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본 최대 일간지 요미우리신문이 미국의 생성형 AI 검색 스타트업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자사 온라인 기사 무단 사용에 따른 저작권 침해 혐의로 손해배상 소송을 도쿄지방법원에 제기했다. 요미우리는 2025년 2월부터 6월까지 약 11만9000여건에 달하는 기사 무단 복제로 인해 자사 웹사이트 방문자 수가 감소하고 광고 수익이 줄어들었다며, 총 21억6800만엔(약 204억원)의 배상을 요구하고 있다. 이번 소송은 일본 주요 언론사가 생성형 AI 기업을 상대로 제기한 최초의 저작권 침해 소송으로 평가된다. 요미우리 측은 퍼플렉시티가 AI 기반 검색 서비스로서 이용자가 질문을 입력하면 인터넷 최신 정보를 수집해 요약해 제공하는 과정에서 무단으로 자사 기사를 복제·송신해 복제권과 공중송신권을 침해했다고 주장한다. 또한 이런 무단 이용이 뉴스 사이트 직접 방문을 줄여 정확한 기사접근성을 저해하고 이는 곧 민주주의 기반을 흔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미국에서도 2024년 12월 월스트리트저널과 뉴욕포스트의 모회사인 다우존스가 뉴욕 연방법원에 퍼플렉시티를 상대로 유사한 저작권 소송을 제기한 바 있어 글로벌 미디어 기업과 AI 스타트업 간 갈등이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실수령액 4,826만원, 지급 total 5,689만원’. 국내 대학생이 가장 일하고 싶은 기업 1위에 오른 SK하이닉스의 한 직원이 최근 공개한 2025년 1월 급여명세서가 업계에 충격을 안겼다. 드러난 내역을 보면, 월급보다 더 큰 성과급 구조로 “월급이 사실상 연봉 수준”이라는 말이 허언이 아니다. 폭발적 영업이익, 연봉+성과급은 얼마? 2025년 2분기 SK하이닉스는 AI 메모리 수요 확대로 사상 최대 분기 영업이익 9조2,129억원, 매출 22조2,320억원을 올렸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68.5% 증가이자, SK하이닉스 창사 이래 최대 규모다. 성과 기반 급여체계의 시너지로 SK하이닉스 직원 평균 연봉은 이미 1억1,700만~1억2,100만원(2024~2025년 기준)으로, 동종업계 삼성전자도 앞질렀다. 월급명세서를 살펴보면: 기본급 295만7,000원 고정시간외수당 50만7,000원 업적급 233만9,000원 기본 월급 합계 약 580만원 특별성과금 1,670만7,000원 초과이익분배금(PS) 3,408만원 → 총 지급액에서 성과급 비중 89%에 달한다. SK하이닉스의 성과급 시스템은 장기적 호실적과 연동돼 매년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화솔루션과 DL케미칼이 50대50으로 지분을 나눠 가진 국내 3위 에틸렌 생산업체 여천NCC가 창사 이래 최악의 부도 위기에 몰렸다. “조속한 회생 추진”을 외치는 한화와, “상황 진단 우선”이라는 DL 사이에서 책임 떠넘기기만 난무하는 가운데, 필요한 3100억원의 운영자금은 결국 어느 곳에서도 조달되지 못하고 있다. 3100억 자금마저 못 구해…8월 21일 디폴트 초읽기 여천NCC의 위기는 수치가 말해준다. 2022년(당기순손실 3,477억원), 2023년(2,402억원), 2024년(2,360억원, 잠정치)까지 3년 연속 대규모 적자라는 기록적 수익성 악화가 뼈아프다. 매출 역시 ▲2022년 6,857억원 ▲2023년 5,435억원 ▲2024년 6,449억원으로 변동을 보였으나, 영업이익은 2022년 -3,867억원, 2023년 -2,389억원, 2024년 -1,503억원(2024년 상반기 기준) 등 바닥세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올해 2분기도 1,100억원 적자를 내며 당초 예상된 200억원 손실을 훨씬 웃돌았다. 이처럼 실적 악화가 구조화되는 동안, 회사는 3100억원의 단기 차입금 결제와 원재료 결제대금 등 긴급 운영자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2025년 8월 6일(현지시간), 수단 공군이 서부 다르푸르주 니알라 국제공항에 착륙하던 아랍에미리트(UAE) 소속 항공기를 격추해 탑승하고 있던 콜롬비아 용병 40명이 전원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했다. AFP, 알자지라 등 해외 주요 언론과 수단 정부 및 UAE 공식 발표 내용에 따르면, 이 공격은 수단 군부 주도 국영 방송과 군사 소식통을 통해 확인됐으며, 해당 항공기는 걸프 지역의 한 공군기지에서 출발해 반군 신속지원군(RSF)에 지원될 외국 용병과 군사 장비를 싣고 있었다고 전해졌다. 수단 군부는 이번 작전을 RSF를 지원하는 외국 세력과 군사 물자의 반입을 차단하기 위한 조치라고 규정하며, UAE가 RSF에 병력과 무기를 지원한다는 주장을 지속해왔다. 그러나 UAE 정부는 이에 대해 “근거 없는 주장”이자 “완전한 거짓”이라며 강력히 부인하고, 수단 정부의 허위 정보 캠페인 일환이라고 반박했다. RSF 측은 이번 사건에 대한 공식 입장을 내놓지 않았다. 콜롬비아 정부는 이번 공격으로 희생된 자국민 규모를 파악 중이며, 대통령 구스타보 페트로는 희생자 시신 회수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고 발표했다. 수단 내전은 2023년 4월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SK텔레콤의 이동통신 시장 점유율이 39%로 두 달 연속 40% 아래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4월 발생한 대규모 유심 해킹 사태의 여파로 95만명 이상의 가입자가 타 통신사로 이동한 영향으로, 이로 인해 SK텔레콤은 가입자 이탈과 시장 점유율 하락이라는 중대한 위기 국면에 직면했다. 6월 기준 SK텔레콤 가입자 수는 약 2235만명으로 전체 이동통신 가입자 5730만명 중 39%를 차지하며, 5월 점유율 39.29%보다 0.29%포인트 더 하락했다. 반면 경쟁사인 KT와 LG유플러스는 각각 23.84%, 19.51%로 점유율을 소폭 높였다. 알뜰폰 가입자도 처음으로 1000만명을 돌파했다. 해킹 사고는 SK텔레콤의 고객 신뢰도와 신규 가입 유치에 막대한 타격을 주었으며, 4월 이후 누적 이탈 고객 수는 83만명에 달한다. 특히 유심 교체 조치와 대규모 보상 프로그램에도 불구하고, 해킹 사태로 인한 일회성 비용과 꾸준한 가입자 감소가 2분기 영업이익에 크게 악영향을 미쳐 전년 대비 30~45% 하락할 것으로 예상된다. 연간 영업이익 추정치도 1조8000억원대에서 1조2700억원대로 대폭 낮아졌다. 이로 인해 투자 시장에서는 SK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와 리플 랩스(Ripple Labs)가 2025년 8월 7일(현지시각) 미국 제2순회항소법원에 공동 합의서를 제출, 각각의 항소를 취하하며 지난 2020년 12월부터 이어진 XRP(리플)의 규제 분쟁을 공식적으로 종료했다고 Cointelegraph, Coindesk, BraveNewCoin, Yahoo Finance 등이 일제히 보도했다. 양측은 소송 비용과 수수료를 각자 부담하기로 했으며, 더 이상의 법적 절차는 없을 전망이다. 5년간의 역사적 분쟁, 판결과 수치로 정리 SEC는 2020년 리플이 XRP 토큰을 활용해 약 13억달러(한화 약 1조8000억원) 규모의 미등록 증권 공모를 실시했다고 고발했다. 이후 미국 뉴욕 연방지방법원의 Analisa Torres 판사는 2023년 7월, 리플의 XRP 기관 투자자 직접 판매가 미등록 증권에 해당된다고 판단해 1억2503만5150달러의 민사 벌금과 영구 인준(영구 명령)을 부과했다. 반면, 소매 투자자를 위한 공개 거래소 판매는 증권거래로 간주하지 않았으며, 이는 토큰 규제법의 분기점을 제시한 획기적 판결로 평가받는다. 법적 합의와 시장 반응 이번 합의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SDI의 배터리를 탑재한 미국 전기차 제조사 루시드 모터스의 ‘루시드 에어 그랜드 투어링’이 한 번 충전으로 1205km(749마일)를 주행해 전 세계 전기차 가운데 최장 거리를 기록하며 기네스북에 등재됐다. 이는 메르세데스 벤츠 EQS 450+가 갖고 있던 종전 기록 1045km를 160km 가까이 뛰어넘는 대기록이다. 2025년 7월말 스위스 생모리츠를 출발해 독일 뮌헨까지 알프스 산악 지대, 고속도로, 일반 도로를 아우르는 주행 테스트 과정에서 이뤄졌다. 공식 WLTP(유럽표준) 주행거리가 960km로 알려진 이 모델은 실제 테스트에서 예상보다 훨씬 먼 거리를 커버하며 기술력을 입증했다. 루시드 에어 그랜드 투어링은 21700 규격의 삼성SDI 원통형 배터리 6600개(총 용량 117kWh)를 탑재해 고용량과 고효율을 동시에 구현했다. 이 배터리는 니켈·코발트·알루미늄(NCA) 양극재와 실리콘 기반 음극재를 사용해 긴 수명과 빠른 충전 속도를 자랑한다. 실제로 16분만 충전해도 약 400km를 주행할 수 있다. 성능 측면에서도 뛰어나서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가속하는 데 3.2초밖에 걸리지 않으며, 최고 속도는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 파이폰’이 무료 위성인터넷, 3일 사용가능 배터리등을 앞세워 2025년 연말 출시설이 돌면서 화제의 중심에 섰다. “통신요금 완전 무료”, “충전 한 번으로 3일 사용”, “120W 초고속 충전 지원”, “51만원대 파격가” 등 각종 혜택이 SNS와 커뮤니티를 뒤흔들고 있다. 그러나 글로벌 IT 전문매체인 TeslaPiPhone.net, GSMArena, Smartprix 등을 비롯해 미국 FCC, 주요 유튜브 전문채널 등에서 취합한 객관적 사실·수치와 공식 발표 내용을 종합·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소문과 현실과는 온도차가 뚜렷하다. 공식 발표 ‘아직’, 루머만 무성 테슬라는 2025년 12월 출시설과 모바일 시장 진출 전격설에 대해 “공식 개발 중인 프로젝트는 없다”는 입장이다. 여러 미디어에서 북미에서의 2025년 8월 초기 런칭설, 유럽 및 아시아 2025~2026년 출시 루머가 나왔지만 공식화된 정보는 아니다. FCC(미국 연방통신위원회) 승인 등 관련 행정 절차가 일부 확인된 바 있으나, 실제 대량 양산 및 글로벌 출시는 여전히 미확정 단계다. 배터리·충전 성능, ‘꿈의 스펙’ 현실화? 테슬라 파이폰은 “5000m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포스코이앤씨(POSCO E&C)가 올해 들어 5건의 사망 사고가 잇따라 발생하면서, 국내 건설업계가 사상 초유의 '면허취소' 위기에 직면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직접 “건설면허 취소, 공공입찰 금지 등 법률상 가능한 모든 방안을 검토하라”고 관계부처에 강경 조치를 지시했다.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이후 대형 건설사의 면허취소가 현실화된다면, 28년 만에 처음 있는 일이다. 면허취소, 건설업계 최대 징계…단 한 번의 전례 “성수대교 붕괴 동아건설” 현행 건설산업기본법 83조에 따르면, ‘고의나 중대한 과실로 부실시공 등으로 공중에 위험을 끼쳤을 경우’에만 건설업 면허 취소가 가능하다. 산업재해로 인한 인명사고는 역대 한 차례도 면허취소 사유로 적용된 적이 없다. 실제로 32명이 사망한 1994년 성수대교 붕괴 사고의 책임을 물어 1997년 동아건설산업의 면허가 취소된 것이 유일한 사례다. 2022년 광주 화정아이파크 붕괴, 2023년 인천 검단 지하주차장 붕괴 등 최근 대형 참사 역시 영업정지나 공공입찰 제한에 그쳤다. “포스코이앤씨, 전국 103곳 공사 무기한 중단…5조원 규모 현장도 멈췄다” 올해 7월말까지 포스코이앤씨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8월, 미국 백악관이 발표한 166쪽 분량의 '디지털 자산 정책 보고서'에서 리플(XRP)이 공식적으로 ‘전략비축 암호화폐’ 리스트에서 제외된 사실이 글로벌 디지털 자산 시장에 큰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비트코인(BTC), 이더리움(ETH), 솔라나(SOL), 체인링크(LINK), 유니스왑(UNI) 등 주요 암호화폐들이 선정된 것과는 극명한 대조를 이뤘다. 이번 정책 보고서는 암호화폐에 대한 미국 정부의 규제·육성 전략 방향뿐 아니라 블록체인·토큰화 증권·스테이블코인·중앙은행 디지털화폐(CBDC) 등 혁신과제 전반을 광범위하게 다뤘다는 점에서, 공식 리스트 배제는 상징적 의미가 더욱 크다. 리플(XRP) 정책 배제의 충격…법정 분쟁 여전 XRP의 전략비축 제외는 시장과 투자자들에게 충격 그 자체다. 개인 투자자 판매분에 대해 미국 법원이 '증권이 아니다'고 판결한 데 이어, 2025년 3월 SEC가 항소를 공식 철회하며 3년간의 '리플-SEC 소송전'에 마침표가 찍힌 바 있다. 그러나 백악관의 공식 보고서에서 XRP가 단 한 차례도 언급되지 않으면서 미국 정부가 리플을 장기적으로 비우호적 프로젝트나 이슈 자산으로 분류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