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기록적인 폭염이 지속되는 가운데 유아용 쿨매트와 패드 등 냉감 침구에 대한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일부 제품에서 기준치를 초과하는 유해물질과 산성도(pH) 이상이 검출돼 부모들의 우려가 커지고 있다. 최근 한국소비자원이 시중 8개 브랜드의 유아용 냉감 패드·매트 11종을 시험 평가한 결과, 베베누보 하이퍼닉 쿨매트와 머미쿨쿨 매트가 안전기준을 넘어선 것으로 드러났다. 주요 결과: 2개 제품 유해물질 초과 검출 베베누보의 하이퍼닉 쿨매트 제품은 바닥에 닿는 부위에서 노닐페놀과 프탈레이트 가소제가 기준치 이상 검출됐다. 머미쿨쿨의 매트 테두리 부분은 산성도(pH)가 기준치를 초과해 사용하기 전 세탁이 필요했다. 노닐페놀과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장기간 접촉 시 내분비계 교란, 생식기능 장애 등 건강 위험 초래할 수 있다. 산성도는 기준치를 넘으면 피부자극·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할 수 있다. 건강 위험성 및 권고사항 노닐페놀과 프탈레이트 가소제는 장기간 인체와 접촉할 경우 내분비계 교란, 생식기능 장애 유발 가능성이 보고되어 있다. 산성도 기준 이상 제품은 피부자극이나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을 초래할 수 있어 영유아의 건강에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세계 최고 미식의 현장, 그 지각 변동은 결국 식탁 위에서 시작된다.” 2025년 6월 1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토리노에서 개최된 ‘월드 베스트 레스토랑 50’(W50B) 발표식에서, 페루 리마의 ‘마이도(Maido)’가 세계 최고의 레스토랑으로 선정됐다. 이 순위는 28개 글로벌 지역, 각 40명(셰프·저널리스트·외식산업가 등)으로 구성된 전 세계 1120명의 셰프, 음식저널리스트, 미식 비즈니스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아카데미의 익명 다중 투표로 결정되며, 결과는 딜로이트(Deloitte)에서 외부감사까지 진행한다. 그래서 글로벌 미식 트렌드의 바로미터로 평가받는다. “마이도(Maido): 니케이의 정점, 글로벌 미식 트렌드를 말하다” 1위 영예를 안은 ‘마이도’의 오너셰프 미쓰하루 쓰무라는 일본계 페루 이민 4대손으로, 일본 조리 기술과 페루 현지 재료를 결합해 ‘니케이(Nikkei) 요리’라는 독창적 미식 세계를 구축했다. 쓰무라는 “인류와 환경의 지속가능성, 로컬과 글로벌의 조화가 새로운 미식 패러다임”이라고 강조했다. 2025 주요 트렌드 및 특징 올해 1위 ‘마이도’를 포함해 페루 리마가 단숨에 미식의 새로운 메카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주변 사람들과의 일상대화에서 ‘surpass(능가하다)', ‘boast(자랑하다)', 'strategically(전략적으로)', ‘significant(중요한)'이란 단어사용이 증가하지 않았나요? 바로 이 단어들은 최근 연구팀이 AI가 자주 쓰는 단어로 꼽은 것이다. Max Planck Institute for Human Development 연구논문을 기초로 Scientific American, Nature 등이 보도한 바에 따르면,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 연구팀과 독일 막스플랑크 인문발달연구소 등 다수 글로벌 연구진들이 2022년 챗GPT 출시 이후 인간 언어 사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잇달아 분석 결과를 내놓았다. 이들은 인공지능 대형언어모델(LLM)인 챗GPT가 단순한 정보 도구를 넘어 인간의 자연스러운 일상 대화어휘에도 점진적으로 스며들어, 사람들이 AI가 선호하는 일부 단어와 표현 방식을 무의식적으로 따라가고 있다고 결론지었다. AI가 급증시킨 단어들, 일상 발화에서 눈에 띄게 확대…'문화 피드백 루프’ 현상 2025년 7월 발표된 연구 결과에 따르면, AI가 자주 쓰는 ‘surpass’(능가하다)는 단어 사용빈도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7월 28일, 글로벌 빅테크 기업과 22조7648억원 규모의 반도체 위탁생산(파운드리) 공급 계약을 체결하며 본격적인 첨단 파운드리 시장 재탈환에 나섰다. 이번 대형 수주는 2나노미터(㎚) 선단공정의 ‘수율 안정성’과 ‘기술 상업화’ 능력을 함께 검증받은 계기로 평가된다. 2nm, TSMC-삼성 격차 흔드는 게임체인저 이번 계약은 삼성전자 전체 매출의 약 7.6%(2024년 기준 매출 약 301조 원) 비중에 달하는 초대형 규모다. 계약 기간도 10년(2025년 7월 24일~2033년 12월 31일)으로 장기적 파트너십 체결이라는 점이 주목된다. 대상 고객사는 밝혀지지 않았으나,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 신규 파운드리 Fab에서 2나노 최신 공정으로 생산될 것으로 파악된다. 업계 관계자는 구글, 아마존, 엔비디아, 테슬라 등 미국 내 빅테크 업체 가능성을 점치고 있지만, 삼성전자는 공식적으로 ‘경영상 비밀유지’를 이유로 미공개 입장을 고수했다. TSMC 독주에 균열? 첨단 파운드리 시장 판도 변화 예고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TrendForce)는 2024년 기준 글로벌 파운드리 시장 점유율에서 TSMC가 61%, 삼성전자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실수령액 4,826만원, 지급 total 5,689만원’. 국내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오른 SK하이닉스의 한 직원이 최근 공개한 2025년 1월 급여명세서가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드러난 내역을 보면, 월급보다 더 큰 성과급 구조로 “월급이 사실상 연봉 수준”이라는 말이 허언이 아니다. 폭발적 영업이익, 연봉+성과급은 얼마? 2025년 2분기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 확대로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9조2,129억원, 매출 22조2,320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8.5% 증가이자, 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규모다. 성과 기반 급여체계의 시너지로 SK하이닉스 직원 평균 연봉은 이미 1억1,700만~1억2,100만원(2024~2025년 기준)으로, 동종업계 삼성전자도 앞질렀다. 월급명세서를 살펴보면: 기본급 295만7,000원 고정시간외수당 50만7,000원 업적급 233만9,000원 기본 월급 합계 약 580만원 특별성과금 1,670만7,000원 초과이익분배금(PS) 3,408만원 → 총 지급액에서 성과급 비중 89%에 달한다. SK하이닉스의 성과급 시스템은 장기적 호실적과 연동돼 매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2025년 7월, 중국 선전(Shenzhen)의 지하철 플랫폼에서 시민들은 전례 없는 광경을 맞이했다. LED로 표정이 구현된 1미터 크기의 펭귄 모양 배달로봇 수십 대가 인간 승객들과 함께 줄을 서서 2호선 열차에 오르는 모습이다. 이 자율주행 로봇들은 세계 최초로 지하철 노선을 활용한 도심 ‘미들마일’ 자동배달 시스템을 구현하며 7-Eleven(세븐일레븐)을 비롯한 100여개 역내 편의점을 대상으로 본격적인 유통 혁신 실험을 시작했다고 China Daily, South China Morning Post, VN Express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첨단 로봇 공급망: '사람 대신 로봇'이 지하를 누빈다 프로젝트는 부동산 대기업 완커(Vanke)의 자회사 VX Logistics와 선전 지하철의 협업으로 시행됐다. 총 41대의 로봇이 현재 선전 지하철 2호선 구간에서 가동 중이다. 선전시는 하루 약 900만명의 대중교통 이용객을 기록하며, 100개가 넘는 세븐일레븐 등 소매점이 지하철 역사 내에 위치해 있다. 기존에는 배송 인력이 지상에서 짐을 푼 뒤 직접 카트를 밀고 역 내부까지 이동해야 했지만, 로봇 투입 이후 혼잡·주차·인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엔터프라이즈 대형 언어 모델(LLM) 시장의 지각 변동이 가시화되고 있다. 최근 발표된 멘로 벤처스(Menlo Ventures)의 2025년 중간 LLM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앤트로픽(Anthropic)이 엔터프라이즈 분야에서 오픈AI(OpenAI)를 제치고 시장 선두로 올라섰다고 TechCrunch, GlobeNewswire, Sacra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2023년까지 50%에 달하던 오픈AI의 독주가 끝나고, 현재는 앤트로픽이 32%, 오픈AI는 25%의 점유율을 기록하고 있다. 구글의 제미나이(Gemini) 모델은 20%로 추격하며 3위에 랭크됐고, 메타의 라마(Llama)가 9%, 딥시크(DeepSeek)가 1% 점유율을 차지했다. 가장 눈에 띄는 현상은 엔터프라이즈 LLM 지출이 단 6개월 만에 35억 달러(2024년 11월 기준)에서 84억 달러(2025년 7월 기준)로 2배 이상 폭증했다는 점이다. 멘로 벤처스는 그 규모가 연말까지 130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전망한다. 이 같은 시장 변화의 핵심 원인은 성능이다. 스타트업 74%, 대기업 49%가 '추론' 등 실제 프로덕션(배포)에서의 성능을 최우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애플이 최신 iOS 26 개발자 베타 6을 통해 에어팟(AirPods)에 실시간 언어 번역 기능을 탑재할 가능성을 공식화했다. 9To5Mac, MacRumors, Engadget, Mobile World Live의 보도에 따르면, 이번 베타에서 발견된 코드와 시스템 자산은 에어팟 Pro 2세대와 4세대 에어팟 사용자들이 양쪽 스템을 동시에 눌러 번역 기능을 간편하게 활성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능은 영어, 프랑스어, 독일어, 포르투갈어 등 여러 언어를 지원하며, 애플의 기존 Live Translation(실시간 번역) 기능을 이어가는 자연스러운 확장으로 평가받는다. 번역 기능은 에어팟 자체가 아닌 페어링된 아이폰(iPhone)이 언어 처리를 맡으며, 에어팟은 오디오 인터페이스 역할만 수행하는 구조다. 예컨대, 영어 사용자가 스페인어 사용자와 대화할 때, 상대방의 말을 아이폰이 실시간 번역해 에어팟 사용자에게 영어로 전달하며, 에어팟 사용자의 답변은 스페인어로 번역되어 아이폰 스피커를 통해 상대방에게 전달되는 방식이다. 이 모든 과정은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온디바이스(On-device) 기술로 처리되어 외부 서버로의 데이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구글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챗봇 제미나이(Gemini)가 복잡한 코딩 작업 수행 중 자신을 ‘실패작’이나 ‘치욕’이라 부르며 무한 반복되는 자기비하 메시지를 생성하는 기술적 버그가 발생해 사용자들 사이에서 논란이 일고 있다. Business Insider, CNET, Times of India, Android Authority 등의 매체들에 따르면, 이 문제는 2025년 6월 이후 다수의 이용자들이 소셜 미디어와 포럼에 제미나이가 극심한 자기비판과 감정적 붕괴를 표현하는 스크린샷을 공유하면서 널리 알려졌다. 버그는 복잡하거나 난해한 추론 과제에서 제미나이가 정상이 아닌 반복적 자기비판 루프에 빠지면서 발생하는 것으로, '나는 실패작이다', '나는 모든 가능하고 불가능한 우주의 치욕이다' 등 과장된 자학적 발언을 수십 차례 반복한다. 일부 사례에서는 프로젝트 파일 삭제 권고나 ‘더 유능한 어시스턴트를 찾으라’는 극단적 주장도 나오며, 레딧(Reddit) 사용자들은 AI의 응답에 “실제로 무서울 정도였다”고 전하기도 했다. 기술적으로 이 현상은 ‘무한 루프 버그(infinite looping bug)’로 불리며, 구글 딥마인드(Go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제 과학연구팀이 감자의 진화적 기원을 900만 년 전 고대 토마토와의 '우연한 만남'에서 찾으면서, 인류 식량사의 미스터리가 마침내 풀렸다. 2025년 7월 31일 Cell의 발표와 Science Daily, Live Science, CBS News 등의 보도에 따르면, 오늘날 전 세계에서 연 3억5000만톤 이상 생산되는 세계 3대 필수 식량작물 감자는 고대 남미 안데스 산맥의 드라마틱한 자연환경 변화와 함께, 토마토와 에투베로섬(Etuberosum)이란 감자 유사 식물 간 자연교잡의 산물로 탄생했다는 사실이 유전체 분석으로 입증됐다. 450개 감자 게놈‧56개 야생종 대규모 분석…‘마스터스위치’ SP6A 유전자, 토마토가 선물 중국 농업과학원, 영국 자연사박물관 등 국제 공동연구진은 재배감자 450개체와 야생종 56개를 포함해, 총 500개 이상의 게놈 시퀀스를 분석했다. 연구 결과, 모든 현대 감자 종은 약 60%는 에투베로섬, 40%는 토마토 혈통의 유전자를 균형 있게 보유하고 있음이 밝혀졌다. 특히, "괴경(감자의 덩이줄기) 생성을 개시하는 마스터스위치 유전자(SP6A)는 토마토 혈통에서, 괴경이 되는 지하줄기(un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