리(Ferrari)는 이탈리아의 스포츠카 브랜드로, 도약하는 말 로고를 사용한다. 말은 속도와 우아함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고성능과 품격을 강조한다. 10. 독수리 : 아메리칸 이글 아메리칸 이글(American Eagle)은 1977년 미국에서 설립된 캐주얼 패션 브랜드로, 독수리 로고를 사용한다. 독수리는 미국의 상징이면서 자유와 힘을 상징한다. 또 브랜드의 젊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표현한다. 2000년대 초반 젊은 층을 대상으로 한 마케팅 전략으로 급성장했으며, 아베크롬비와 함께 미국 젊은층들에게 엄청난 인기를 끌고 있다. 본사는 미국 펜실베이니아주 피츠버그에 있다. 한국에서는 2015년 SK네트웍스가 국내에 들여와 명동점을 오픈하며 영업을 시작했으나, 이후 SK네트웍스 패션부문을 현대백화점그룹이 인수하면서 현대G&F로 편입됐고, 현대G&F를 한섬이 흡수하면서 한섬이 운영해 왔다. 그러다 2020년 한섬이 아메리칸이글과의 재계약을 진행하지 않으면서 국내 사업은 철수했다. 아메리칸이글은 용산 아이파크몰, 강남역, 코엑스몰, 고양 스타필드 등 국내 7개점을 운영했으며, 당시 연 매출은 100억원 미만이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11. 곰 : 후아유 후아유(WHO.A.U)는 미국의 캐주얼 브랜드로, 2000년 론칭해 24년 동안 이어오며 장수 브랜드로 자리 잡았다. 곰 캐릭터 '스티브'를 로고로 사용한다. 곰은 친근함과 따뜻함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편안하고 캐주얼한 이미지를 전달한다. 한국에서는 이랜드월드가 사업을 전개하고 있다. 후아유는 2020년 매출 480억원을 기록한 이후 2021년 550억원, 2022년 750억원, 2023년 900억원으로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왔다. 올해는 1000억원을 돌파할 정도로 꾸준히 인기를 이어가고 있다. 12. 호랑이 : 겐조 겐조(KENZO)는 프랑스의 패션 브랜드로, 호랑이 로고를 사용한다. 호랑이는 강인함과 에너지를 상징하며, 브랜드의 독창적이고 대담한 디자인을 강조한다. 겐조를 비롯해 롯데지에프알이 캐나다구스, 까웨 등 패션 브랜드와 뷰티 브랜드 샬롯틸버리등 7개의 브랜드를 한국에서 전개하고 있다. 롯데지에프알은 롯데쇼핑이 2018년 6월 출범시킨 패션 전문 자회사다. 롯데쇼핑이 2010년 인수한 패션 회사 엔씨에프(NCF)와 롯데백화점 패션 사업 부문 글로벌패션(GF) 통합해 출범했다. 롯데그룹의 패션전문 자회사 롯데지에프알은 2018년 출범 당시 2022년까지 매출 1조원을 목표로 내걸었다. 하지만 출범 첫해 롯데지에프알의 매출은 1442억원에서 2023년 1139억원까지 떨어졌다. 영업이익도 2022년 194억원 영업손실, 2023년 92억원 영업손실을 기록하며 적자행진중이다. 13. 돌고래 : 와이케이 와이케이(WAIKEI)는 한국의 패션 브랜드로, 돌고래 로고를 사용한다. 유니섹스 캐주얼 ‘와이케이’를 전개 중인 와이케이스튜디오(대표 김태은, 유승만)는 이랜드 MD 출신의 김태은 대표와 에스모드 서울 출신의 디자이너 유승만 대표 부부가 지난 2017년 런칭한 브랜드다. 돌고래를 키우고 싶어하던 디자이너의 꿈에서 출발한, 엉뚱하지만 사랑스러운 무드의 차별화된 디자인을 선보이고 있다. 시그니처 로고인 돌고래로 유명해졌으며, 20대 초·중반 고객을 타깃으로 사업을 전개중이다. 패션업계에서는 2022년 40억원, 2023년 100억원 가량의 매출을 낸 것으로 추정한다. 14. 상어 : 폴앤샤크 폴앤샤크(Paul & Shark)는 이탈리아의 캐주얼 브랜드로, 상어 로고를 사용한다. 상어는 강인함과 모험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해양적이고 역동적인 이미지를 강조한다. 15. 시조새 : 아크테릭스 아크테릭스(Arc'teryx)는 캐나다의 아웃도어 브랜드로, 시조새 로고를 사용한다. 시조새는 진화와 혁신을 상징하며, 브랜드의 기술력과 품질을 나타낸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이 아크테릭스 제품(파이어비 AR파카, 국내 판매가 145만원)을 입고 등장해 한국에서는 '이재용 패딩'으로 유명해진 브랜드다. 한국에서는 넬슨스포츠가 전개중이며, 2023년 기준 매출은 1157억원으로 전년 대비 78.2% 증가, 영업이익은 전년 대비 3배 이상(248%) 증가한 282억원을, 당기순이익도 3배 이상(222%) 늘어난 237억원을 기록하며 한국시장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넬슨스포츠는 프리미엄 아웃도어 ‘아크테릭스’를 주축으로 하이엔드 ‘베일런스’와 등반 전문 브랜드 ‘스카르파’ ‘매드락’, 백패킹 전문 ‘빅아그네스’, 아웃도어 백팩 브랜드 ‘밀리컨’을 전개하고 있다. 블랙다이아몬드코리아라는 법인으로 클라이밍을 메인으로 한 테크니컬 브랜드 ‘블랙다이아몬드’도 운영 중이다. 16. 북극곰 : 노르디스크 노르디스크(Nordisk)는 1901년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설립된 아웃도어 브랜드로, 북극곰을 상징적인 로고로 사용하고 있다. 이 로고는 북유럽 기원을 강조하며, 북극곰의 강인함과 자연 친화적인 이미지를 통해 노르디스크의 제품 철학을 나타낸다. 노르디스크는 2024년 겨울 컬렉션에서 새로운 뮤즈인 카리나와 협업해 북극곰 로고를 활용한 다양한 패딩과 아우터를 선보였다. 한국에서 의류와 신발 등 패션 제품은 2023년 3월부터 케이투코리아(K2)그룹이 전국 45개 매장을 통해 사업을 전개중이다. 아직 1년이 되지않아 매출액을 공개하기는 부담스럽다는 입장이다. 또 노르디스크의 캠핑용품(텐트, 침낭, 배낭, 매트, 캠핑 가구, 보틀, 컵 등)은 신기그룹이 수입해 국내에 유통하고 있다. 17. 뱀 : 불가리 불가리(Bvlgari)의 상징 동물은 뱀이다. 불가리는 고대 로마의 유산을 기리기 위해 뱀 모티브를 주얼리 디자인에 도입했다. 뱀은 지혜와 영원함을 상징하며, 불가리의 '세르펜티(Serpenti)' 컬렉션에서 그 독특한 디자인을 확인할 수 있다. 불가리코리아의 2023년 매출은 3399억원으로 전년 대비 2.8% 감소했다. 영업이익 역시 전년(520억원)보다 8.3% 줄어든 477억원을 기록했다. 한국에서 2023년 2월과 7월 각각 평균 7% 가격을 올렸고, 이에 소비자들은 오히려 등을 돌린 것으로 알려졌다. 패션 의류업체들이 브랜드 로고, 특히 동물 모티프를 활용하는 이유는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소비자와의 감정적 연결, 시각적 차별화, 문화적 상징성, 그리고 럭셔리 이미지 강조 등 다양한 전략적 목적에 기인한다. 패션디자인 연구자 이민경 박사는 '해외 패션 명품 브랜드 로고의 기호학적 분석'에서 "브랜드 로고는 소비자에게 브랜드의 이미지를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며, 동물 모티프는 브랜드의 고유한 아이덴티티를 강화하고 차별화를 이끌어낸다"고 언급했다. 특히 동물은 브랜드 철학을 시각적으로 강화하고, 소비자와의 감정적 유대감을 형성해 브랜드 가치 극대화의 최적의 도구로 기능한다. 소비자 감성평가 분야 권해경 연구원은 '패션 브랜드 로고마크의 시각적 요소가 소비자 감성 평가 및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동물 모티프를 활용한 로고는 소비자의 감성 평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이는 구매 의도로 이어질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 패션이라는 제품특성상 글로벌 지향성을 띠기 때문에 세계인 공통이면서 보편적 상징인 동물을 통해 '국가와 언어의 장벽을 넘어 보편적인 이미지'를 전달할 수 있다. 패션 비즈니스 전문가는 "동물 모티프는 다양한 문화권에서 고유한 의미를 가지며, 이를 통해 브랜드 로고는 글로벌 시장에서 지역 소비자들과 공감대를 형성하며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을 할 수 있다"면서 "브랜드 아이덴티티 강화, 소비자와 감성적 연결, 문화적 상징성 등을 통해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높이는 필수 전략이다"고 강조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건빵 16개, 비스킷 12개, 크래커 9개, 초콜릿 쿠키는 없다. 이것은 무엇일까요? 비스킷, 크래커, 쿠키 모두가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다르게 부르고 있어서 굉장히 헷갈린다. 이들 과자의 공통점은 "작고 납작하거나 수분함량이 적은 소형 건과자"로 볼 수 있다. 건빵, 비스킷, 쿠키는 모두 밀가루로 만든 제과류지만, 조리 방식, 재료 구성, 용도와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이 과자들은 구멍의 유무와 위치, 갯수에 따라 차이가 난다. 건빵은 단단함과 보존성을 위해 구멍을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열을 고르게 전달하는 방식이다. 비스킷은 바삭함을 유지하기 위해 구멍을 통해 반죽이 부풀지 않도록 조정하는 방식이다. 쿠키는 부드럽고 촉촉한 식감을 위해 구멍이 거의 없다. 또 미국에서는 쿠키(Cookie), 영국에서는 비스킷(Biscuit), 프랑스에서는 푸르 세크(Four sec), 독일에서는 게베크(Gebaeck), 스위스에서는 콘펙트(Konfekt)라는 각각의 과자형태로 불린다. 1. 건빵 (Hardtack) 건빵의 원형은 고대 로마의 군대가 먹었던 'paximadia'에서 유래했다. 이는 밀가루, 소금, 물로만 만든 딱딱한 빵으로, 유통기한이 길고 보존성이 뛰어나 장기 원정이나 전투에 적합했다. 건빵은 나라별 역사적 배경과 용도에 따라 조금씩 다르게 발전하고 활용됐다. 미국에서는 ‘hardtack’이라는 이름으로 불리며, 19세기 내전시 비상식량으로 많이 사용됐다. 일본에서는 ‘칸판’(乾パン, Kanpan)이라고 부르며, 대규모 재해 대비용 식량으로도 사용한다. 프랑스 군대에서는 비상식량으로 ‘Galette de Campagne’라는 유사한 건조빵을 사용한다. 건빵은 작은 구멍들이 여러 개 뚫려 있으며,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다. 건빵의 구멍은 수분을 완전히 제거하기 위해 설계됐다. 구멍을 통해 열과 공기가 반죽 내부까지 골고루 전달되면서, 건조하고 단단한 식감이 유지된다. 요즘 건빵은 비스킷처럼 구멍 수가 많지 않고 두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이는 적당한 두께를 유지하기 위해서다. 건빵에 구멍을 많이 뚫으면 내부의 압력이 모두 새어나와, 부풀어 오르지 못하기 때문에 납작해져 버린다. 또 구멍이 하나밖에 없으면 배가 더 볼록한 빵이 되어 버린다. 2. 비스킷 (Biscuit) 비스킷의 어원은 라틴어의 비스콕투스(Biscoctus) 혹은 14세기 프랑스 고어인 베스퀴트(Bescuit)에서 찾을 수 있다. 비스콕투스나 베스퀴트는 비스(bis=2회)와 퀴(cuit=굽다)의 합성어로 '두 번 구워서 요리된 것'이라는 의미를 가진다. 비스킷은 주로 영국과 유럽에서 사용되는 용어로, 약간 딱딱한 제과류를 지칭한다. 밀가루, 버터, 설탕, 우유 등을 사용해 만들며, 식감이 바삭하고 크리스피하다. 비스킷의 구멍은 반죽이 구울 때 부풀어 오르는 것을 방지하고, 열이 고르게 전달되도록 도와 바삭한 식감을 유지하게 해준다. 또한 12개의 구멍은 모양을 일정하게 유지하며, 균일한 굽기를 위해 필요하다. 비스킷(Biscuit)의 기본적인 반죽은 쇼트 페이스트(short paste, 파이를 만들 때 팬의 바닥에 까는 반죽)다. 반죽을 구웠을 때 쉽게 부서지고 바삭거림이 좋은 것이 특징이다. 하드 비스킷, 소프트 비스킷, 팬시 비스킷으로 나눌 수 있다. 비스킷은 구멍이 더 작고, 일관되게 반죽 표면에 여러 개 뚫려 있다. 다이제스티브 비스킷이나 크래커 같은 경우 구멍이 중앙에서 바깥으로 퍼지는 형태로 나온다. 비스킷의 구멍은 반죽이 오븐에서 과도하게 팽창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이 내부까지 고르게 전달되도록 도와준다. 영국과 유럽에서 차 문화와 함께 발전한 비스킷은 바삭한 식감을 강조하기 위해 이러한 구멍을 필수적으로 넣었다. 국내 제과업체인 오리온 관계자는 "지난해 320억원의 매출을 낸 과자계 스테디셀러 '다이제'에는 14개의 핀홀이 있다"면서 "더 맛있고 바삭한 식감을 구현하기 위한 것으로, 핀홀은 제조 공정간에 균일하게 열 전달을 해주며 수분 배출을 용이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고 설명했다. 최근 넷플릭스 요리 경연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에 출연한 쉐프가 다이제를 활용해 밤티라미수를 선보였다. 해당 레시피가 큰 화제가 되면서 방송 직후 이틀 동안 다이제 매출은 전주 동기 대비 33% 넘게 급증했다. 국민 비스킷 해태제과의 '에이스'는 482억원, 홈런볼은 750억원 가량 팔리는 매출효자다.(닐슨 기준 2023년 매출) 국민 비스킷 대표주자인 크라운제과의 하임은 360억원, 쿠크다스는 250억원 정도가 1년에 팔릴 정도로 꾸준히 인기를 끄는 스테디셀러다. 3. 크래커 크래커(Cracker)는 과자를 먹었을 때 씹히는 소리가 바삭거리면서 부셔진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빵과 과자의 중간에 위치하는 제조형태를 취하기 때문에 구분하기도 애매하다. 이스트(yeast)를 사용하여 발효를 시키기도 하고 소다(baking soda)와 같은 화학적 팽창제로 부풀리기도 한다. 소다(탄산나트륨, 탄산수소나트륨, 중조)를 사용하여 만든 소다 크래커는 단맛이 없을 뿐 아니라 얇고 바삭하기 때문에 맥주 안주로 많이 이용한다. 또한 크래커(Cracker)는 영국에서, 사블레(Sable)는 프랑스에서 만들어지는 건과자를 말한다. 사블레(Sable)는 프랑스 노르망디 지방의 과자로 유명하다. 버터를 넉넉할 정도로 충분히 배합해 만들기 때문에 과자가 매우 부드럽다. 사블레는 프랑스어로 '설탕을 포함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름처럼 과자를 구울 때 표면에 설탕을 뿌려서 바삭바삭한 느낌을 주도록 만든다. 롯데웰푸드가 판매하는 국민 간식 제크(130억원), 하비스트(50억원), 야채크래커(70억원), 빠다코코낫(190억원)은 대표적인 크래커 제형이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크래커는 가벼운 식감을 위해 여러 겹을 만드는데 핀홀은 베이킹시 균일한 표면, 층이 되게 도와준다"면서 "핀이 없으면 겹사이에 불균일하게 공기층이 생겨 외관이 이상해 진다. 핀 개수가 각각 다른 이유는 여러가지 수와 위치로 실험을 해서 가장 좋은 외관, 식감이 되는 조건을 선정했다"고 설명했다. 4. 쿠키 (Cookie) 쿠키는 네덜란드어의 쿠오퀘(Koekje)에서 유래됐으며, '작은 케이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 쿠키는 주로 미국과 한국에서 통용되는 용어로, 좀 더 부드럽고 달콤한 제과류다. 쿠키는 밀가루 외에도 설탕, 버터, 계란, 초콜릿 칩 등 다양한 재료가 추가되어, 맛이 다양하고 부드럽거나 쫀득한 식감을 자랑한다. 쿠키는 구멍이 없는 형태로 구워진다. 쿠키는 비스킷과 달리 부드러움과 촉촉한 식감을 목표로 하기 때문에, 부풀어 오르는 것을 크게 걱정하지 않고, 오히려 살짝 부풀어 오르도록 조정한다. 그래서 구멍이 필요하지 않다. 오히려 반죽이 부드럽고 다양한 재료가 들어가기 때문에 구멍을 만드는 것이 부적절하다. 쿠키는 크게 반죽형태의 특성과 제조방법의 특성에 따른 분류로 나눌 수 있다. 반죽형태의 특성에 따른 분류에는 반죽형 쿠키(Batter type)와 거품형 쿠키(Foam type)로 나뉜다. 반죽형 쿠키는 드롭 쿠키(drop cookie), 스냅 쿠키(snap cookie), 쇼트브레드 쿠키(short bread cookie)로 세분화되며, 거품형 쿠키는 머랭 쿠키(meringue cookie)와 스펀지 쿠키(sponge cookie)로 나누어진다. 타르트 쿠키 (Shortbread)는 스코틀랜드에서 기원한 단단하고 부드러운 쿠키다. 일반적으로 구멍이 없으며, 짧은 시간 동안 구워 바삭한 식감을 유지한다. 또 수플레 쿠키 (Soufflé Cookie): 반대로 매우 부드럽고 촉촉한 쿠키다. 오븐에서 부풀어 오르도록 설계되어 부드러운 질감을 지닌다. 쿠키와 비슷한 프레첼 (Pretzel)은 독일에서 유래한 과자로, 겉에 굵은 소금을 뿌리고 구멍이 없이 단단하게 구워진다. 전통적으로 꼬여 있는 모양과 고소한 맛이 특징이다. 케이크에 속하는 오예스도 연간 457억원이 팔린다. 롯데웰푸드의 대표쿠키 롯샌(구, 롯데샌드)은 연간 290억원이 팔리는 스테디셀러다. 롯데웰푸드 관계자는 "롯샌 핀이 4개인 이유는 좌우 대칭을 맞추고, 개발시 여러 번의 실험으로 원하는 플랫정도와 외관상 좋게 하기 위해 위치 및 개수를 정했다"고 설명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올해도 어김없이 그날은 돌아왔다. 전국이 11월 11일 데이마케팅으로 시끌벅적하다. 11월 11일 하면 가장 많은 사람들이 생각하는 빼빼로데이를 비롯해 농업인의 날, 가래떡데이, 젓가락의 날, 스틱데이, 십일절, 광군제(독신자의날), 보행자의 날, 지체장애인의날, 부동산 산업의 날, 레일데이, 눈의 날, 우리가곡의 날, 해군창설일, UN참전용사 추모일, 백화점창립기념일등이 이날로 지정돼 있다. 또 이리역 폭발사고, 옵션쇼크, 제1차 세계대전 종전, 폴란드 독립, 앙골라 독립도 이날에 일어났다. 심지어 중국도 이날을 미국의 블랙프라이데이에 버금가는 연중 중국 유통업계 최대 성수기인 광군제(독신자의날)로 정하고 대대적인 유통전쟁을 벌이고 있다. 11월 11일에 기념일이 많은 이유는 우선 기본 숫자면서 처음 시작하는 숫자이면서 가장 쉬운 숫자만으로 구성돼 있어 기억하기 매우 쉽다는 점이다. 다음 이유는 숫자 1에 부여된 많은 의미 때문에 선호도가 높다는 것도 한몫했다. 11월 11일을 맞아 가장 왕성하게 마케팅을 추진하는 곳은 역시 유통업계. 11월이 유통업계 비성수기로 여겨졌던 것도 옛말. ‘1등’ ‘1위’ 등 최고를 뜻하는 숫자 ‘1’이 겹치는 11월을 맞아 업계들이 치열한 마케팅 혈전을 펼치고 있다. 11월11일 데이마케팅의 원조는 롯데. '빼빼로데이'가 생긴 지 40년이 지났다. 1983년 탄생한 빼빼로는 롯데웰푸드를 대표하는 스테디셀러 과자다. 2023년까지 누적 매출 2조원을 올렸다. 국내(1480억원)와 해외(540억원)에서 2020억원의 매출을 냈다. 올 상반기에는 해외 매출이 325억원을 기록해 사상 처음으로 국내 매출(315억원)을 앞질렀다. 빼빼로가 처음 출시된 1983년부터 빼빼로데이가 등장하기 전인 1995년까지 매출은 약 1630억원이다. 빼빼로데이 이후의 매출이 약 7배 많아 빼빼로데이 마케팅이 성공작이었음이 다시한번 입증됐다. 롯데가 빼빼로데이 마케팅의 재미를 톡톡히 본 셈. 빼빼로데이는 1996년 영남지역의 한 여자중학교 학생들이 11월 11일 빼빼로를 주고받으며 '날씬해지자'고 서로 응원하며 시작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11월 11일이 빼빼로데이로 자리 잡았다. 이 기념일이 포진한 가을·겨울 시즌(9~11월)에는 빼빼로 판매량이 급증한다. 연간 매출액의 40%가 이 기간에 집중된다. 이에 제과업계 맞수인 해태제과(대표이사 신정훈)는 이날을 스틱데이로 네이밍하고 사랑·희망·기쁨의 응원을 담은 포키 선물세트 8종을 선보였다. 포키의 올해 스틱데이 슬로건은 ‘우리는 함께일 때’다. 가까이 있지만 평소 마음을 전하지 못한 소중한 사람에게 포키로 고마움을 전하고자 선정했다. 이 날에 빠질 수 없는 기업이 또 있다. 바로 11번가. SK플래닛 11번가는 11월 11일 하루, 할인 혜택을 더욱 풍성하게 담은 '쇼핑명절 십일절’ 프로모션을 대규모로 실시한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코리아 세일 페스타 등으로 살아난 소비 심리를 지속적으로 이어가는 한편, 연말 선물 시즌을 겨냥해 ‘골든 데이’(최대의 매출을 올린 날)마케팅을 활용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백화점, 할인마트 등 대형 유통업체들도 11월 창립기념일을 활용해 11월 마케팅 전쟁에 뛰어들었다. 롯데, 신세계, 현대 등 국내 유통채널 빅3 세 곳의 창립기념일이 모두 11월에 있어, 대대적인 할인행사를 한다. 11일은 중국 유통업계에서도 큰 기념일이다. 중국판 ‘블랙프라이데이’인 광군제를 맞아 중국 전자상거래업체 알리바바는 대규모 할인행사를 시작했다. 알리바바는 매년 광군제 하루 24시간 동안 초대형 할인행사를 열고 있다. 알리바바의 경쟁사인 징둥닷컴 를 비롯해 중국의 주요 전자상거래 업체도 이날 대대적인 할인행사에 동참한다. 정부와 협단체에서도 이날은 의미있는 기념일이다. 농림축산식품부(농식품부)는 1996년부터 이날을 법정기념일인 '농업인의 날'로 지정했다. 숫자 '11'을 한자로 풀어 쓰면 '十一'이 되고 이 한자어를 다시 겹쳐 쓰면 흙 토(土)자가 되는데, 11월11일은 결국 '土月 土日'과 같다는 의미다. 농업인의 날인 만큼 쌀 소비 촉진을 유도하기 위해 정부는 2006년부터 '가래떡데이'로 국민들에게 알리고 있다. 이날이 가래떡데이가 된 유래는 안철수 의원이 설립한 보안전문기업 '안랩'과 관련있다. 2003년 11월 11일 안랩(안철수연구소)은 사내 이벤트로 '가래떡데이'를 처음 실시했다. 상업성이 강한 빼빼로 보다 이왕이면 우리 농민도 돕고 우리의 전통을 생각하며 가래떡을 먹자는 것에서 생겼다. 또 숫자 '11'이 젓가락을 연상시킨다는 것에 착안해 한중일 공통의 젓가락 문화를 알리기 위해 11월 11일을 '젓가락의 날'로 지정됐다. 국토교통부는 사람 다리 모양과 유사한 11월 11일을 '보행자의날'로 2010년부터 지정했다. 국토교통부·부동산경제단체협의회는 이날을 '부동산 산업의 날'로 지정했다. 또 한국지체장애인협회는 2001년부터 '지체장애인의 날'로 정했다. 지체장애인들이 자기 자신을 최고(1)로 소중히 여기고 숫자 1처럼 힘차게 일어서서 다른 지체장애인(1)들과 하나(1)로 단합하자는 의미를 담았다. 한국철도공사(코레일)는 이날을 '레일데이'로 지정했다. 대한안과학회는 평소 소중함을 잊고 살았던 눈의 중요성을 생각해 보자는 의미에서 '눈의 날'로 정했다. 11월 11일은 또 ‘서점의 날’이다. 한국서점조합연합회에서 전국 서점과 서점인들의 권익과 자긍심을 고취하고 지역 서점을 활성화하기 위해 2016년 11월 11일 제정한 기념일이다. 11월 11일로 지정한 이유는 ‘서가에 꽂혀있는 책과 이를 읽기 위해 줄지어 서점에 방문하는 사람들을 연상케 하기 때문이다. 또 이날은 해군 창설일이다. 초대 해군참모총장 손원일 제독은 해방 직후 1945년 11월 11일 11시에 서울 관훈동 표훈전에서 해방병단 창설식을 거행했다. 해방병단의 창립 날짜가 11(十一)월 11(十一)일인 이유는 ‘선비 사(士)’가 두 번 겹치는 형태로 해군의 신사도 정신을 강조한 것. 이를 기념해 이날을 해군창설일로 정했다. 6·25전쟁에서 산화한 UN참전용사를 위한 추모 묵념이 열리는 날((Veterans Day)이기도 하다. 국가보훈처는 11월 11일 11시(한국시간)에 1분간 부산 UN기념공원을 향해 묵념하는 '턴 투워드 부산(Turn Toward Busan)' 추모 캠페인을 진행한다. 부산시민 뿐만 아니라 세계인들이 유엔기념공원이 있는 부산을 향해 묵념하며 평화를 지키기 위한 고귀한 희생을 추모한다. 이 행사는 2007년 캐나다의 6·25 참전용사인 빈센트 커트니 씨가 세계 유일의 유엔군 묘지인 부산유엔기념공원을 향해 한국 시각으로 매년 11월 11일 오전 11시 동시에 묵념하고 그들의 넋을 추모하자고 제안하면서 시작됐다. '우리가곡의 날'로도 지정돼 있다. 민족고유의 정서가 담긴 시에 가락을 더한 가곡을 기리기 위해 제정됐다. 광복 60주년을 맞는 해였던 2015년 11월 11일에 '제 1 회 우리가곡의 날'로 지정된 것이 유래다. 유통업계 관계자는 “유독 11월엔 별다른 기념일도, 공휴일도 없어 ‘유통채널들의 보릿고개’에 해당돼 고객들의 매장방문 및 구매를 유도할 요인이 적다”면서 “1년 실적 마무리시점을 앞두고 어떻게든 명분과 근거를 만들어서라도 목표를 맞춰야 하는 절박한 상황에서 나온 고육책”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업계 관계자는 “11월은 빼빼로데이, 수능마케팅, 블랙프라이데이 등 대목이 줄줄이 이어져 고객 확보를 위한 업계 간 경쟁이 치열하다”며 “해외직구족도 크게 증가하면서 이들의 주머니를 먼저 선점하기 위한 기획전이나 할인행사도 점점 더 빠른 시기에 열리고 있다”고 말했다. 역사적으로 이날에 큰 사건들도 있었다. 우리나라에서는 1977년 11월 11일 전라북도 이리역(현재 익산역) 폭발 사고가 일어났다. 화약을 실은 열차가 폭발해 59명이 사망하고 1,343명이 부상을 입는 대형 사고가 발생했다. 또 2003년 11월 11일, 대한민국 주식시장에서 옵션 만기일을 앞두고 대규모 프로그램 매도 물량이 쏟아져 주가가 급락한 사건으로, '11월 11일 옵션쇼크'로 불린다. 전세계적으로도 굵직한 사건들이 있었다. 제1차 세계대전 종전 기념일(Armistice Day)이다. 1918년 11월 11일 오전 11시, 제1차 세계대전이 종전됐다. 이를 기념해 영국, 프랑스 등 여러 유럽 국가에서는 이날을 '휴전 기념일'로 지정했다. 특히 영국에서는 '영령 기념일(Remembrance Day)'로 불리며, 전몰 장병을 추모하는 행사를 진행한다. 폴란드 독립기념일(1918년 11월 11일)이 이날이다. 제1차 세계대전 종전과 함께 123년간의 분할 지배에서 벗어나 독립을 회복한 것을 기념해 독립기념일로 지정하고, 다양한 축하 행사를 개최한다. 앙골라는 1975년 11월 11일, 포르투갈로부터 독립을 선언했다. 이날을 기념하여 매년 독립기념일 행사를 진행하며, 국가의 주권과 독립을 기리는 날로 삼고 있다. 이 날에 태어난 유명인들도 다수 존재한다.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1974년 11월 11일), 데미 무어(1962년 11월 11일)을 비롯해 미국의 군인으로 제2차 세계대전 당시 미국의 장군으로 활약한 조지 패튼(1885년 11월 11일)도 이날이 생일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트럼트 미국 47대 대통령 당선으로 7개월만에 원-달러 환율이 1400원대를 넘어섰다. 원-달러 환율이 높은 수준으로 꾸준히 유지되면 수입품 가격이 올라 국내 물가를 자극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아울러 환율 변동성이 커지면 불확실성 증가로 국내 경제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미국의 화폐는 단순한 교환 수단을 넘어, 국가의 역사와 가치, 위대한 인물들의 업적을 문화적 상징으로 여겨져 왔다. 현재 통용되는 미국 지폐에는 독립과 발전, 민주주의와 평등의 이상을 위해 헌신했던 인물들이 새겨져 있다. 이들은 누구이며, 어떤 이유로 화폐에 선정됐는지, 또 그 선정이 미국 시민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 현재 미국 7개의 지폐에 담긴 인물들은 역사적 의미 뿐 아니라 오늘날의 가치관을 반영해 미국 내에서 다양한 논의의 대상이 되고 있다. 특히 각 지폐의 유통량 차이는 시민들이 각 인물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를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지표가 되기도 한다. 미국 마크 스미스 역사학자는 “미국 지폐 속 인물들은 단순한 역사적 인물이 아니라, 미국이 상징하는 자유와 민주주의, 평등과 혁신의 정신을 나타내고 있다"면서 "이들은 미국인의 가치관을 형성하고 사회적 상징으로 자리잡았다"고 강조했다. 1. 1달러 – 조지 워싱턴(George Washington) 1달러 지폐에는 미국의 초대 대통령이자 독립전쟁의 영웅, 조지 워싱턴의 초상이 담겨 있다. 워싱턴은 영국과의 독립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으며, 이후 초대 대통령으로서 미국의 민주주의 제도와 헌법의 기틀을 마련했다. 이러한 업적이 그를 '미국의 아버지'라 불리게 했고, 미국의 초석을 다진 미국 화폐의 상징적인 인물로 자리매김하게 했다. 워싱턴은 역사상 가장 존경받는 인물 중 한 명으로, 그가 지폐에 등장한 것을 미국 시민 대다수가 긍정적으로 받아들인다. 그의 화폐 선정은 미국의 독립 정신과 민족적 자부심을 되새기게 한다. 특히 가장 소액 지폐에 그가 있는 것은 미국 민주주의의 보편성을 상징하는 의미로 해석된다.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은 재임까지 하고 스스로 대통령에서 내려왔다. 그가 하고자 했다면 3선, 4선도 할 수 있었을 것이나 그는 더이상 하지 않았다. 1달러 지폐는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이 유통되고 있는 지폐로, 2023년 기준 약 142억장이 유통되고 있다(Federal Reserve). 2. 2달러 – 토머스 제퍼슨(Thomas Jefferson) 토머스 제퍼슨은 미국 독립선언서 작성에 큰 역할을 한 미국의 3대 대통령이자 민주주의의 원칙을 수립한 인물이다. 특히 토마스 제퍼슨은 당선되자 수도를 워싱턴으로 옮겼다. 또 1803년 나폴레옹으로부터 루이지에나(214만5000km2)를 1500만 달러에 매입(에이커 당 약 3센트)해 미국의 국토를 2배로 늘려 역사상 최대의 부동산 투자가로 기억된다. 미지의 개척자들의 외로움을 달래기 위해 2숫자 지폐를 만들었다. 그레이스 켈리는 프랭크 시나트라로 부터 2달러를 받은 후 모나코 왕비가 되면서 '행운을 가져다 주는 부적'의 의미를 갖게됐다. 특히 약 13억장이 발행되어 현금 거래에서 보기 힘든 지폐로 알려졌을 정도로 유통량이 적다. 2달러 지폐의 존재는 그 희귀성 때문에 독특한 수집 가치로 여겨지며, 이에 따라 ‘행운의 지폐’로 불리기도 한다. 3. 5달러 – 에이브러햄 링컨(Abraham Lincoln) 5달러 지폐에는 16대 대통령인 에이브러햄 링컨이 있다. 링컨은 남북전쟁을 통해 미국을 통합하고 노예제를 폐지한 인물로, 특히 아프리카계 미국인들의 자유와 평등을 위해 힘쓴 지도자였다. 5달러 지폐에 등장한 이유도 연방의 통합과 평등을 강조한 인물로서 미국의 가치를 대변하기 때문이다. 그의 업적은 오늘날까지도 인권과 평등을 상징하는 강력한 메시지를 전달하며, 미국의 민주주의 발전에 큰 영향을 미쳤다. 링컨의 화폐 선정에 대한 반응은 긍정적이었으며, 인종 간의 화합과 평등을 지지하는 시민들에게 상징적인 의미로 자리 잡았고, 특히 1960년대 시민권 운동 당시에는 그의 상징성이 더욱 강화됐다. 1달러만큼 5달러에 그의 얼굴이 있는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미국인이 많다. 그가 죽고 난후 듣고 싶은 말은 "에이브러헴 링컨, 그는 잡초를 뽑고 꽃을 심다 떠난 사람이다"라고 했다. 당선된 후 정적이었던 스탠턴 변호사를 국방장관으로 임명했을 정도로 화합의 상징이기도 했다. 그는 링컨이 죽었을 때 "여기 가장 위대한 사람이 누워있다"라고 명언을 남겼다. 5달러 지폐는 약 36억장이 유통 중으로, 소액 거래에서 주로 사용된다. 4. 10달러 – 알렉산더 해밀턴(Alexander Hamilton) 10달러 지폐에는 30대 초반에 미국 재무부의 초대 장관이자 경제 시스템의 기틀을 마련한 알렉산더 해밀턴의 초상이 새겨져 있다. 해밀턴은 미국 중앙은행 제도 및 연방정부의 경제적 기초를 세우는 데 중요한 역할을 했으며, 미국의 금융 시스템 발전에 공헌했다. 최근 해밀턴의 얼굴을 다른 인물로 대체하자는 의견이 있었으나, 그의 업적과 헌신을 기리며 이를 반대하는 목소리도 높다. 그의 화폐 선정은 미국의 금융 체계와 경제의 뿌리를 상기시킨다. 그는 연방정부의 빚을 갚을 방법에만 몰두할 것이 아니라 하고 적극적으로 빚을 얻어 제조업 생산시설을 조성하고 경제에 활력을 불어 넣어 경제성장 토대를 구축했다. 10달러 지폐는 약 20억장이 유통 중이다. 금융 혁신의 상징으로 알려진 해밀턴은 최근 <해밀턴> 뮤지컬로 더 인지도가 높아졌다. 5. 20달러 – 앤드류 잭슨(Andrew Jackson) 20달러 지폐의 주인공은 7대 대통령 앤드류 잭슨으로, 보통 시민을 위한 정치라는 ‘잭소니언 민주주의(알려진 정치조직의 지지보다 대중 유권자들에게 직접 지지 호소)’를 주창한 인물이다. 앤드류 잭슨은 변호사, 하원의원, 민병대 소장시 미영전쟁, 크리크 인디안 전쟁 승리, 1817년 세미놀 전쟁 승리로 전쟁 영웅이었다. 생전에 13번의 결투, 재임기간 내 2발의 총알이 몸 속에 있었다. 그러나 그의 인디언 강제 이주 정책인 '눈물의 길'로 로 인해 논란이 많은 인물로 평가받는다. 이에 따라 20달러 지폐 인물 교체 논의가 진행 중이다. 2016년부터 잭슨을 대신해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인 해리엇 터브먼으로 교체하자는 요구가 높아졌다. 터브먼으로의 교체는 미국의 역사적 불평등을 해소하고 새로운 가치를 반영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으로, 잭슨의 선정에 반대하는 미국 시민들은 이를 열렬히 지지하고 있다. 20달러는 약 11억장의 유통량을 보인다. 6. 50달러 – 율리시스 S. 그랜트(Ulysses S. Grant) 50달러 지폐에는 남북전쟁의 영웅이자 18대 대통령이었던 율리시스 S. 그랜트가 등장한다. 그랜트는 남북전쟁 당시 북군의 주요 지휘관으로 활약했으며, 재임 기간 동안 남부의 재건과 흑인의 권리 보호에 힘썼다. 그래서 주로 군사적 리더십과 노예해방 지지로 유명하다. 그랜트의 화폐 선정은 미국의 통합과 전쟁 영웅을 기리기 위한 것이다. 다만, 일부 시민들은 그의 정부의 부패 문제를 이유로 비판을 제기한다. 퇴임 후 친구의 주식 중개사에 이름을 빌려준 후 파산하자 부채를 갚기 위해 회고록을 집필해 45만 달러를 벌었다. 50달러 지폐는 약 10억장이 유통 중이며, 주로 고액 거래에 사용된다. 7. 100달러 – 벤저민 프랭클린(Benjamin Franklin) 100달러 지폐에는 정치가이자 과학자, 발명가, 철학자, 외교관인 벤저민 프랭클린이 그려져 있다. 그는 미국 독립 선언의 주요 주창자로서 미국의 창립에 큰 역할을 했으며, 지폐의 높은 단위에 그의 얼굴이 새겨진 것은 그가 미국에 남긴 업적과 지적 기여를 상징한다. 프랭클린의 화폐 선정에 대해 미국 시민들은 긍정적으로 받아들이며, 그를 '다재다능한 천재'로 평가한다. 프랭클린은 교육, 과학, 외교 등 다방면에 걸쳐 공헌한 인물로, 미국인의 자부심을 높이는 상징적 인물이다. 오늘날에도 발명과 개혁의 상징으로 존경받고 있다. 학교는 2년 다니고, 12세부터 아버지의 양초공장에 출근, 1740년 필라델피아 시민들에게 처음 전기를 소개하고 피뢰침을 발명했다. 독립선언서 작성에 참가하고 외교관으로 독립전쟁 시 프랑스의 지원을 끌어냈다. 헌법 제정시 각 주의 논쟁에 타협안을 이끌어 낸 것도 주요업적이다. 벤저민 프랭클린은 13개의 덕목(절제, 침묵, 규율, 결단, 절약, 근면, 성실, 정의, 중용, 청결, 평정, 순결, 겸손)을 주장했다. 약 12억장이 유통 중인 100달러 지폐는 미국 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거래되는 고액 지폐다. 특히, 미국 내에서 가장 많이 위조되는 지폐이며, FBI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2013년 신형 100달러 지폐를 출시했으며, 위조 방지를 위한 최첨단 기술을 적용했다. 미국 화폐의 인물 선정은 미국 사회의 가치와 변화를 반영하는 바로미터로 작용해 왔다. 특히 최근에는 다양한 인종과 성별을 대표하는 인물로 지폐 인물을 교체하자는 요구도 늘고 있다. 이는 역사적 불평등에 대한 반성과 더불어 다양성과 포용을 반영하려는 움직임의 일환이다. 미국 역사가인 제임스 밀러 교수는 "미국 지폐는 역사적 인물들의 업적을 통해 국가의 가치를 상징적으로 전달하는 중요한 매개체"라며 "특히 유통량의 차이는 시민들이 인물을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그들이 상징하는 가치가 얼마나 일상 속에 녹아 있는지를 엿볼 수 있는 지표가 된다"고 피력했다. 한편 이 기사작성에 참고한 자료는 Federal Reserve Bank Reports, "Currency and Coin Services"(2023), U.S. Department of the Treasury, "Faces of U.S. Currency,"(2023), “Hamilton: An American Musical” Public Reception Report(2020), FBI, "Counterfeit 100 Dollar Bill Investigation,"(2023) 등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는 신제품 개발 과정에서 보안 유지와 정보 유출 방지를 위한 수단으로 암호명을 사용한다. 이는 단순히 보안측면의 의미뿐만 아니라 제품의 철학과 기능을 은유적으로 표현하는 수단으로 사용돼 많은 사람들에게 호기심을 유발하는 장치가 되기도 한다. 특히 이 암호명은 삼성전자가 개발한 기기의 혁신성과 기술적 성취를 함축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예를 들어, 갤럭시 S10의 '비욘드'는 새로운 디자인과 기술을, 갤럭시 S20의 '허블'은 카메라 성능을, 내년 1월 13일경 출시예정인 갤럭시 S25의 '패러다임'은 삼성의 모바일 기술과 AI 통합에서의 새로운 표준을 설정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또한, 갤럭시 노트 10의 ‘다빈치(Da Vinci)’는 창의적이고 다재다능한 기기의 특성을 반영한다. 다빈치는 예술가이자 발명가였기 때문에, 이 기기는 그림을 그리고 메모를 하는 다양한 용도에서 창의성을 발휘할 수 있도록 디자인되었음을 암시했다. 갤럭시 노트 20의 '캔버스(Canvas)'는 디지털 아트와 생산성에 중심을 두었음을 암시한다.(출처: DroidViews, TechLatest, PhoneArena) <갤럭시 S 시리즈 암호명> 1. 갤럭시 S1: I9000 2. 갤럭시 S2: 마이더스 (Midas) - 성능과 카메라 기술을 강조한 초기 플래그십 3. 갤럭시 S3: 페블 (Pebble) - 둥글고 유려한 디자인 반영 4. 갤럭시 S4: 제스터 (Jester) - 다양한 센서와 소프트웨어 기능이 특징 5. 갤럭시 S5: 키스톤 (Keystone) - 방수 및 방진 기능이 강화된 모델 6. 갤럭시 S6: 프로젝트 제로 (Project Zero) - 새로운 시작 의미, 메탈과 글라스 디자인 최초 도입 7. 갤럭시 S7: 그레이스 (Grace) - 고급스러운 디자인과 기능성을 결합한 모델 8. 갤럭시 S8: 드림 (Dream) - 베젤리스 디자인과 인피니티 디스플레이가 특징 9. 갤럭시 S9: 스타 (Star) - 카메라 기능의 향상이 두드러진 모델 10. 갤럭시 S10: 비욘드 (Beyond) - 화면 내 지문 인식 기술과 펀치홀 디스플레이를 도입 11. 갤럭시 S20: 허블 (Hubble) - 카메라 성능을 더욱 강화해 줌 기능이 크게 향상 12. 갤럭시 S21: 유니버스 (Universe) - 통합된 AI 기능과 향상된 배터리 효율 13. 갤럭시 S22: 레인보우 (Rainbow) - 카메라와 디스플레이의 색상 재현력을 극대화한 모델 14. 갤럭시 S23: 다이아몬드 (Diamond) - 내구성과 프리미엄 디자인 강조 15. 갤럭시 S24: 유레카 (Eureka) - AI기술의 큰 도약, 새로운 스마트 기능 탑재 16. 갤럭시 S25: 패러다임 (Paradigm) - 새로운 표준을 설정하는 혁신적 기술 포함 <갤럭시 노트 시리즈 암호명> 1. 갤럭시 노트 (2011): Code name 없음 (초기 모델로 별도의 암호명 없이 출시) 2. 갤럭시 노트 II (2012): 티탄(Titan) - 더 강력한 성능과 개선된 기능 3. 갤럭시 노트 3 (2013): 크린(Crin) - 대형 화면과 프리미엄 재질 강조 4. 갤럭시 노트 4 (2014): 트렐리스(Trellis) - 메탈 프레임 도입과 고해상도 디스플레이 5. 갤럭시 노트 엣지 (2014): 줄스(Jules) - 최초의 곡면 디스플레이 모델로, 실험적 디자인 6. 갤럭시 노트 5 (2015): 프로젝트 노블(Project Noble) - S6의 디자인 요소를 반영, 메탈과 글라스 디자인 7. 갤럭시 노트 7 (2016): 그레이스(Grace) - USB C포트 및 방수 기능(단, 배터리 문제로 리콜) 8. 갤럭시 노트 FE (2017): 그레이스 리덕스(Grace R) - 노트 7의 리비전 모델로 배터리 용량 축소 9. 갤럭시 노트 8 (2017): 그레이트(Great) - 최초로 듀얼 카메라 기능 탑재 10. 갤럭시 노트 9 (2018): 크라운(Crown) - 블루투스 기능이 추가된 S펜과 향상된 카메라 11. 갤럭시 노트 10 (2019): 다빈치(Da Vinci) - 예술적 창의성과 혁신성 강조 12. 갤럭시 노트 20 (2020): 캔버스(Canvas) - S펜과의 통합을 강조한 디지털 아트 모델 <갤럭시 폴드 시리즈 암호명> 1. 갤럭시 폴드 (2019): 위너(Winner) - 삼성의 첫 번째 폴더블 모델, 시장에서의 승리를 목표. 최초의 인피니티 플렉스 디스플레이(Infinity Flex Display)를 도입하며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개척 2. 갤럭시 Z 폴드 2 (2020): 위너2(Winner2) - 향상된 힌지 구조와 화면 보호 기술. 이 모델부터 "Z"가 시리즈명에 추가 3. 갤럭시 Z 폴드 3 (2021): 범프(Bump) - IPX8 방수 기능을 탑재한 최초의 폴더블 기기. S펜(S Pen) 지원을 통해 생산성강화. 힌지와 디스플레이 기술이 더욱 개선 4. 갤럭시 Z 폴드 4 (2022): 유니버스(Universe) - 카메라 성능과 경량화된 힌지 디자인. 폴더블 기기와 일반 스마트폰의 경계를 허물며 더 넓은 사용 가능성 5. 갤럭시 Z 폴드 5 (2023): 펠릭스(Felix) - "플렉스 힌지(FlexHinge)"를 통해 이전 모델보다 더 얇고 가벼운 디자인 구현 <갤럭시 Z 시리즈 암호명> 1. Z 플립: "블룸(Bloom)"은 폴더블 기기의 특성인 열리는 구조를 꽃의 개화와 연결해 표현했다. Z 플립 3의 경우 "버터플라이(Butterfly)"라는 암호명이 사용되어 유연성과 아름다움을 강조했다. 2. Z 폴드: 폴드 시리즈는 "위너(Winner)"로 시작해 승리의 상징을, 이후 Z 폴드 3에서는 "범프(Bump)"라는 암호명을 사용했다. <갤럭시 A 시리즈 암호명> A71 : "하모니(Harmony)" - 디자인과 성능의 균형을 맞춘다는 의미 A52 : "워크(Walk)" - 실용성을 강조한 기기로, 일상생활에서의 이동성과 사용성 강조 <갤럭시 J 시리즈 암호명> 이 시리즈는 가성비를 강조한 저가형 모델로, 주로 'J1'에서 'J7'까지의 라인업으로 구성된다. 각 모델의 암호명은 해당 지역에 맞춰 커스터마이즈되며, 예를 들어 J2는 "Jade"로 불리며 내구성을 강조한다. <갤럭시 C 시리즈 암호명> 중국 시장을 타겟으로 한 갤럭시 C 시리즈는 "파이어(Fire)"와 "아이스(Ice)"와 같은 암호명을 통해 강력한 성능과 효율성을 표현한다. 이러한 이름은 해당 기기가 냉각 효율성과 강력한 퍼포먼스를 동시에 제공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갤럭시 기타모델 암호명> 1. 갤럭시 M 시리즈는 주로 배터리 용량과 내구성을 강조한 기기로, 암호명은 "타이탄(Titan)"과 같은 강인함을 나타내는 이름을 사용한다. 이는 대용량 배터리와 탄탄한 내구성을 통해 긴 사용 시간을 제공하는 특징을 반영한다. 2. 갤럭시 메가는 크기와 멀티미디어 기능에 중점을 두고 "메가(Mega)"라는 암호명을 부여했다. 이는 대화면 디스플레이와 멀티태스킹 능력을 반영한다. 3. 갤럭시 알파는"슬림(Slim)"이라는 암호명을 부여했다. 얇고 세련된 디자인을 강조하며, 프리미엄 라인업에서 미적 가치를 중요시했음을 나타낸다. IT업계 브랜드마케팅 관계자는 "암호명은 출시 전부터 소비자들의 기대감을 조성하는 역할을 한다. 게다가 암호명이 외부에 유출되면서 기술적 혁신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이를 통해 소비자들이 제품 충성도를 높이는 효과를까지 기대할 수 있다"고 말했다. 결과적으로, 암호명 체계는 삼성의 브랜드 전략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일종의 티저마케팅처럼 소비자와의 커뮤니케이션 도구로 활용되고 있는 셈이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삼성전자, KB국민은행, 하나투어, 대상, LF(LG패션), 롯데자산개발, 한진, 대우건설의 공통점은? 이 기업들은 창립일이 공교롭게 11월 1일이라는 점이다. 이런 날짜 선택은 기업의 성장과 정체성을 되새기며, 직원들에게 소속감을 부여한다. 이런 기념일이 직원 동기부여와 몰입도에 크게 영향을 미친다. 재계 관계자는 "국내 대표 1위 기업들과 이름만 대면 알만한 큰 기업들의 창립기념일이 공교롭게 11월 1일이라니 놀랍다"면서 "1위 자리를 유지하고자 하는 강한 바람도 반영됐을 것"이라고 해석했다. ◆ 11월 1일 창립일인 기업 어디? 이들의 창립기념일을 통해 각 기업의 전략적 결정과 경영철학을 엿볼 수 있다. 특히, 기업들이 왜 같은 날을 기념일로 삼았는지 배경을 살펴보면 흥미로운 역사와 기업문화가 드러난다. 삼성전자는 1969년 1월 13일 설립된 ‘삼성전자공업㈜’이 그 시작이다. 하지만 1988년 삼성반도체통신과의 합병을 통해 반도체 사업을 본격화하며 창립기념일을 11월 1일로 변경했다. 이는 반도체 산업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려는 전략적 의도를 반영한 것이다. 당시 반도체와 전자기술이 세계적으로 떠오르던 시기였기에, 삼성전자도 이를 통해 새 시대에 맞는 기업으로 발돋움하겠다는 다짐을 보인 셈이다. 이병철 회장은 ‘사업보국(事業報國)’이라는 경영 철학을 강조하며 반도체를 통해 국가 경제에 기여할 포부를 내세웠고, 11월 1일을 창립기념일로 변경했다. 최근 몇 년 동안은 외부 행사보다는 경영진 중심의 소규모 기념식이 주를 이루며, 이재용 회장이 주도하는 '뉴 삼성' 전략과 더불어 반도체 및 전자사업의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는 시간이기도 하다. 창립기념일을 휴무로 지정해 임직원들이 쉬었던 것과 달리 몇 년 전부터는 근무일로 정해 전직원이 출근해 창립일을 맞고 있다. KB국민은행은 1963년 2월 '국민은행' 상호로 처음 설립됐다. 이후 국민은행과 한국주택은행의 대등 합병을 통해 2001년 11월 1일 설립됐다. 이 날짜는 합병을 통해 새로운 KB국민은행이 탄생한 날로 상징적 의미를 담고 있다. 합병을 통해 규모의 경제와 신뢰도를 강화하며 ‘대한민국 대표 금융기업’으로 도약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이날을 기념일로 삼았다. 대상은 전쟁 직후 한국 농업과 식품산업을 부흥시키고자 1956년 설립, 11월 1일을 창립기념일로 삼고 있다. 당시 농업 중심의 한국 경제를 반영해 이날을 창립일로 삼았으며, 농작물 수확이 끝난 시기에 새로운 산업화를 도모하겠다는 의미도 포함됐다. 한국의 식품 산업을 대표하며 성장해 온 대상의 역사와 맞물려, 11월 1일은 농업과 산업화를 잇는 상징적인 날짜로 남아 있다. 대상은 소스 '청정원', 포장김치 '종가집' 등 1위 브랜드를 보유한 종합식품업체로 순항중이다. 이날 휴무와 함께 임직원들에게 창립일 기념선물과 쇼핑몰 사용포인트를 선물로 준다. 한때 사돈 관계였던 삼성전자와 대상의 창립기념일이 같은 것도 흥미롭다. 삼성전자 이재용 회장과 대상그룹의 임세령 부회장은 1998년 결혼했으나, 11년 만인 2009년 합의이혼한 바 있다. 두 사람의 결혼식은 1998년 6월 8일 용인 호암미술관 정원에서 이뤄졌다. 30년 이상 여행업계 1위 자리를 지켜온 하나투어(대표 송미선)의 창립기념일 역시 11월 1일이다. 하나투어는 국일여행사(현 모두투어)에서 독립해 국진여행사를 설립한 1993년 11월 1일을 창립일로 삼고 있다. 국진여행사는 1996년 하나투어로 상호를 변경했다. ‘한국인의 세계 여행’이라는 비전을 앞세워 해외여행 수요가 증가하던 시기에 신속한 글로벌화 전략을 통해 한국인의 해외여행 문화를 선도했다. 하나투어 관계자는 "공교롭게도 창립기념일(11월 1일)의 숫자가 모두 상호명인 '하나(1)'"라며 "숫자 1에 부여된 많은 의미 때문에 선호도가 있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하나투어는 휴무는 하지않고, 정상근무하며 우수사원 포상식 겸 내부기념식을 진행한다. 이 외에도 패션부문에서 업계 1위 삼성물산을 매섭게 추격하고 있는 의류패션업체 LF(LG패션), 롯데월드와 롯데몰 등 복합쇼핑몰 개발 및 운영 사업을 펼치고 있는 롯데자산개발, 항공업계 1위 대한항공을 보유하고 있는 '한진그룹'의 창립기념일도 11월 1일이다. 또 대우건설도 1973년 11월 1일에 설립됐다. 2023년 창립 50주년을 맞은 대우건설은 지난 반세기 대한민국이 이룩한 빠른 경제 성장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해왔다. 압도적인 주택 공급으로 국민 주거안정에 기여하는 한편 친환경 프리미엄 아파트 브랜드 '푸르지오'를 통해 주거문화의 새 기준을 제시했다. 또 인류의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신재생 에너지 분야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 이날은 공식 휴무일이며, 창립기념식은 10월 31일에 진행한다. 대학교로는 동아대, 공주대 등의 개교기념일도 11월 1일이다. 이는 10월에 회계연도가 마무리되고 새해 사업을 구상하는 시기와도 맞물려, 11월 1일이 전략적 계획과 재정비를 위한 이상적인 출발점으로 인식되기 때문이다. 기업들이 11월 1일을 기점으로 회계나 사업의 새해 준비를 시작하며, 경영 목표를 재정립하고 내부 조직을 재정비하는 계기로 삼는 것은 경제계의 관행이다. ◆ 11월 1일 창립일, 전략적 이유와 역사적 배경 11월 1일 창립기념일은 단순한 상징 이상의 깊은 의미를 부여해왔다. 많은 한국 기업들이 11월 1일을 창립기념일로 정하는 이유는 연말 결산을 앞두고 사업 계획을 재정비하는 과정에서 상징적이고 실용적인 날짜로 선택했기 때문이다. 한국경제연구원 등의 자료에 따르면 10월이 주주 총회와 같은 주요 일정이 마무리되는 시기이기 때문에, 11월 초는 새로운 회계 연도의 시작을 준비하기에 알맞다는 분석이다. 또 해가 바뀌기 전에 숨고르기를 하며 기업의 방향성을 다질 수 있는 기회로 작용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창립기념일의 의미는 단지 전략적 출발점 이상의 가치를 지닌다. 최근 연구들은 창립기념일이 직원들에게도 조직 내 기여를 인정받는 기회로, 동기부여와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O.C. Tanner 연구는 조직의 성과와 주요 기념일을 공개적으로 축하하면 직원들이 더 큰 소속감을 느낀다고 분석했다. 인사 전문가인 김성진 교수는 "창립기념일과 같은 주요 기념일은 직원들에게 자신이 조직 내에서 중요한 존재임을 느끼게 해준다"며 "이는 장기적으로 몰입도와 생산성, 고용유지를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설명했다. 이런 기념일을 통해 직원들은 자신의 노력이 회사 성공의 중요한 일부로 여겨진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단순한 감사 표현으로도 직원의 몰입도가 높아져, 장기적으로 생산성, 팀 결속력, 직원 유지율까지 상승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더불어 Donut의 조사에 따르면, 회사가 직원들의 시간 기반 성과를 인식하고 축하할 때 생산성과 고용 기간이 길어지는 경향이 있으며, 이는 직원들이 자신이 소속된 회사가 자신을 진심으로 중요하게 여긴다는 느낌을 받기 때문이다. 연구에 따르면, 이런 소속감과 인정은 단순히 물질적인 보상보다 장기적인 성과와 직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창립기념일의 가치는 한국 뿐 아니라 글로벌 기업에서도 유사한 사례를 보여준다. 미국의 기업들도 창립기념일을 직원 몰입을 높이고 외부적으로는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를 확립하는 기회로 삼고 있다. HR전문가 로라 토마스는 “미국 기업들은 창립기념일이 외부 이해관계자들에게 긍정적 이미지를 전달하고 직원들에게는 자부심을 심어주는 중요한 수단”이라며 "창립기념일을 활용해 고객 및 파트너와의 관계까지 확장할 수 있다"고 말했다. 또 History Factory의 창립자인 브루스 웨인드러치도 "창립기념일은 단순한 축하를 넘어 회사의 장기적 목표와 비전을 다시금 강조하는 중요한 기회"라며 "직원들에게 가치 있는 메시지를 전달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미국의 대기업들은 대규모 기념일을 사내 문화강화뿐 아니라 외부적으로는 고객 및 이해관계자들에게 기업의 가치를 보여줄 수 있는 기회로 활용한다. 이처럼 기업의 기념일을 축하하는 것은 조직의 과거를 돌아보고, 현재의 성과를 인정하며, 더 나은 미래로 나아가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다. 특히, 미국과 유럽의 금융기업들 역시 회계연도와 전략적 변화를 위해 이 시기에 대규모 조직개편이나 인수합병을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결국, 창립기념일은 단순히 회사의 시작을 기념하는 날, 단순한 연례행사를 넘어 조직 내외부의 관계와 인식을 강화하고, 직원들이 회사의 비전과 목표를 되새기며 몰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로 작용한다. 기업 조직문화 컨설턴트인 이정민 대표는 "창립기념일을 통해 회사의 미션과 비전을 되새기고, 직원들과의 소통을 강화하는 다양한 행사를 기획하는 것이 중요하다. 직원들이 단순한 노동자가 아닌 '회사 발전의 주체'로 느끼게 하는 것이 핵심"이라며 “창립기념일 기념방식에서도 자유로운 아이디어를 발휘할 필요가 있으며, 경영진은 직접 직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하는 것이 긍정적 결과로 이어진다”고 강조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친밀하게 접하는 궁금증, 호기심, 소소한 얘기소재인 재미있는 용어, 유래와 속설 등에 대해 정리하는 코너다. 국어사전에서 '시치미 떼다'의 의미를 찾아보자. '자기가 한 일을 하지 않았다고 하거나 알면서 모르는 체하다'라는 뜻이다. 그렇다면 시치미를 찾아보면 첫째는 매의 주인을 밝히기 위해 주소를 적어 매의 꽁지 속에다 매어 둔 네모꼴의 뿔이다. 둘째 뜻은 자기가 하고도 아니한 체, 알고도 모르는 체하는 태도를 말한다. 고려시대에 성행했던 매사냥에서 매를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 매의 꽁지나 발목에 걸어두는 매 주인의 이름표·주소패를 의미한다. 지금도 매사냥을 하는 곳에서는 매 발목에 시치미를 달아둔다. 최근에는 전화번호까지 써 놓는다. 사냥을 잘 하는 매는 길들이기도 어렵거니와 자주 달아나 관리하기가 힘들어서 매의 임자를 밝히기 위해 '시치미'를 매달았다. 가끔 사냥나갔던 매가 주인을 못 찾고 다른 집에 날아드는 경우가 있는데 그때 시치미를 떼버리고, 자신의 시치미를 붙이는 행위를 하는 몰지각한 사람들도 있었다. 잘 길들여진 매는 워낙 귀하고 값이 비싸, 매가 손에 들어오면 자기 것으로 쓰는 일이 많았기 때문이다. 그것이 속담화되어 '시치미를 뗀다'는 표현이 생겼다. 즉 자신이 했으면서도 안 한 척 하거나 알면서도 모르는 척 하는 행동을 가리킨다. 시치미는 매의 등 아랫녁 꼬리난 부위, 혹은 매의 발목에 다는 주인 이름표 겸 멀리서 매를 쉽게 찾아내기 위한 표시물이다. 주인 이름을 쇠뿔조각 위에 새기고 여기에 흰 거위털과 방울을 달아 놓았다. 방울을 단 이유는 멀리 날아가 덤불 속에서 꿩을 잡은 매가 오래 많이 뜯어 먹으면 안되므로, 매발톱 아래서 꿩이 퍼덕일 때마다 방울소리나 덥석이는 흰 거위털을 보고 쉽게 찾아내기 위함이다. 우리 조상들의 우아하고 고급스러운 취미인 매사냥과 관련해 생긴 우리말들이 많다. 우선 '매섭다'라는 단어는 ‘매의 눈빛처럼 날카롭다’에서 온 말이다. 쌀쌀맞다라는 의미의 '매몰차다' 역시 매의 차갑고 날카로운 이미지에서 유래한 말이다. ‘매만지다’는 매의 깃털이 매우 부드러워 매를 길들일 때 자주 보드랍게 털을 쓰다듬는 행위에서 유래한 말이다. 매는 날카롭고 차갑지만, 매의 깃털은 매우 부드러워 '매끄럽다'란 우리말도 생겨났다. '매달다’, '매달리다‘도 매사냥에 어원을 두고 있다. 매는 야생성이 강해 날아가버리기 때문에 보통 매를 길들일 때 줄을 발에 묶는다. 이를 '매달다'라고 한다. 또 이때 매가 줄에 묶여 퍼덕이는 모습에서 '매달리다'란 말이 유래됐다. 매란 단어는 안들어가지만 매와 관련된 우리말도 있다. 매가 먹잇감을 놓치면 맞바람을 안고 비행하는데서 비롯된 '바람맞다', 고집이 센 매의 성질을 비유한 '옹고집(응(鷹)고집)', 몸이 단단하고 부실함이 없이 꽉 찼다는 의미의 ‘옹골지다(응(鷹)골지다)’ 등도 매사냥에서 왔다. 시치미의 셋째 뜻은 일본의 배합 향신료다. 일곱 가지 맛과 향이 난다고 해서 시치미라고 한다. 정식 명칭은 七味唐辛子(しちみとうがらし, 시치미 도가라시)이며, 唐辛子(とうがらし, 도가라시)는 일본어로 고추를 뜻한다. 보통 고춧가루를 베이스로 하여 진피, 흑임자/참깨, 파래/김, 산초/후추, 차조기, 생강, 소금을 넣어 만든다. 경우에 따라 양귀비 씨나 햄프씨드(대마씨)가 들어가는 경우도 있다. 물론 환각 성분을 완전히 없앤 것만 까다롭게 검사해서 판매하므로 안심해도 된다. 보통 우동이나 돈부리(특히 규동과 오야코동) 등 맛이 옅은 음식이나 기름기가 많은 음식에 강한 향과 매콤한 맛을 더하고 싶을 경우 사용한다. 일식집에서 비치된 뚜껑이 빨간색인 작은 통에 들어간 깨 섞인 고춧가루처럼 생긴 것이 바로 시치미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친밀하게 접하는 궁금증, 호기심, 소소한 얘기소재인 재미있는 용어, 유래와 속설 등에 대해 정리하는 코너다. 군대 은어 중에 '망고 땡'이란 말이 있다. 주로 널럴하거나 편한 작업을 맡게 되었을 경우를 뜻한다. 특히 대대나 연대에서 복무하는 사람들이 비교적 편한 군생활을 하는 사단 본부나 군단, 사령부에 있는 사람들을 지칭할때 많이 쓴다. 요즘말로 바꾸면 '꿀빤다' '꿀보직' '개망고'가 된다. 이 단어는 '망고하다'에서 파생된 말이다. '망고'는 날리는 연의 줄이다. ‘망고하다’는 ‘연을 날릴 때 얼레의 줄을 남김없이 전부 풀어 주다’ ‘살림을 전부 떨게 되다’ ‘어떤 것이 마지막이 되어 끝판에 이르다’라는 의미로 쓰인다. 즉 '망고 땡'은 연줄이 다 풀린 상태를 말한다. 줄이 다 풀린 상태란 연을 최고로 높이 올렸다는 뜻이다. 연줄이 다 풀려 최고로 올렸다는 것은 어떤 일이 잘 끝나서 자유롭게 됐을 때 사용하는 말이다. 처음에는 '망고 땡'으로 사용했으나, 말의 순화에 따라 망고가 만고로 불리어 '만고 땡'으로도 불린다. '자몽하다'도 순우리말이다. TV의 한 예능 프로그램에서 ‘자몽하다’의 뜻을 묻는 문제를 냈는데 모두가 그 뜻을 알지 못했다. 워낙 이슈가 되다보니 실시간검색어까지 올랐다. ‘자몽하다’는 ‘졸릴 때처럼 정신이 흐릿한 상태다’는 뜻이다. 예를 들면 “어제 약을 먹고 잤더니 약 기운에 자몽하다” 등으로 쓰인다. 이외에 다른 과일이름에서 유래한 우리말, 한자어도 재미있는 단어들이 많다. ‘포도하다’는 한자에 따라 두 가지의 뜻을 지닌다. 첫번째 포도(捕盜)하다는 도둑을 잡다라는 뜻이다. 두번째 포도(逋逃)하다는 죄를 짓고 달아나다란 뜻이다. ‘배하다’도 한자에 따라 두 가지 뜻이 있다. 배(拜)하다는 조정에서 벼슬을 주어 임명하다란 뜻이고, 배(倍)하다는 어떤 수나 양을 두 번 합하다란 뜻이다. ‘수박하다’도 한자에 따라 두 가지 뜻이 있다. 수박(囚縛/收縛)하다는 붙잡아 묶다란 뜻이다. 비슷한 말로 결박하다, 금박하다, 포박하다가 있다. 또 따른 수박(手搏)하다는 주먹으로 치다, 수격하다, 주먹다짐하다라는 뜻이 있다. ‘오이(忤耳)하다'라는 말은 충고하는 말이 귀에 거슬리다라는 뜻이다. ‘감하다’도 한자에 따라 크게 세 가지 뜻이 있다. 감(減)하다는 ‘물체의 길이나 넓이, 부피 등이 본디보다 작아지다’란 뜻이다. 또 감(鑑)하다는 (높이는 뜻으로) 어른이 살펴보다란 뜻이다. 감(勘)하다는 죄 있는 사람을 처벌하여 다스리다란 의미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2024년 7월 26일부터 프랑스 파리에서 제33회 올림픽이 열릴 예정이다. 세계 206개국 1만500여명이 참가해 32개 종목, 329개 경기에서 메달색깔을 놓고 경쟁한다. 우리나라는 파리 하계올림픽에서 메달 총개수 순위 10위에 오를 것이라는 예상이 나왔다. 미국 닐슨 산하 데이터 분석 업체인 그레이스노트가 지난 1월에 발표한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은 금메달 7개, 은메달 6개, 동메달 10개를 합쳐 23개의 메달을 획득할 것으로 예측됐다. 한국을 넘어 세계를 대표하는 축구선수 '손흥민'은 결선에 못나가고, 수영선수 박태환이 결승전에 나갈 수 없다고? 이 문장은 사실일까? 수영에는 ‘결승’이 없기 때문이다. ‘결선’만이 존재한다. 축구에서는 '결선'이 없고, '결승'만이 존재한다. 즉 최종으로 남은 두 사람(혹은 두팀)이 서로 맞붙는 대결은 결승(決勝 ), 여러 명(혹은 여러 팀) 중에서 승자를 뽑는 경기는 결선(決選)이라고 하기 때문이다. 권투, 축구, 배구, 펜싱, 태권도 등 맞겨루는 경기의 마지막 우승자를 가릴 경우라면 '결승', 수영, 달리기, 마라톤, 넓이뛰기 등 단둘이 맞겨루는 경기가 아닌 경우에는 '결선'이라고 말한다. 물론 '결승'이든 '결선'이든 그 이전 경기들인 예선전은 모두 '예선'이다. 왜냐하면 여러 선수(혹은 팀) 중에서 일단 일정한 수의 선수(팀)을 뽑는 거니까. 그래서 '예선'이란 말은 있어도 '예승'이란 말은 없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녹색의 잔디위에서 즐기는 골프와 하얀 빙판위에서 즐기는 컬링이란 스포츠가 형제처럼 공통점이 많다면 믿을까. 골프는 너무나 잘아는 스포츠니, 긴 설명은 패스하고, 컬링에 대해 알아보자. 얼음 위에서 하는 종목이지만 스케이트 대신 특수 제작된 경기화를 신으며, 4명의 선수가 한 팀을 이루어 하우스라고 불리는 얼음을 깐 경기장 내의 표적을 향해 스톤을 투구하여 점수를 겨루는 경기다. 일반인들은 컬링이 빙판위에서 빗자루로 쓱싹쓱싹하는 스포츠로 알고있는데, 스톤의 방향과 속도를 조절하기 위해 쓰는 도구, 빗자루도 정식용어는 브룸(broom)이다. 골프 역시 잔디위에서 활동하기 좋은 특수제작된 '골프화'를 신고, 브룸 대신 '골프채'를 들고 '보통 4명'이 한팀을 이루어 '(클럽)하우스'를 이용한다는 것도 공통점이다. 서양에서는 컬링을 체스에 비유해 이른바 '얼음 위의 체스'라고 불린다. 원 안에 자기 편의 말을 얼마나 많이 남기느냐, 상대편 스톤을 얼마나 조금이라도 더 원 밖으로 멀리 쳐내느냐를 겨루는 종목이며, 룰이 간단하고 보기가 쉽기 때문에 집중하고 보면 재미를 붙이기 좋다. 본격적으로 어떤 공통점이 있는지 하나씩 분석해보자. 1. 골프와 컬링의 발상지는 '스코틀랜드' 골프와 컬링의 두 스포츠의 발상지가 공교롭게 모두 '스코틀랜드'다. 골프 역시 스코틀랜드에서 발원해 북미 대륙으로 퍼지면서 정식 스포츠로 발전했다. 골프가 스코틀랜드인 것은 많이 알지만, 컬링의 출생지가 이곳이라는 건 잘 모른다.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얼음이 얼면 굴려 즐기던 놀이가 발전한 것. 이것이 스코틀랜드 출신 이주자들이 캐나다에 정착하면서 스포츠 경기가 됐다. 동계 올림픽에서 오랜 기간 종목으로 채택되지 않다가, 1998년 나가노 동계올림픽에서야 정식 종목이 됐다. 16세기 초 스코트랜드에 컬링이 존재했다는 증거로 삼을 수 있는 1511년 날짜가 새겨진 스톤이 스코틀랜드 던 블레인 소재의 오래된 연못의 물이 빠지면서 발굴되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컬링 스톤과 축구공이 현재 스털링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컬링'이란 단어는 1620년 스코틀랜드 퍼스(perth)시에서 인쇄된 헨리 아담슨이 쓴 시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2. 골프와 컬링, 모두 '심판이 없다?' 스코틀랜드가 낳은 이 두 종목의 철학적 공통점은 심판이 없다는 점이다. 물론 올림픽 같은 공식 대회엔 형식적으로 심판이 있지만, 경기엔 거의 개입하지 않는다. 경기 진행은 대부분 선수의 합의로 이루어진다. 컬링은 고의적으로 경기 규칙을 어기거나 그 전통을 무시하지 않는다. 만약 누군가가 잘못을 했다면, 스스로가 가장 먼저 그 위반 사항을 알린다. 우리가 어릴때 많이 했던 '오징어게임' '비석치기'등의 경우도 심판이 없다. 아이들 스스로가 심판이며 선수였다. 게임을 통해 룰을 정하고, 배우고, 의견충돌시 '협의와 합의'를 배운다. 3. 매너·예의 스포츠…"Manners makes man" 영화 '킹스맨-시크릿 에이전트'에는 'Manners Maketh Man(매너가 사람을 만든다)'이라는 15세기 영국 '젠틀맨(gentlemen, 紳士)'의 브랜드가 된 말이 많이 등장한다. 예의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이 말은 영국의 윈체스터의 주교이자 영국의 총리였던 'William of Wykeham(1324~1404)가 처음 한 말이다. 그는 윈체스터 대학과 뉴칼리지대학을 설립했고, 그의 말이 바로 모토가 됐다. 스코틀랜드 출신의 유명팝가수인 스팅(Sting, 본명 Gordon Matthew Thomas Sumner, 1951년생)이 1987년 발매한 그의 두 번째 앨범 "Nothing Like the Sun"의 수록곡 중 "Englishman in New York"에도 이 문장이 가사로 등장한다. 즉 스코틀랜드에서 창시된 스포츠답게 예의와 매너의 철학이 골프와 컬링에도 고스란히 담겨있다. 상대편 실수에 기뻐해서는 안되며, 상대방을 비난하거나 모욕하는 것은 절대 금기다. 승부의 추가 기울면 게임 중간에 장갑을 벗고 악수를 청하며, 기권하는 것이 또한 예의다. 마치 바둑에서 더 이상 승부처가 없으면 돌을 거두는 매너와 비슷하다. 이기기 위해 상대에게 혼란을 야기시키거나 상대를 방해하지 않으며, 부당하게 이기는 것보다는 오히려 지는 것을 선택한다. 두 스포츠 모두 승리를 위해서는 힘보다는 정교함과 팀플레이가 더 중요하다. 하지만 경기의 승패보다 더 중요한 것이 바로 '컬링 정신'(The Spirit of Curling)으로 세계컬링연맹 규정에도 명문화되어 있다. 골프도 에티켓을 권장사항으로 알고 있지만 실제는 강제규정이다. 코스의 선행권으로 요약되어 룰 북의 맨 앞에 기재된다. 1976년은 코스의 보호, 1996년엔 플레이의 속도 조항 추가, 2004년에 플레이어가 에티켓을 중대하게 위반하면 경기에서 실격시킬 수 있다고 규정했다. 라운드가 끝난 후 모자를 벗고 정중하게 인사하며 "라운드가 좋았다" "많이 배웠다" "의미있고 소중한 시간이었다"고 말한다. 컬링 역시 마찬가지다. 규정집에 있는 에티켓은 골프에 품격을 부여한다. 18홀 속에 한 사람의 인성과 살아온 삶이 고스란히 투영된다. 골프에서 속인 사람은 인생을 속이는 사람이라는 말이 있다. 골프 룰의 첫 장에 이런 말이 나온다. “슬로우 플레이를 하지 않을 것, 위험한 샷을 하지 않을 것, 남을 배려하고 자신을 속이지 않을 것.” 골프는 건강을 주고, 좋은 친구도 만들어 주지만, 만약 에티켓이 없으면 친구도 잃고 명예까지 잃을 수 있다. 4. 마찰력 싸움…얼음과 마찰 vs 공기·잔디와 마찰 두 스포츠의 공통점은 물리법칙의 미묘한 작용이며, 과학자들의 영원한 숙제인 '마찰력과의 싸움'이란 점이다. 접촉한 물체 사이의 마찰력이란 서로 미끄러지는 운동에 저항하는 힘이다. 골프는 공기와의 마찰, 잔디위에서의 마찰을 치밀하게 계산하고, 바람의 방향과 세기까지 고려해 샷을 해야한다. 컬링 역시 스톤을 정확히 투척함도 중요하지만, 적절한 스윕(브룸으로 빙판의 페블을 닦아내 녹이는 행위)으로 마찰력을 감소시켜 이미 투척된 스톤의 진행거리 조절, 방향조절이 더욱 중요하다. 빙판이 미끄러운 건 마찰이 작기 때문이다. 스켈레톤 선수들은 몸을 가능한 한 낮춰 공기와의 마찰을 줄인다. 일부 종목의 선수복에는 골프공과 비슷하게 공기의 흐름을 원활하게 해주는 홈들을 새긴다. 골프공 역시 공기 마찰력을 줄여 공이 더 멀리 날아갈 수 있도록 골프공 표면에 파인 작은 홈, 딤플(보조개)이 약 350~500개 정도 파여 있고, 평균 깊이는 0.175mm다. 쇼트트랙 선수들이 곡선 구간을 돌며 바닥을 짚을 때 사용하는 개구리장갑의 끝부분에도 얼음과의 마찰을 줄이는 물질이 발라져 있다. 최근 골퍼들 사이에서 코오롱의 신소재 아토메탈을 적용해 만든 아토맥스(Attomax)가 화제다. 아토맥스는 WRC(세계기록위원회)로부터 세계 최장 비거리 골프공(The Longest Golf Ball for the Best Distance) 타이틀을 공식 인증받았다. 그동안 비거리를 앞세우는 골프공이 많이 출시됐지만 글로벌 인증기관으로부터 최장 비거리 골프공임을 공식적으로 인정받은 경우는 아토맥스가 처음이다. 5. 나 자신과의 싸움 '멘탈스포츠'…"골프장도 컬링장도 달라진 건 없다" 컬링과 골프는 멘탈이 중요하는 점도 공통점이다. 위기상황, 변수 등이 생겼을때 멘탈이 흔들리면 경기력도 급격히 추락한다. 두 스포츠 모두 경기장의 정숙이 필요한 종목이기도 하다. 기록 경기에서 선수가 출발할 때, 테니스에서 서브 넣을 때, 양궁에서 활을 쏠 때, 컬링 투구자가 스톤을 밀어내려는 자세에 들어가서 손을 놓을 때, 골프에서 드라이브샷을 치려고 할때는 선수의 집중을 위해 조용히 해주는 게 예의다. 두 스포츠의 공통적 미학은 '템포'에 있다. 샷 뿐만 아니라 경기의 전체흐름, 걸음걸이, 기분의 조절, 말의 속도와 높낮이 등 모든 것에서 '템포'가 중요한 스포츠들이다. 골프와 컬링은 인내심이 필요한 운동이다. 잘 맞는 샷보다 안 맞는 샷이 더 많은 운동이기도 하다. 안 된다고 계속 짜증을 내면 뇌에 각인되어 비슷한 상황에 비슷한 실수가 나온다. 골프와 콜링을 멘탈 스포츠로 정의하는 가장 큰 이유다. 하비 페닉은 "형편없는 샷을 했을 때 화가 나는 것은 당연하다. 그러니까 당신도 화를 내라. 하지만 점잖게 화를 내야 한다. 동반자에게 못된 말을 하거나 클럽, 골프코스에 화풀이를 해서는 안 된다. 클럽과 코스는 당신이 좋은 스코어를 냈을 때와 달라진 게 하나도 없기 때문이다”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