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04 (금)

  • 맑음동두천 16.7℃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공간차트] 상장 앞둔 백종원 더본코리아, '흑백요리사' 덕볼까…빽다방·홍콩반점·빽보이피자·역전우동·롤링파스타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10월 공모주 청약 대어들이 대거 쏟아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도 뜨거워지고 있다. 10월 공모주 청약에 돌입하는 기업이 무려 22개로 '역대 최대' 규모에 달한다.

 

전문가들은 증시 입성을 노리는 기업들이 한꺼번에 몰리면서 투자자들은 종목 선택의 폭은 넓어졌지만, 투자자금이 분산되다보니 흥행여부는 차이가 날 수 밖에 없다. 기업별 옥석가리기가 어느 때보다 심화될 수 있기 때문에 공모주 투자자들은 종목 선별에 각별히 신중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가장 큰 관심을 받는 기업은 더본코리아다. 특히 '흑백요리사'라는 프로그램이 대박을 치면서 연이어 방송인 백종원씨가 대표로 있는 더본코리아도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더본코리아의 공모 희망가 밴드는 2만3000원~2만8000원으로 형성돼 있으며, 이달 말 일반청약을 진행하고 공모가 상단 기준 840억원을 모집한다.

 

이달 공모주 청약 일정에 돌입하는 기업(청약 마지막날 기준)들을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케이뱅크, 더본코리아, 셀비온, 인스피언, 한켐, 루미르, 와이제이링크, 에이치엔에스하이텍, 신한제14호기업인수목적, 씨메스, 클로봇, 웨이비스, 성우, 에이럭스, 유진기업인수목적11호, 탑런토탈솔루션, 미트박스글로벌, 에어레인, 에이치이엠파마, 동방메디컬, 엠오티, 토모큐브 등 총 22개 기업에 달한다. 종전 최대 기록은 20곳(2018년 12월)이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외식 프랜차이즈 운영사 더본코리아의 2023년 매출은 3881억원, 영업이익은 239억원이다. 백종원 대표이사(76%)와 강석원 공동대표(19%) 두 사람의 지분을 합치면 95%를 넘는다. 관계사는 총 12개가 있으며 모두 비상장이다. 기업가치 약 4000억원을 목표로 코스피 상장을 추진한다.

 

더본코리아가 보유한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총 25개에 달한다. 

 

이중 2024년 상반기 기준 가장 매장수가 많은 순서는 빽다방(1594개)>홍콩반점(288개)>빽보이피자(230개)>역전우동(202개)>롤링파스타(126개) 순으로 파악됐다.

 

또 더본코리아의 보유브랜드 중 매출 효자는 저가커피 빽다방과 중식 체인점 홍콩반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더본코리아가 금융위원회에 제출한 증권신고서에 따르면, 2024년 상반기 빽다방 매출은 789억원으로 같은 기간 더본코리아 전체 매출(2113억원)의 37.34%를 차지했다. 더본코리아가 운영하는 25개 외식 브랜드 중 가장 높았다. 매장수도 가장 많고, 매출도 가장 높았다.

 

2위는 홍콩반점으로 매출 비중이 올 상반기 12.72%였다. 그 뒤를 이어 롤링파스타(5.79%), 역전우동(5.38%), 빽보이피자(5.3%)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 5개 외식 브랜드를 제외한 20개 외식 브랜드 매출 비중은 17.27%에 불과했다. 가맹점주와의 갈등 상황이 빚어졌던 연돈볼카츠의 경우 개별 매출 비중이 집계되지 않았다.

 

 

최근 방송가에서 뜨거운 관심을 일으킨 흑백요리사의 흥행성공은 상장을 앞둔 시점에 호재라는 분석이다. 반면 ‘빽컴메(빽다방·컴포즈커피·메가커피)’로 삼분돼 치열한 경쟁을 벌여 온 국내 저가 커피시장이 포화 상태에 도달해 수익성이 악화되고 있다는 점이다.

 

공정거래위원회 통계에 따르면 2023년 말 기준 저가커피 브랜드 가맹점 수는 5285개로 전년 대비 37.3% 증가했다.

 

더본코리아는 2022년 강석원 공동대표를 포함해 임직원 17명에게 스톡옵션 104만5940주를 부여해 언제든지 권리 행사가 가능한 상태다. 주당 행사가격은 9224원으로 더본코리아 공모주 희망 가격 범위(밴드, 2만3000~2만8000원) 상단가의 3분의1 수준이다.

 

강 대표는 34만3980주(밴드 상단 기준 약 96억원)에 대한 스톡옵션을 보유해 공모가가 밴드 상단으로 정해질 경우 평가차익만 약 65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배너
배너
배너



"생리대도 여름용 필수"…유한킴벌리, 여름철 겨냥 ‘화이트 스테이쿨’ 출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유한킴벌리가 여름철을 겨냥한 생리대 라인업을 본격 확장한다. 유한킴벌리는 지난해 선보인 좋은느낌 썸머 에디션이 성공을 거둠에 따라, ‘화이트 스테이쿨 생리대를’ 출시한다고 밝혔다. 신제품은 쿨링시트를 적용해 직접적으로 시원한 기분을 느낄 수 있게 해 주는 것이 특징이다. 점점 무덥고 길어지는 여름 날씨로 인해, 무덥고 습한 여름철에 편안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생리대가 새로운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지난해 출시된 ‘좋은느낌 썸머 에디션’은 피크 시즌인 6월에 좋은느낌 입는 오버나이트 전체 매출 비중의 15%를 차지하는 등, 출시 첫 해부터 고무적인 성과를 거두며 높은 소비자 기대를 확인한 바 있다. ‘화이트 스테이쿨’ 생리대는 패드와 입는 오버나이트 2종으로 출시된다. 소비자가 여름철에 생리대를 사용할 때 피부자극 걱정은 없으면서도, 지속적으로 유지되는 시원한 기분을 느낄 수 있기를 기대한다는 점에 집중했다. 시원한 느낌을 오래 전달하기 위해, 화이트 스테이쿨 생리대에는 자연유래 성분이 함유된 쿨링시트를 적용했다. 전문 감각 패널의 테스트 결과, 일반적인 생리대 부착 시간을 넘는 최대 4시간까지1) 마일드한 시원함을 느낄 수 있는

[공간파일] 강남냉장고 '스메그의 몰락', 2년연속 '적자'…제이컬렉션, 부채·유동성·사채·재고 '빨간불'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이탈리아 '구아스탈라 에밀리아' 지역에서 설립된 70년 전통의 스메그(Smeg) 제품을 유통하는 제이컬렉션(대표이사 정태호)이 지난해 영업이익과 순이익 모두 적자를 기록했다. 게다가 2년 연속 영업손실에 이어 높은 부채비율과 유동성 부족, 사채상환등 단기적인 자금 압박 가능성을 초래할 것으로 보여 재무건전성에 빨간불이 들어왔다는 분석이다. 3일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의 감사보고서에 따르면, 제이컬렉션의 지난해 매출이 155억원으로 전년(181억원) 대비 약 14% 감소했다. 매출액의 감소는 상품 판매 부진에서 비롯됐다. 영업이익과 순이익 부분 역시 2년 연속 손실을 기록했다. 지난해 영업손실은 2억9936만원으로 전년도 영업손실(9억2465만원)보다는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적자 상태를 이어갔다. 당기순손실도 4억6237만원으로 전년도 순손실(14억1670만원) 대비 손실폭은 줄어들었지만 여전히 손실을 기록했다. 부채총계는 76억원, 자본총계는 53억원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부채비율은 141.6%로 전년(142.7%)과 거의 유사한 수준이다. 또 유동부채 68억원, 유동자산 111억원, 비유동자산 19억원으로 나타났다. 특히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