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유플러스는 경기도사회적경제원, 어린이날다 사회적협동조합과 함께 재난현장 어린이를 위한 ‘찾아가는 이동형 놀이터’를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이동형 놀이터는 기존 재난구호 활동이 심리상담 등 정적 지원에 치중했던 한계를 보완하고, 유엔아동권리협약(UNCRC) 제31조에 명시된 아동의 ‘놀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기획됐다. 유엔아동권리협약은 재난 상황 속 아동의 놀 권리가 우선순위에서 밀리는 경우가 있지만, 놀이가 아동의 트라우마 등 정서적 고통을 회복하고 일상 복귀를 돕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권리 보장을 권고하고 있다. 이동형 놀이터는 전국 재난 현장에 투입될 수 있도록 조립·해체·운송이 쉬운 모듈형 구조로 제작됐다. 주요 놀이 도구는 인디언 천막(티피, tepee), 회전그네, 한글 가베교구 등이다. 인디언 천막은 아카시아 나무로 만든 볼트와 너트를 이용해 어린이와 성인 자원봉사자가 함께 조립하는 방식이다. 성인 2명과 아동 4명이 힘을 합치면 약 2시간 내에 완성할 수 있다. 천막은 약 2.5m 높이로 총 4개가 1세트를 이루며, 사다리·미끄럼틀·밧줄 등을 함께 설치해 아이들이 자유롭게 놀 수 있도록 구성됐다. 회전그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트먼 오픈AI CEO와 젠슨 황 엔비디아 CEO가 9월 셋째 주 예정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영국 국빈 방문에 동행해 수십억 달러 규모의 데이터센터 투자 계획을 공식 발표할 전망이다. 로이터, 블룸버그, 파이낸셜타임스, CNBC, 테크UK에 따르면, 이 같은 계획은 영국 현지 데이터센터 업체인 엔스케일 글로벌 홀딩스(Nscale Global Holdings)와의 공동 프로젝트 형태로 진행되며, 미국 내 주요 ICT 기업들도 트럼프 대통령의 방문 기간 중 영국에 수백억 달러대 투자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투자 계획은 AI(인공지능) 및 클라우드 기술 급성장에 따른 디지털 인프라 수요 폭증에 대응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로, 영국 정부가 올해 초 발표한 ‘AI 성장 구역’ 정책과 맞물려 추진된다. AI 성장 구역은 데이터센터 건설 시 신속한 승인과 전력망 접근성 향상을 목표로 하며, 첨단 AI 기술 경쟁에서 미국 및 중국과 격차를 좁히려는 영국의 전략적 국가 프로젝트다. 오픈AI는 7월 노르웨이에서 10억 달러 규모의 스타게이트(Stargate) 데이터센터 설립을 위해 현지 투자그룹과 협력하는 등 유럽 내 확장에 속도를 내고 있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올 여름 천문학계는 우주의 극단적인 폭력성과 근본적인 물리 법칙을 동시에 재확인하는 두 가지 충격적인 발견으로 과학자들을 놀라게 했다. NASA, ESO, LIGO-Virgo-KAGRA 협력체, University College Dublin, University of Birmingham 등에 따르면, 7월에는 과학자들이 지금까지 알려진 어떤 설명도 적용할 수 없는, 하루 종일 반복해서 발생한 사상 초유의 감마선 폭발을 탐지했다. 또 중력파 검출기는 1월에 블랙홀들이 합쳐지는 순간의 가장 선명한 신호를 포착해, 스티븐 호킹의 면적 정리와 로이 커가 제시한 회전하는 블랙홀의 기술을 결정적으로 입증했다. 우선 첫 번째 발견은 2025년 7월 2일 NASA의 퍼미 감마선 우주망원경이 최초로 관측한 감마선 폭발 GRB 250702B다. 기존 감마선 폭발은 단발성으로 빠르게 사라지는 현상이지만, 이 폭발은 하루가 넘는 시간 동안 여러 차례 반복됐다. 이후 추가 검증에서 중국 아인슈타인 프로브의 X선 자료에서 하루 전부터 활동한 확실한 흔적이 발견되면서 이 감마선 폭발은 역사상 처음으로 반복적이고 장시간 지속되는 사례로 기록됐다. 유럽남천문대의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의 갈리시아 고에너지 물리학 연구소(IGFAE, 스페인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대학교) 연구팀이 2019년 관측된 GW190412 사건을 통해 블랙홀 병합 후 남은 블랙홀의 탈출 속도와 방향을 세계 최초로 완전하게 측정하는 데 성공했다. 이 발견은 중력파 연구가 시작된 지 10년 만에 이룬 중요한 이정표다. 이 내용은 2025년 9월 9일 네이처 천문학저널에 발표됐다. Calderón-Bustillo et al., Nature Astronomy, Phys.org, IGFAE 공식 발표, Albert Einstein Institute 분석 리포트에 따르면, 이번 연구는 펜실베이니아 주립대와 홍콩 중문대 연구진과의 국제협력으로 이루어졌으며, 분석 대상인 GW190412는 질량이 크게 다른 두 블랙홀의 병합에서 발생한 중력파다. 연구진은 병합 후 블랙홀이 초속 약 50km로 튕겨져 나갔다는 사실과 그 반동 방향을 고차원 중력파 모드를 활용해 처음으로 정밀하게 규명했다. 이는 구상성단 탈출에 충분한 속도로, 블랙홀의 은하 내 진화와 병합 역학에 결정적 영향을 미친다. 기술적으로 이번 성과는 ‘중력 오케스트라’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중국이 2025년 세계 두 번째 ‘소행성 궤도 편향’ 실증에 도전장을 내밀었다. 지난주 제3회 심우주 탐사(톈두) 국제 콘퍼런스에서 우웨이런 중국 달 탐사 프로그램 총설계자는 수천만 km 떨어진 소형 소행성(2015 XF261 추정)에 임팩터와 관측용 우주선을 쏘는 최초의 국가 소행성 방어 임무를 공식 발표했다. 이는 중국이 잠재적으로 위험한 소행성을 편향(지구에 충돌할 가능성이 있는 소행성의 원래 궤도 경로를 인위적으로 바꾸어 위험 지역을 벗어나도록 하는 것)시킬 수 있는 세계에서 두 번째 국가가 되려는 의도를 드러낸 것이고, 아울러 행성 방어에 대한 국제 협력 확대를 촉구하기 위한 것이다. 이중 우주선 충격 실험…3~5cm 궤도 변경도 ‘1000km’ 효과 china daily, globaltimes, SCMP, Xinhua, NewSpaceEconomy, space.com에 따르면, 중국의 이번 임무는 임팩터와 사전 관측 우주선을 한 번에 발사한 뒤, 소행성 인근에서 분리 이동하는 양동 전략이다. 관측 우주선이 먼저 도착해 수개월간 표면 조성, 궤도 분석 등 기초 데이터를 수집하고, 실제 충돌 순간 및 이후 궤도 변화를 실시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항공우주국(NASA)이 오는 10월 19일부터 텍사스 휴스턴 존슨 우주센터의 3D 프린트 'Mars Dune Alpha' 거주지에서 4명의 승무원이 참가하는 378일간의 화성 시뮬레이션 임무(CHAPEA Mission 2)를 시작한다. 이 임무는 향후 인류의 화성 탐사를 대비하기 위한 NASA의 대표적 장기 아날로그 프로젝트로서, 2024년 7월 종료된 첫 번째 임무(378일) 데이터에 기반한다. NASA 공식 홈페이지, Daily Galaxy, ICON·BIG 공식 Mars Dune Alpha 기술자료, ABC News, Texas Standard에 따르면, 이 여정은 레드 플래닛(화성)에서의 생활을 시뮬레이션하는 것이며, CHAPEA(승무원 건강 및 성능 탐사 아날로그, Crew Health and Performance Exploration Analog) 미션은 NASA의 두 번째 종합적 연구로, 언젠가 인류가 화성을 탐사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과정이다. ‘엘리트 승무원’, 화성 임무 전문성 총집결 이번 CHAPEA 2차 임무에는 실전과 연구 능력을 겸비한 4명의 승무원이 선발됐다. 지휘관 로스 엘더(미 공군 소령)는 1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AI 선두기업 오픈AI가 2026년 중반까지 인공지능을 활용한 AI 채용 플랫폼을 출시하며, 마이크로소프트 자회사이자 글로벌 직업 네트워크인 링크드인과 정면 경쟁에 나선다. TechCrunch, CNBC, Fox Business, AIMultiple, Pymnts, GeekWire의 보도에 따르면, 오픈AI 애플리케이션 부문 피지 시모 CEO는 “기업이 필요로 하는 역량과 구직자가 제공할 수 있는 역량 사이의 완벽한 매칭을 AI로 돕는 플랫폼”이라고 밝혔다. 이 플랫폼은 대기업뿐만 아니라 소규모 기업과 지방정부도 AI 인재를 쉽게 찾을 수 있도록 별도의 트랙을 마련해 소규모 고용주에도 기회를 제공한다. 특히 텍사스 비즈니스 협회는 수천명의 자국 고용주와 AI 인재를 연결해 사업 현대화를 촉진할 계획이다. 이처럼 오픈AI가 채용시장에 진출하는 것은 AI 인재 확보 경쟁이 치열해지는 가운데 새로운 비즈니스 영역 개척의 일환이기도 하다. 30년 경력의 벤처 투자자인 링크드인 공동창업자 리드 호프만이 오픈AI 초기 투자자이자 이사회 멤버였으나, 이해충돌 방지를 위해 2023년 3월 이사회에서 물러났다는 점도 주목을 끈다. 한편 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창의·융합형 교육 교구 전문기업 학토재(대표 하태민)는 8월 18일부터 19일까지 일본 오사카 KKR호텔에서 열린 제60회 재일본한국인교육연구대회 학토재 교구 전시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는 일본 전역에서 한국어 및 한국 역사 교육을 담당하는 기관과 교사들이 한자리에 모이는 의미 있는 자리로, 학토재는 그동안 꾸준히 재일동포 교육기관에 교구를 기증해온 성과를 기반으로 현장에서 직접 제품을 선보이며 큰 호응을 얻었다. 학토재는 ▲한글·한국어 학습 ▲독서·문해력 ▲창의력 ▲인성·소통 ▲협력놀이 등 다양한 영역을 아우르는 교육 교구를 전시했다. 이번 전시회를 통해 학토재 교구의 활용성과 교육적 가치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시연을 진행했으며, 참가자들로부터 “한국어 학습뿐 아니라 창의력과 협력적 문제 해결 능력까지 향상할 수 있는 혁신적인 도구”라는 호평을 받았다. 하태민 학토재 대표는 “그동안 재일동포 학생들을 위해 꾸준히 교구를 기증해왔는데, 이번 전시회를 통해 일본 전역의 교육자분들과 직접 만나 교구의 활용법을 공유할 수 있어 뜻깊었다”며 “앞으로도 한국어와 한국 문화를 배우는 재일동포 학생들에게 보다 풍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의 경제 전문 매체 포브스(Forbes)가 발표한 2025-2026년 미국 대학 순위가 공개되면서, 고등교육의 가치와 실질적 수익성에 대한 관심이 다시 한 번 집중되고 있다. 이번 순위는 단순히 명성이나 학벌이 아니라 졸업생들의 실질적 성과, 특히 20년 후 중간 경력 급여, 부채 규모, 졸업률, 리더십 배출 등을 종합한 14가지 지표를 기준으로 삼았다. Poets&Quants, CNBC, Best Colleges, Times of India, Forbes ROI report의 데이터를 통해 뉴스스페이스 랭킹연구소가 이번 포브스 대학 순위를 분석해 그 의미와 시사점을 짚어본다. MIT·프린스턴 등 전통 명문은 여전한 중간 경력 고소득 군단 1위는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으로, 졸업 20년 후 중간 경력 급여가 약 19만6900달러로 미국 최고 수준을 기록했다. 2위는 컬럼비아대학교가 차지했다. 프린스턴 대학교는 19만4100달러로 3위를 차지하며 두 해 연속 1위 자리에서 내려왔다. 특히 STEM 분야에 강한 하비 머드 칼리지가 3위에 버금가는 18만5900달러를 기록한 점은 소규모 리버럴 아츠 대학의 새로운 강자 등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미국 브룩헤이븐(Brookhaven) 국립 연구소의 1000톤 규모 대형 입자 검출기 sPHENIX가 최근 진행된 ‘표준 촉광(standard candle)’ 시험을 성공적으로 통과하며, 빅뱅 직후 극한 환경에서 존재했던 쿼크-글루온 플라즈마(QGP) 연구의 새로운 장을 열었다. MIT News, Gizmodo, Sciencesprings, scienmag, ATLAS등에 따르면, 이는 검출기의 정밀성과 속도를 입증하는 중요한 이정표로, 초기 우주의 신비로운 원시 물질을 해독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었음을 과학계에 알렸다. 이번 3주간의 시험에서는 브룩헤이븐의 고에너지 핵 물리 연구시설인 RHIC(상대론적 중이온 충돌기)에서 거의 광속에 가까운 속도로 가속된 금 이온을 충돌시키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하전 입자의 수와 에너지를 측정했다. sPHENIX는 특히 충돌의 ‘정면 충돌(head-on collision)’ 여부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정면 충돌에서는 스쳐 지나가는 충돌보다 10배 많은 하전 입자가 10배 더 높은 에너지로 방출되는 현상을 정확히 포착했다. 이는 검출기가 설계대로 극한 환경에서도 입자 데이터를 정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