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사우스웨스트 연구소(SwRI)가 위성에 가해지는 미세운석 및 궤도 잔해물(MMOD) 충돌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는 혁신적 탐지 시스템을 공개하며 우주 안전 분야에 새로운 이정표를 세웠다. 사우스웨스트 연구소 공식 발표와 ESA 2025 우주 환경 보고서, Hypervelocity Impact Symposium 연구 결과, bioengineer.org 등의 자료에 따르면, 지구 궤도 내 수만개에 달하는 우주 파편이 급증하는 가운데, 이 시스템은 위성 운영자들에게 즉각적 충격 데이터를 제공해 위성 피해를 사전에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돕는다. 현재 지구 저궤도와 정지궤도에는 약 4만개의 인공물체가 우주 감시망에 의해 추적되고 있으며, 이 중 상당수는 크기가 작아 기존 시스템으로는 탐지가 어려운 미세 입자들이다. 유럽우주국(ESA)의 2025년 우주 환경 보고서는 우주 파편의 증가 속도가 자연 대기권 재진입 속도를 앞서고 있어, 추가적인 발사 없이도 파편 밀집도가 계속 높아질 것으로 경고했다. 특히 상업 위성 폭발, 군사적 안티위성 미사일 실험과 같은 인공적 파편 발생이 우주 환경을 더욱 악화시키며, 이로 인해 케슬러 신드롬이라 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가 지구 저궤도의 모든 위성을 동시에 파괴할 수 있는 핵 기반 우주 무기를 개발 중인 사실이 국가안보 관계자들을 통해 확인됐다. 이 우주 무기는 물리적 파괴와 핵 방사능을 이용해 위성 전자장치를 무력화하는 복합 공격 수단으로, 배치될 경우 최대 1년 동안 저궤도 위성 운용을 완전히 마비시킬 수 있다. 미국 하원 정보위원회 위원장인 마이크 터너 의원은 이를 1962년 쿠바 미사일 위기에 비유하며 "우주 시대의 종말"이 올 것이라고 강력히 경고했다. 이 사실이 확인되면서 글로벌 우주 인프라에 대한 위협이 급격히 증대하고 있다. abcnews, euronews, arabnews 등의 보도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에는 1만2000여개 이상의 위성이 있다. 이들은 군사 통신, 글로벌 내비게이션(GPS), 정보 수집, 금융 거래, 글로벌 공급망 관리 등 경제와 안보 전반에 필수적인 역할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위성은 전통적 무력 충돌 대신 디지털·우주 공간에서 공격 대상이 되고 있다. 사이버보안 업체 넷라이즈(NetRise)의 톰 페이스 CEO는 "위성 통신이 차단되면 GPS뿐 아니라 국민 생활과 군사 작전에 혼란이 발생한다"며 위협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독일 저가 항공사 여객기가 비행 도중 엔진 주변에서 불이 났으나 다행히 이탈리아에 임시 착륙하며 승객 모두가 극적으로 살았다. 2025년 8월 16일(현지시간), 그리스 코르푸에서 독일 뒤셀도르프로 향하던 독일 저가 항공사 콘도르(Condor)의 보잉 757-300 여객기 DE 3665편이 오른쪽 날개 엔진 부근에서 불꽃과 화염이 치솟았다. 약 40분간 비상 상황을 겪은 끝에 이탈리아 남부 브린디시 공항에 긴급 착륙했다. 당시 여객기에는 승객 273명과 승무원 8명 등 총 281명이 탑승하고 있었다. 독일, 이탈리아 현지 언론을 비롯해 Economic Times, New York Post, Kerala Kaumudi, Hindustan Times등의 보도에 따르면, 출발 직후 항공기 엔진에서 폭발음과 함께 불길이 시각 및 영상으로 포착됐다. 콘도르 측은 공식 설명에서 이것이 엔진 내부의 폭발이 아닌, 엔진 이상으로 인한 연소 과정이 외부에서 벌어진 것이라고 해명했다. 조종석에는 엔진 계기 수치가 정상 범위를 벗어났다는 경고가 떴고, 조종사는 즉시 엔진을 정지시킨 뒤 근처 브린디시로 우회해 안전 착륙을 결정했다. 비행 거리는 약 2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로켓랩 코퍼레이션(Rocket Lab Corporation)이 2025년 8월 23일 자사의 역사적인 70번째 일렉트론(Electron) 미션을 수행할 예정이다. Marketscreener, BusinessWire, SatNews의 보도에 따르면, 이는 미국에서 두 번째로 발사 빈도가 높은 민간 우주 발사체 공급업체로서의 입지를 더욱 공고히 하는 이정표가 될 전망이다. 이번 미션은 "Live, Laugh, Launch"라는 이름으로, 5기의 위성을 655km 고도 원형 궤도에 배치할 예정이며, 발사 장소는 뉴질랜드 마히아 반도에 위치한 로켓랩 전용 발사 단지 1 이다. 이번 발사는 지난 8월 5일 일본 지구관측업체 iQPS를 위한 "Harvest Goddess Thrives" 위성 성공 발사 후 단 3주 만에 이루어지며, 로켓랩은 올해에만 11차례의 발사를 완료해 100%의 임무 성공률을 자랑하고 있다. 이는 소형 위성 전용 발사체인 일렉트론이 세계에서 가장 빈번히 발사되는 궤도 로켓으로 자리매김했음을 입증하는 수치다. 로켓랩 CEO 피터 벡 경은 “일렉트론이 반복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우주 접근의 기준을 세우며 업계 내 빠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호주 최대 항공사 콴타스(Qantas)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 팬데믹 기간 동안 지상직 직원 1820명을 불법 해고한 사건과 관련해 사상 최대 규모의 벌금폭탄을 맞았다. BBC, Channel NewsAsia, Times of India, Aerospace Global News등의 매체 보도에 따르면, 2025년 8월 18일(현지시간), 호주 연방법원은 콴타스의 불법적 해고와 아웃소싱이 호주 노동법 120년 역사상 "가장 크고 중대한 위반 사례"라며, 총 9000만호주달러(한화 약 812억원) 벌금을 부과했다. 연방법원 마이클 리 판사는 "이번 판결은 기업들이 노동자를 불법적으로 해고하거나 권리를 침해했을 때 거액의 벌금을 피할 수 없다는 강력한 메시지"라고 강조했다. 콴타스는 2020년 말, 코로나19로 인한 항공 운영 중단과 경영 악화 상황에서 각 공항의 지상 업무를 외주화하며 1820명의 지상 조업직을 해고했다. 이 결정은 임금 및 노동조건 협상, 노조 결성 등 직원의 법적 권한을 침해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재판부는 벌금 중 5000만호주달러(약 452억원)를 교통노동조합(TWU)에 직접 지급토록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화오션(대표이사 김희철)이 현대건설(대표이사 이한우)과 함께 국내 해상풍력 산업 공급망 강화를 위한 협력에 나선다. 양사는 8월 19일 서울 장교동 한화빌딩에서 국내 해상풍력사업 협력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이번 MOU를 통해 양사는 신안우이 해상풍력 사업을 시작으로 국내 해상풍력 EPC(설계·조달·시공) 파트너십을 구축하기로 합의했다. 한화오션이 해상풍력발전기설치선(WTIV, Wind Turbine Installation Vessel)을 직접 건조해 주요 공급망의 국산화에 기여한다는 내용도 포함됐다. 한화오션은 2024년 12월 ㈜한화 건설부문으로부터 풍력사업을 양수하며 신안우이 등 2GW 규모의 해상풍력 발전사업허가를 확보, 개발·시공 역량을 동시에 갖춘 사업자로 도약했다. 기존에 축적해온 WTIV 건조 역량은 해상풍력 핵심 공급망 국산화에 기여하여 해상풍력 산업 경쟁력 강화를 뒷받침할 핵심 자산으로 평가된다. 현대건설은 국내 해상풍력 EPC 선도기업으로서 국내 최초의 해상풍력 단지인 서남해 실증단지와 제주한림 해상풍력사업을 준공한 기술력과 경험을 보유하고 있다. 한화오션이 추진 중인 신안우이 해상풍력 사업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가 운영하는 위성 인터넷 서비스 스타링크(Starlink)가 8월 18일(현지시간) 미국 동부시간 오후 1시 30분경부터 두 번째 대규모 장애를 겪었다. Benzinga, Marca, Ainvest, Space.com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장애는 미국 전역에서 최소 4만3000건의 서비스 불능이 실시간 집계됐으며, 댈러스, 샌프란시스코, 피닉스, 시카고, 애틀랜타, 미니애폴리스, 워싱턴 D.C. 등 주요 대도시와 외진 지역 사용자들까지 직격탄을 맞았다. 사상 최대 규모의 중단 사태는 약 1시간 만에 신고 건수가 2800여 건으로 줄었지만, 수십만 명에 달하는 실제 피해 규모는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이번 장애는 스페이스X가 캘리포니아 밴든버그 우주군 기지에서 오전 9시 26분(태평양 표준시)에 스타링크 24기를 실어 올린 2025년 100번째 팰컨9(Falcon 9) 발사 미션 직후 발생했다. ‘스타링크 17-5’ 임무로 올해 총 1786기의 위성이 배치돼, 현재 8100기 이상의 활발한 위성이 궤도를 돌고 있다. 스페이스X 발사 부사장 키코 돈체프(Kiko Dontchev)는 “작년 100번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천왕성 내부가 완전히 차갑다고 시사했던 NASA의 보이저 2호 탐사선 관측 결과가 뒤집혔다. 40년 만에 태양계 최대 미스터리였던 ‘천왕성 내부 열 실종’ 논란에 종지부가 찍힌 셈이다. Science News, ScienceDaily, 스푸트니크의 보도에 따르면, 미국 휴스턴대학교 주도 국제 공동 연구팀은 2025년 7월 14일 미국지구물리학연합(AGU) 학술지 ‘Geophysical Research Letters’에 발표한 최신 논문을 통해, 천왕성이 태양빛으로부터 받는 열보다 약 12.5% 더 많은 내부 열을 방출한다는 객관적 수치를 공개했다. Voyager 2호가 놓친 것과 새로운 발견 1986년 1월 보이저 2호가 천왕성을 세계 최초로 근접 통과 관측했을 당시, 과학계는 천왕성 대기에서 내부 열 발산이 거의 감지되지 않았던 점에 충격을 받았다. 당시의 적외선 검출 결과에 따르면, 천왕성은 태양으로부터 받은 에너지와 거의 비슷한 양을 복사하며, 내부 열원이 ‘없다’는 결론이 내려졌다. 이로 인해 천왕성은 ‘태양계에서 유일하게 내부 열을 방출하지 않는’ 거대 행성이라는 오명(?)을 얻었다. 하지만 최근의 연구들은 이 결론이 V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러시아가 2036년 이전에 금성 탐사 임무 ‘베네라-D(Venera-D)’를 반드시 실행하겠다고 공식적으로 약속하면서, 행성탐사의 판도 변화가 예견되고 있다. TASS,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Xinhua, English News.cn, China Daily Asia, NASA 보고서,라보치킨 협회, 러시아 우주연구소 공식 발표와 보도에 따르면, 이번 프로젝트는 러시아 정부 차원의 예산 배정과 함께 ‘국가 우주프로젝트’로 공식 포함됐으며, 2026년 1월부터 개념설계 단계가 본격적으로 돌입할 예정이다. 러시아 정부 지원·국가 프로젝트 전격 편입 2025년 8월 17일(현지시간), 러시아 과학아카데미 우주연구소 행성물리학과장 올레그 코라블레프는 “베네라-D가 정부의 ‘우주’ 국가 프로젝트에 포함됐으며, 예산도 이미 집행됐다”고 밝혔다. 라보치킨 협회(러시아 주력 우주선 제조사)와의 긴밀한 협조 하에, 2년간의 예비 설계 작업 및 개발 일정 최적화 회의도 진행되고 있다. 설계가 끝나면 최종 발사 일정이 결정되는데, 늦어도 2036년 내 실행을 목표로 한다는 점도 재확인됐다. 다중 구성을 통한 정밀 과학탐사 임무 아키텍처는 궤도 탐사선,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 우주비행사들이 인공지능(AI) 시스템 ‘우콩(Wukong) AI)’의 지원을 받아 세 번째 우주유영(EVA)을 성공적으로 마치며, 중국의 우주 역사를 새롭게 쓴 혁신적 이정표를 세웠다. NASA와 China.org.cn의 발표와 함께 Complete AI Training News, Ground News의 보도를 종합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2025년 8월 15일(현지시간) 톈궁(天宫) 우주정거장에서 진행된 이번 임무는 약 6시간 30분 동안 진행됐으며, 선저우-20호(Shenzhou-20) 승무원들이 참여했다. 대규모 AI 기술을 궤도에서 현장에 직접 적용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중국 우주기술의 첨단화를 보여주는 상징적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우콩 AI’는 7월 15일 톈저우-9호(Tianzhou-9) 화물선과 함께 우주정거장에 성공적으로 전달됐다. 이 AI는 중국 신화 속 손오공에서 이름을 따왔으며, 국내 오픈소스 기술을 바탕으로 지상과 궤도에 나뉘어 동작하는 이중 모델 체계로 설계됐다. 지상에서는 심층 분석을 수행하고 우주정거장 내 AI는 실시간으로 작업 지원과 복잡한 문제 해결에 집중한다. 우주비행사들은 작업 일정 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