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3 (일)

  • 구름많음동두천 24.5℃
  • 흐림강릉 22.2℃
  • 흐림서울 24.0℃
  • 흐림대전 22.8℃
  • 흐림대구 25.8℃
  • 울산 23.7℃
  • 흐림광주 22.9℃
  • 흐림부산 23.3℃
  • 흐림고창 22.4℃
  • 제주 22.0℃
  • 구름많음강화 24.2℃
  • 흐림보은 22.5℃
  • 흐림금산 22.4℃
  • 흐림강진군 22.6℃
  • 흐림경주시 24.1℃
  • 흐림거제 22.7℃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글로벌 금융위기에도 '한국 우주산업' VC 파란불

스페이스X 팔콘 9 [www.spacex.com]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금융시장 불안, 인플레이션인한 금리상승등 세계 금융시장이 불안한 가운데 한국 우주산업에 대한 벤처캐피탈들의 투자는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1년 세계 우주산업 투자 열기는 절정이었다. 2020년에 비해 투자건수는 48%(163건 → 241건), 투자금액은 100%(77억달러 → 150억달러) 증가했다. 누적 투자금 10억 달러 클럽에 스페이스 X, 블루 오리진, 원랩, 버진 갤러틱, 시에라 스페이스, 로캣랩 등이 이름을 올렸다. 

 

전 세계 우주기업에 투자된 자금 [스타트업 스페이스: 상업적 우주기업에 대한 투자 2022]

 

투자금 150억 달러 중 90달러가 벤처 캐피탈(VC)이었다. 벤처 캐피탈 투자만 한정해 봤을 때 2020년 투자건수는 54%(78건 → 120건), 투자금액은 82%(50억달러 → 90억달러) 증가했다.

 

VC의 우주 기업 투자액 순위에서 스페이스 X, 원랩, 시에라가 1, 2, 3위를 차지했다. 

 

2022년과 2023년은 미국중심의 글로벌 투자시장의 빙하기였다.

 

‘큰 손’들이 지갑을 닫았다. 인플레이션과 금리인상으로 VC 투자가 축소되고 NASA에 납품할 달 착륙선 XL-1을 개발하는 미국 우주 스타트업 '마스튼 스페이스 시스템즈'(Masten Space Systems)는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2023년 우주산업의 후발주자 한국의 사정은 어떨까?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우주산업실태’에 따르면 2017년 이후 한국의 우주관련 기업들의 매출이 4년 연속 감소했다. 하지만 누리호 발사 성공을 계기로 산업이 궤도에 오른 만큼 정부와 민간의 노력을 통해 경쟁력을 확대해야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현재의 상황은 정부 지원과 민간 투자 모두 ‘맑음’으로 전망된다.

 

2022년 윤석열 정부는 ‘우주 경제 시대를 열겠다’는 로드맵을 발표하고 2024년 사업을 본격 추진하겠다는 목표를 밝혔다. 또한 우주 스타트업에 벤처캐피털(VC)의 투자가 이어지고 있고, 올들어 이노스페이스, 컨텍, 루미르가 기업공개(IPO) 포부를 밝혔다.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인 우나스텔라는 55억원 규모 프리 시리즈A 투자를 유치했다. 우나 스텔라는 민간 유인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 기업으로, 고도 100㎞까지 사람이 탑승 가능한 우주 비행 발사체를 개발해 준궤도 우주여행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자체 엔진을 설계해 개발하고 있으며, 최근 자체 개발 연소기 성능 시험에 성공했다. 하나벤처스 등 8개사가 투자에 참여했다. 

 

다른 초소형 인공위성을 위한 발사체 로켓 스타트업인 페리지에어로스페이스 역시 이달 초 200억원 규모 시리즈C 투자를 진행 중이다. 총 투자유치금이 400억원대로 이르게 된다. 페리지는 액체 메탄 연료를 활용한 길이 20.6m의 2단형 소형 우주발사체를 개발하고 있는 스타트업이다. ‘블루웨일1.0’으로 불리는 페리지의 발사체는 150kg짜리 위성을 500km 상공의 태양동기궤도로 실어 나를 수 있다.

 

달 탐사선 ‘다누리호’ 발사 성공에 기여한 루미르 역시 지난해 11월 70억원의 자금을 모았다. 루미르는 2009년 문을 열어 벌써 14년차에 접어들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티어1(Tier1)’ 업체로 기술력을 인정받고 있다. 국내외 우주항공 산업계에 인공위성 탑재체와 본체를 납품한다. 루미르는 올해 하반기 코스닥 상장예비심사 청구서를 접수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2017년 설립된 이노스페이스는 올해 1분기 한국 첫 민간 우주발사체 ‘한빛-TLV’를 발사를 앞두고 있다. 이노스페이스의 누적 투자 유치금은 345억원이다.

 

2023년 대한민국 우주산업 VC 투자현황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편 모건 스탠리의 보고서에 따르면 위성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가 우주 산업 시장을 주도하면서 2040년 전 세계 우주 산업 시장 규모는 1.05조 달러(약 1260조원)로 커질것으로 내다봤다. 맥킨지는 저궤도 위성통신 소비자 시장이 2030년까지 연평균 30%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한다. 

 

2021년 한국 정부는 2031년까지 100기 이상의 공공분야 초소형위성을 산업체 주도로 개발하고 또 우주 분야 상품·서비스 개발을 위한 ‘스페이스 이노베이션’ 사업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한국의 우주 산업도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이 중심이 될 전망이다. 

 

배너

관련기사

6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수직이착륙 무인기와 블랙호크 '첫선'…대한항공, ‘국방산업발전대전’서 지속가능 항공솔루션 제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대한항공이 6월 17~19일 대전 유성구 DCC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4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에 참가한다. 무인기 개발 분야의 비전을 제시하고 군용기 MRO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국방산업발전대전은 대전시와 육군 교육·군수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공동 주최하는 국방 산업 전시회다. 국내 방산기업 230여 곳이 부스를 차려 무기체계 및 무인·AI·국방우주 분야 기술을 선보인다. 대한항공은 이번 전시에서 최첨단 무기체계 플랫폼과 기술을 선보이며 무인기 개발 선도 기업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한다. 대한한공이 최근 양산에 착수한 중고도무인기를 필두로 타격형무인기, 신개념 미래형(Tilt Body형) 수직이착륙 무인기를 선보인다. 대한항공이 30년 동안 생산 및 중정비 분야에서 기술력을 쌓아온 UH-60 기종도 전시한다. UH-60은 ‘블랙호크(Black Hawk)’로 불리는 군용 헬리콥터다. 대한항공은 1990년 UH-60을 국내 생산하기 시작했고, 130여 대를 납품해 성공적으로 전력화했다. 현재 우리 군이 운용하는 UH-60의 창정비도 수행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로 대한항공의 혁신적인 국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