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화성 이주라는 인류의 오랜 꿈이 점차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그러나 지구에서 수백만 킬로미터 떨어진 행성에 거주지를 짓는 일은 여전히 난제다. 전통적인 건설 자재를 우주로 실어 나르는 것은 비용과 기술적 한계로 인해 사실상 불가능하다. 이에 따라 현지 자원을 활용한 ‘인-시추(In-situ Resource Utilization, ISRU)’ 건설 기술이 각광받고 있다. 최근 텍사스 A&M대학교 진 콩루이(Dr. Congrui Grace Jin)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합성 이끼(Synthetic Lichen) 건설 시스템’은 이 분야에서 혁신적인 해법으로 주목받고 있다. 살아있는 건축자재의 탄생 진 교수팀은 자연계 이끼의 공생 시스템을 모방해, 이종 미생물(이형균사성 곰팡이와 남세균)의 합성 커뮤니티를 구축했다. 이 시스템은 화성의 토양(레골리스)과 빛, 공기, 무기질 용액만으로 스스로 성장하며, 외부의 인력이나 영양 공급 없이도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다. 남세균은 광합성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질소를 고정해 산소와 유기 영양분을 생산, 곰팡이의 생존과 성장에 기여한다. 곰팡이는 금속 이온을 세포벽에 결합시키고, 바이오미네랄(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최근 미국 우주산업의 판도가 요동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일론 머스크 테슬라·스페이스X CEO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아마존 창업자 제프 베이조스와 그의 우주기업 블루오리진이 최대 수혜자가 될 수 있다는 관측이 잇따르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주요 외신은 “머스크와 트럼프의 불화 직후, 베이조스가 트럼프 대통령과의 접촉을 강화하며 스페이스X의 빈틈을 파고들고 있다”고 분석했다. 백악관 접촉·결혼식 초대…베이조스의 전략적 행보 베이조스는 6월에만 트럼프 대통령과 최소 두 차례 통화했고, 블루오리진 CEO 데이브 림프는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행정부 실세인 수지 와일스 비서실장과 만났다. 이 자리에서 블루오리진은 트럼프 임기 내 유인 달 탐사 추진과 정부 우주계약 확대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WSJ는 “트럼프-머스크 결별 직후 이 같은 움직임이 이뤄졌으며, 블루오리진이 정부 우주사업에서 스페이스X를 대체할 수 있음을 적극 어필했다”고 전했다. 특히 베이조스는 6월 26일 이탈리아 베네치아에서 열리는 자신의 초호화 결혼식에 트럼프 대통령을 직접 초대했다. 이는 트럼프와의 관계 개선 및 친분 과시를 위한 상징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전 세계는 이스라엘-이란 전쟁으로 다시 한 번 폭격의 그림자에 긴장하고 있다. 물론 트럼프의 개입으로 극적으로 화해는 이뤄졌지만 아직 불씨는 남아있다.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동·아시아 곳곳의 군사적 긴장, 그리고 AI와 빅데이터 등 첨단기술의 군사적 활용 확대가 맞물리며, ‘평화’는 더욱 요원해 보인다. 그러나 이 와중에 전혀 다른 접근법으로 주목받는 기술이 등장했다. 비즈니스인사이더(Business Insider), AI Business, ndtv 등의 매체들이 놀라운 AI기술에 대해 소개했다. 하버드대 출신 정치학자 아르비드 벨(Arvid Bell)과 노벨상 수상 물리학자 페렌츠 달노키-베레스(Ferenc Dalnoki-Veress)가 공동 개발한 ‘노스스타(North Star)’ AI가 그 주인공이다. 이들은 “AI로 전쟁을 예측하고, 조기에 차단할 수 있다”는 ‘피스테크(PeaceTech)’라는 새로운 개념을 제시하며, 기술이 전쟁의 도구가 아니라 평화의 촉진자가 될 수 있음을 실증하고 있다. ‘노스스타’는 무엇인가?…세계 지도자 ‘디지털 트윈’으로 시뮬레이션 노스스타는 기존 군사 시뮬레이션이나 정보분석 툴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I 업계의 거물 오픈AI와 신생 웨어러블 스타트업 이요(Iyo) 간의 상표권 분쟁이 미국 법원으로 비화했다. datastudios등의 해외외신들의 보도에 따르면, 오픈AI가 애플 전 수석 디자이너 조니 아이브와 손잡고 ‘io’라는 이름의 AI 하드웨어 스타트업을 인수하자, 이요가 “이름이 너무 비슷하다”며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한 것이다. 이 과정에서 이요 측은 과거 오픈AI에 인수와 투자, 지식재산권 거래를 집요하게 요청했지만 거절당했다고 알려지면서, 샘 올트먼 오픈AI CEO가 “유치하고 실망스럽다”고 공개적으로 불만을 표출했다. 분쟁의 발단…‘io’ 인수와 이름 전쟁 2025년 5월, 오픈AI는 조니 아이브가 설립한 AI 하드웨어 기업 ‘io’를 약 65억 달러(약 8.7조원)에 인수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곧바로 구글 출신이 창업한 웨어러블 스타트업 ‘이요(iyO)’가 “io와 iyO는 발음이 동일하고, 제품 카테고리도 겹쳐 소비자 혼동과 브랜드 훼손이 우려된다”며 상표권 침해 소송을 제기했다. 이요는 법원에 “오픈AI와 아이브 측이 과거 투자·협업 논의 과정에서 우리 기술과 브랜드, 제품 콘셉트를 상세히 공유받았다”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아마존이 2025년 6월 23일(현지시간)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인터넷 위성 서비스 ‘프로젝트 카이퍼(Project Kuiper)’를 위한 두 번째 위성 발사에 성공했다. 이번 발사로 27기의 위성이 추가로 저궤도(LEO)에 배치되면서, 아마존은 총 54기의 위성을 궤도에 올려놓게 됐다. 이는 지난 4월 첫 27기 발사 이후 두 달 만의 성과로, 지구 저궤도 인터넷 위성 시장에서 스페이스X의 ‘스타링크(Starlink)’를 정면으로 추격하는 행보다. 프로젝트 카이퍼, 본격 상용화 시동…2026년까지 1,618기 발사 목표 아마존은 3236기의 위성을 발사해 전 세계 미연결 지역에 고속 인터넷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미 연방통신위원회(FCC)와의 라이선스 조건에 따라 2026년 7월까지 절반인 1618기를 궤도에 올려야 한다. 이를 위해 아마존은 ULA(United Launch Alliance), 블루 오리진, 아리안스페이스, 심지어 경쟁사 스페이스X까지 포함해 80회 이상의 발사 계약을 체결했다. 이번에 사용된 로켓은 ULA의 아틀라스 V로, 첫 번째 발사와 동일한 플랫폼이다. 스페이스X 스타링크와의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칠레 세로 파촌산 정상에 위치한 베라 C. 루빈 천문대(Vera C. Rubin Observatory)가 세계 천문학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첫 관측 이미지를 공개했다. 6월 23일(현지시각), 미국 국립과학재단(NSF) 산하 광적외선천문학연구소(NOIRLab)는 베라 루빈 천문대의 32억 화소(3.2기가픽셀) 카메라로 촬영한 처녀자리 은하단(Virgo Cluster), 삼열성운(Trifid Nebula), 라군성운(Lagoon Nebula) 등 남반구 밤하늘의 일부 이미지를 전 세계에 공개했다. ‘32억 화소’…기존 망원경과 비교 불가한 초대형 데이터 베라 루빈 천문대의 카메라는 현재 지상 최대 규모로, 한 번에 촬영하는 이미지의 크기만 32억 화소에 달한다. 이는 허블우주망원경의 시야(보름달 크기의 1%)나 제임스웹우주망원경(JWST, 보름달 크기의 75%)과 비교해도 압도적이다. 베라 루빈 천문대는 한 번에 보름달 크기의 45배에 달하는 하늘을 촬영할 수 있다. 전체 이미지를 한 번에 보려면 4K UHD TV 400대를 연결해야 할 정도로 데이터가 방대하다. 이 카메라는 8.4m 대형 반사경 3개, 1.65m 렌즈 3개, 6개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우주장례 전문기업 셀레스티스(Celestis)가 2025년 6월 23일(현지시간) 스페이스X의 ‘트랜스포터-14’ 임무를 통해 150개 이상의 DNA 캡슐과 인간 유해를 실어 우주로 발사했다고 스페이스닷컴이 보도했다. 이번 ‘퍼서비어런스(Perseverance) 비행’은 전 세계적으로 우주 장례 서비스가 새로운 추모 방식으로 자리잡고 있음을 보여주는 상징적 사건이다. 셀레스티스, 30년 우주 장례 선구자…DNA·유해, 우주로 셀레스티스는 1994년 설립 이래 30년간 우주 장례 분야를 선도해온 기업으로, 미국 휴스턴에 본사를 두고 있다. 이 회사는 1997년 ‘스타트렉’의 창작자 진 로든베리, 2001년에는 미 대통령 조지 워싱턴, 존 F. 케네디, 드와이트 아이젠하워의 DNA 표본 등 유명 인사들의 유골·DNA를 우주로 보내며 독보적 입지를 쌓았다. 이번 퍼서비어런스 비행은 셀레스티스의 25번째 우주 임무이자, 12번째 ‘어스라이즈(Earth Rise)’ 미션이다. 어스라이즈는 유골이나 DNA 샘플을 소형 캡슐에 담아 우주로 보낸 뒤, 지구 저궤도를 두세 바퀴 돌고 대기권에 재진입해 태평양에 낙하, 회수 후 가족에게 전달하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6월 22일(현지시간),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테슬라가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자율주행 택시 ‘로보택시’의 첫 운행을 공식 개시했다. 하지만 머스크가 수년간 공언해온 ‘혁신’과는 달리, 이번 시범 서비스는 제한적 운영과 안전성 논란, 경쟁사 대비 기술 격차 등 여러 한계가 드러났다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로보택시’ 첫 운행, 실제 모습은? 테슬라의 로보택시는 10대 규모로 오스틴 시내 일부 구역에서만 운영을 시작했다. 차량은 테슬라 모델Y를 기반으로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가 탑재됐으나, 실제로는 조수석에 안전요원이 동승하고, 서비스 대상도 일부 SNS 인플루언서 등 초청자에 한정됐다. 머스크는 SNS를 통해 “4.2달러의 정액요금”을 내세웠고, 이용자는 앱을 통해 로보택시를 호출할 수 있다. 약속과 현실의 간극…‘완전 자율’은 아직 멀다 머스크는 2016년부터 “곧 완전 무인 자율주행차 시대가 올 것”이라며, 운전대와 페달이 없는 전용 로보택시 ‘사이버캡’ 출시도 예고해왔다. 하지만 이번 오스틴 시범 서비스는 지오펜싱(Geofencing, 사전에 안전하다고 판단된 특정 구역 내에서만 운행), 안전요원 동승(실제 무인 운행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세계적인 주목을 받는 초소형 정찰 드론 개발에 성공했다. 중국국방과기대학(NUDT) 로봇공학연구소가 최근 공개한 이 드론은 길이 2㎝, 날개폭 3㎝, 무게 0.3g의 ‘모기 크기’로, 기존 군 정찰 장비의 한계를 뛰어넘는 혁신적 기술로 평가받고 있다. 첨단 기술 융합…초정밀·고탄력 설계 이 초소형 드론에는 미세전자기계시스템(MEMS), 재료과학, 바이오닉스 등 최첨단 기술이 융합됐다. 특히 칩 식각(웨이퍼에 패턴을 새기는 공정) 정밀도가 5나노미터(nm)에 달해, 손톱 크기 면적에 중국 고전 ‘손자병법’ 전체를 담을 수 있을 정도로 집적도가 높다. 비행 성능도 획기적이다. 탄소 나노 튜브 강화형 연성 구동기를 사용해 초당 최대 500번의 날갯짓이 가능하며, 곤충과 유사한 탄력과 기동성을 갖췄다. 시속 62~74㎞의 강풍 속에서도 안정적으로 비행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레이더 회피·은밀 침투…군사·재난구조 다목적 활용 이 드론의 가장 큰 특징은 레이더에 거의 감지되지 않는 스텔스 기능이다. 연구진은 “전통적인 정찰 장비로는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도 몰래 침투할 수 있다”며, 전장 정보 정찰 및 특수임무 수행에 최적화됐다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2025년 6월, 일론 머스크와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간의 공개적인 SNS 설전은 단순한 정치적 해프닝을 넘어 미국 우주정책의 구조적 취약성을 적나라하게 드러냈다. 트럼프가 머스크의 정부 계약 해지를 언급하자, 머스크는 곧바로 "드래곤 우주선을 즉시 퇴역시키겠다"고 맞받아쳤다. 이 위협은 NASA가 유인 우주비행에 있어 스페이스X에 얼마나 절대적으로 의존하고 있는지를 전 세계에 각인시켰다. 머스크-트럼프 공개 충돌, 미국 우주 전략의 아킬레스건 노출 현재 미국 내에서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우주인을 실어나를 수 있는 민간 우주선은 스페이스X의 드래곤이 유일하다. 보잉의 스타라이너는 2024년 시험비행 실패로 아직 정상 운영이 불가능한 상황이다. 실제로 지난해 스타라이너에 탑승한 NASA 우주인 2명이 9개월 만에 드래곤을 통해 지구로 귀환하는 해프닝까지 벌어졌다. 만약 머스크가 위협을 실행했다면, NASA는 다시 러시아 소유스 캡슐에 전적으로 의존해야 하는 처지로 내몰릴 뻔했다. 워싱턴포스트, Fortune 등 미국 주요 매체들은 "스페이스X의 드래곤이 NASA의 유일한 대안"임을 지적하며, 한때 NASA 부국장까지 역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