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투자은행 JP모건이 2025년 3분기 역대 최고의 실적을 올린 전기차 제조업체 테슬라(TSLA)에 대해 목표주가를 기존 115달러에서 150달러로 상향 조정했다. 그러나 JP모건은 테슬라의 주가가 여전히 과대평가돼 있다며 투자의견은 ‘비중축소(Underweight)’를 유지한다고 밝혔다. Teslarati, Techi.com, Stocktwits, Electrek, MarketBeat, FactSet에 따르면, 이는 테슬라의 주가가 현 시세(약 430~440달러) 대비 66% 가까이 하락할 가능성을 내포한다는 점에서, 여타 월가 주요 증권사의 긍정적 전망과는 극명하게 대조된다. 10월 3일 429.83달러로 마감했다. 3분기 차량 인도 50만대 육박, “세액공제 종료 전 몰린 수요 덕” 테슬라는 2025년 3분기에 49만7099대의 차량을 인도하며 시장 컨센서스(약 44만3000대)를 12%나 상회했다. 전체 인도량 중 모델3와 모델Y가 48만1166대, 프리미엄 모델군(사이버트럭·모델S·모델X)이 1만5933대를 차지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7% 성장한 수치다. 이러한 기록적 실적의 주 요인으로는 미국 연방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하이닉스의 2026학년도 계약학과 수시 모집에서 경쟁률이 30.98대 1을 기록하며 전년 대비 22.2%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회사의 역대급 실적과 파격적인 성과급 체계, 그리고 최근 도입한 AI 기반 채용 시스템의 복합적 영향으로 분석된다. 2026학년도 수시모집에서 SK하이닉스 계약학과 3곳(고려대·서강대·한양대)에는 총 2478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30.98대 1을 기록했다. 특히 서강대 시스템반도체공학과는 20명 모집에 970명이 지원해 48.50대 1의 최고 경쟁률을 보였다. 반면 삼성전자 계약학과 5곳의 평균 경쟁률은 18.33대 1로 전년 21.16대 1보다 하락했다. 지원자 수 역시 삼성전자는 481명(9.7%) 감소한 반면, SK하이닉스는 451명(22.2%) 증가했다. 전체 대기업 계약학과 14곳에는 총 8892명이 지원해 평균 경쟁률 20.73대 1을 기록했으며, 지원자 수는 전년 대비 261명(3%) 증가했다. 종로학원 임성호 대표는 "계약학과 선호도는 대기업 경영 실적 및 미래 가치 관련 산업 분야 경기 상황 등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한다"며 "대학 브랜드뿐만 아니라 기업 이미지도 입시 변수로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공동 설립한 암호화폐 벤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이 자사의 USD1 스테이블코인을 고성능 블록체인인 Aptos 네트워크에 2025년 10월 6일 공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출시로 USD1은 Aptos 블록체인의 핵심 프로그래밍 언어인 Move 기반 네트워크와 통합되는 최초의 스테이블코인이 됐다. finance.yahoo, CryptoSlate, CoinMarketCap, Aptos Forum, Trust Wallet, MEXC Blog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와 WLFI CEO 잭 위트코프는 싱가포르 Token2049 콘퍼런스에서 Aptos 및 다수의 주요 DeFi 프로토콜과 협력하여 USD1의 생태계 내 신속한 통합을 알렸다. 출시 초기부터 Echelon Market, Hyperion, Thala Labs, Panora Exchange 등 주요 DeFi 플랫폼과 Petra, Backpack, OKX, Gate.io 등 핵심 지갑 및 거래소가 USD1 지원을 확약했다. 기술적으로 Aptos는 메타가 개발했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KB증권은 16일 삼성전자가 엔비디아의 7세대 그래픽 D램인 GDDR7 독점 공급 지위를 당분간 유지하며, 내년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공급 부족 국면에서 최대 수혜를 입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엔비디아가 최근 삼성전자에 GDDR7 공급 확대를 대폭 요청해 삼성전자는 평택 공장의 GDDR7 생산능력을 기존 대비 2배 이상 증설할 계획이다. 이 증설은 이르면 이달부터 가동될 예정이다. 삼성전자의 GDDR7은 대역폭과 전력 효율이 기존 제품 대비 약 30% 개선된 성능을 갖추고 있으며, 현재 삼성전자 그래픽 D램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경쟁사들은 주로 고대역폭메모리(HBM) 3세대 제품(HBM3E)에 생산 능력을 집중하고 있어 엔비디아의 GDDR7 수요에 즉각 대응하기 어렵다는 점에서, 삼성전자의 독점적 공급 지위는 당분간 유지될 전망이다. GDDR7은 DDR5 대비 가격 프리미엄을 받으며 높은 수익성을 기록하고 있어, 출하 확대가 삼성전자의 D램 사업 수익성 개선에도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엔비디아는 GDDR7을 RTX 50 시리즈 GPU뿐 아니라, RTX 프로 6000 블랙웰, 중국 시장을 겨냥한 AI 가속기 B40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는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수능시험이 50일 앞으로 다가왔다. 수능 당일까지 남은 기간 동안 수험생과 학부모가 꼭 해야 할 5가지를 메가스터디교육 남윤곤 입시전략연구소장의 도움을 받아 각각 정리했다. ◆ 수험생이 꼭 해야 할 5가지 1. 등급을 올릴 수 있는 문항 먼저 학습하라 수능까지 남은 약 50일의 기간을 어떻게 보내는지에 따라 수능 성적은 크게 달라질 수 있다. 목표하는 성적을 받으려면 등급을 올릴 수 있는 문항을 먼저 학습하는 등 현실적인 학습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하다. 예컨대, 현재 3등급을 받는 학생이라면 1등급을 목표로 하는 것이 아니라 먼저 2등급으로 성적을 올리고 이후 안정적인 2등급, 그리고 1등급까지 받을 수 있도록 단계별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9월 기준, 미국 증시 S&P500지수의 구조가 극적으로 변화했다. 시가총액 기준 상위 10개 기술대기업 ‘Ten Titans’(텐 타이탄즈)이 전체 시총의 39.1%를 차지하며 사상 최대 집중도를 기록했다. 2022년 말(23.3%)에 비해 불과 3년 만에 15%p 가까운 점유율 상승으로, S&P500이 더 이상 균형형 지수가 아니라 ‘성장주 지수’로 변모하고 있다는 평가다. Nasdaq 및 S&P Global 분석, Seeking Alpha, Business Insider, Schwab Center for Financial Research에 따르면, ‘텐 타이탄즈’는 엔비디아(6.98%), 마이크로소프트(6.35%), 애플(5.99%), 알파벳(5.08%), 아마존(4.13%), 메타플랫폼(3.26%), 브로드컴(2.78%), 테슬라(2.25%), 오라클(1.43%), 넷플릭스(0.87%)로 구성된다. 기존 ‘매그니피센트 세븐’에 브로드컴, 오라클, 넷플릭스를 더해 AI 생태계와 기술혁신의 확산을 반영한다. 이들 10개 기업의 시총 합계는 중국 전체 증시 시총의 2배에 달하며 실제로 S&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국내 최대 인터넷 포털 네이버와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 운영사 두나무가 사상 초유의 포괄적 주식교환을 통해 새로운 지배구조 재편에 돌입한 가운데, 두나무의 창업자 송치형 회장이 네이버파이낸셜 최대주주로 등극하게 되면서 그에 대한 관심이 모아진다. 송치형 회장은 한국 IT와 핀테크 분야에서 기술과 경영을 융합해 디지털 금융 혁신을 이끄는 핵심 인물로, 앞으로도 국내외 시장에서 그의 영향력은 더욱 커질 전망이다. 업계에서는 연간 80조원의 결제 규모를 확보한 네이버파이낸셜과 국내 1위, 글로벌 4위 가상자산거래소 업비트를 운영 중인 두나무의 결합이 국내 디지털 산업에 엄청난 지각 변동을 일으킬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송치형 회장은 1979년 9월 충청남도 공주에서 태어나 한국의 대표 핀테크 및 블록체인 기업인 두나무㈜의 창업자이자 최대주주로서 국내 금융기술 혁신 분야를 주도하고 있다. 충남과학고를 거쳐 서울대학교에서 컴퓨터공학과 경제학을 복수전공했다. 다날에서 병역특례로 근무하며 결제 시스템을 개발한 후 2011년 두나무를 창업했다. 이후 블록체인과 핀테크 기술 기반으로 업비트를 출시했다. 2017년부터 가상자산 거래소 업비트는 가상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6' 출간과 함께 2026년 대한민국과 글로벌 소비 시장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대전환을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이뤄진 기자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가장 빠른 기계를 가진 자가 아니라, 기계 위에서 깊이 사유하고 현명한 질문을 던질 줄 아는 인간이 AI 시대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인간의 비판적 사고와 전문성이 AI 활용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6년 10대 트렌드 - 한국 소비 시장의 미래 '트렌드 코리아 2026'이 제시한 10대 키워드에는 ▲휴먼인더루프(Human-in-the-loop) ▲필코노미(Feelconomy) ▲제로 클릭(Zero click) ▲레디코어(Ready core) ▲AX 조직 ▲픽셀라이프 ▲프라이스 디코딩 ▲건강기능 HQ ▲1.5가구 ▲근본이즘 등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휴먼인더루프’의 개념은 AI가 모든 사안을 결정하지 않고, 반드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AI 철학을 담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전 세계적인 흐름과도 맞물리며, 2026년 한국 정부의 AI 예산이 10조1000억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가 최신 AI 가속기인 GB300에 삼성전자의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12단 제품을 탑재하기로 최종 확정했다. 9일 뉴스1 보도에 따르면,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최근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에게 서한을 보내면서 삼성의 HBM3E 퀄리피케이션 테스트를 통과한 사실과 함께 공식적으로 납품 의사를 전달했다고 알려졌다. 이로써 삼성은 1년 7개월여 만에 엔비디아 공급망에 본격 진입하며 글로벌 HBM 시장에 큰 변화를 예고하고 있다. 지난 2024년 3월 미국 반도체 콘퍼런스 GTC 2024에서 젠슨 황 CEO가 삼성 HBM3E 12단 제품에 ‘젠슨 승인(Jensen Approved)’ 서명을 했으나 이후 질적 문제로 납품이 지연됐다. 올해 초 CES 2025에서는 HBM 설계와 품질 재검토를 언급하는 등 재도약을 위한 고난의 과정이 이어졌다. 이에 이재용 회장은 대법원 무죄 확정 판결 직후인 8월 미국 출장 중 현지에서 황 CEO와 만나 집중적인 비즈니스 미팅을 갖고 세일즈를 주도했다. 이 회장이 이뤄낸 ‘독한 삼성’의 결실이 퀄리티 통과와 공급 확정으로 나타난 셈이다. 삼성전자의 HBM3E 12단 제품은 AI 반도체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호텔신라가 인천국제공항 면세점 DF1(향수·화장품·주류·담배) 권역의 운영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결정하자 주가가 52주 신고가를 경신하며 크게 상승했다. 2025년 9월 19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호텔신라 주가는 전일 대비 3.21% 상승한 5만4700원에 마감했으며, 장중 5만8400원까지 오르며 신고가 기록을 세웠다. 호텔신라는 2023년 10년 계약으로 인천공항 면세점 사업에 진출했지만, 중국 소비 침체와 소비 패턴 변화 등으로 큰 폭의 적자가 누적됐다. 특히 DF1 권역은 입찰 당시 DF3(패션·부티크) 권역보다 약 3배 높은 임대료가 책정되어 막대한 임대료 부담으로 지속적인 영업적자가 발생했다. 이에 임대료 조정을 요구했으나 인천공항공사와의 협상이 결렬됐고, 이에 따라 오는 2026년 3월 17일부로 사업권을 반납하기로 했다. 면세점 사업 철수에 따라 호텔신라는 약 1900억원 규모의 위약금을 부담해야 하지만, 증권가에서는 이 결정이 중장기 실적 개선에 긍정적이라고 평가한다. 교보증권 장민지 연구원은 "DF1 권역 영업 중단에 따른 실적 개선 효과가 내년 2분기부터 반영되어 연간 400억원 이상의 영업손익 개선이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