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김정영 기자] 한국타이어앤테크놀로지를 거느린 한국앤컴퍼니그룹의 조현범 회장이 2025년 5월 29일 1심 법정에서 징역 3년의 실형을 선고받고 법정구속됐다. 타이어업계 국내 1위, 글로벌 7위 기업의 오너에게 내려진 중형 결정의 배경에는 대규모 자금 유용과 반복적 위법, 그리고 기업 시스템의 붕괴가 자리하고 있다. 8월에 잡힌 2심에서 이번 판결의 핵심 쟁점을 두고 치열한 법적 공방이 예고되고 있다. 1심 판결 요지와 인정된 중대 범죄행위 뭐길래 조현범 회장은 계열사 자금 50억원을 별다른 담보나 철저한 채권 회수 조치 없이, 개인적 친분이 있는 지인 회사에 사적으로 대여했다. 법원은 총수의 권한을 남용해 회사 자금을 사실상 사유화했다고 판단했다. 대규모 자금 거래에서 기업 자산의 보전 절차와 객관적 심사가 완전히 생략됐던 점이 결정적이었다. 둘째는 법인카드 등 회사 자산의 사적 유용 문제다. 조 회장은 차량 구입과 이사, 가구비, 배우자의 운전기사 제공 등 순전히 개인 용도로 5억8000만원 상당의 회사 돈을 유용했다. 법원은 이를 업무상 횡령 및 배임으로 엄격하게 해석하며 유죄로 인정했다. 특히 재판부는 “총수 일가의 지위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한국 스타트업 업스테이지가 자체 개발한 차세대 거대언어모델(LLM) ‘솔라 프로2’가 독립 성능 평가기관 ‘아티피셜 애널리시스(Artificial Analysis)’의 ‘지능 지표(Intelligence Index)’에서 국내 유일, 세계 10대 프런티어 모델로 전격 선정됐다. 특히 솔라 프로2는 310억 파라미터라는 비교적 소형 모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 1000억~1조7000억 파라미터급의 글로벌 초대형 LLM들과 직접 성능 대결에서 밀리지 않는 성과를 거두었다. 빅테크 제친 성능, ‘지표’로 입증 업스테이지 솔라 프로2의 상세 점수는 글로벌 벤치마크에서 58점. 이는 프랑스 미스트랄의 '스몰'(55점), 오픈AI 'GPT-4.1'(53점), 메타 라마4 매버릭(51점), 오픈AI GPT-4o(41점) 등 빅테크의 플래그십 LLM을 제쳤다. 중국 딥시크(DeepSeek) V3(53점), 문샷AI 키미 K2(57.59점) 등도 모두 추월했다. 특히 기업용으로 널리 활용되는 GPT-4.1을 뛰어넘는 고난도 추론 능력을 보이며, 비용 대비 성능(운영 효율성)에서도 주요 경쟁 모델인 클로드 4 소넷, 마지스트랄 스몰 등에 앞선 것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인공지능(AI)이 또 한 번 역사를 썼다. 오픈AI(OpenAI)가 개발한 범용 추론 언어 모델이 세계 최고 고등학생 수학 경진대회인 국제수학올림피아드(IMO)에서 ‘금메달 수준’ 성적을 공식 인증받았다. Business Insider, TechCrunch, Engadget 등의 매체와 Simon Willison’s Weblog, lesswrong.com, THE-DECODER.com 등의 자료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이 모델은 인간과 동등한 조건(두 번의 4.5시간 시험 세션, 인터넷∙계산도구 미사용)에서 출제된 6개 문제 가운데 5개를 완벽히 풀어내며, 42점 만점에 35점을 획득해 금메달 기준점을 넉넉히 넘었다. IMO는 630명의 참가자 중 약 67명(전체의 10% 정도)만이 금메달을 따는 세계에서 가장 까다로운 대회로 알려져 있다. 오픈AI의 모델은 이 대회에서 실제 인간 수상자들과 같은 방식, 동일한 평가지침 아래서 전직 IMO 메달리스트 심사위원 3인에 의해 각각 채점됐고, 만장일치로 점수가 확정됐다. “단일 과업 특화 모델 아니다”…범용 AI의 본격 도약 이번 성과는 전문 수학 프로그램이 아닌 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어떤 EU 국가에 폭염이 왔는지는 반도체 크래시 리포트만 봐도 바로 알 수 있다.” 유럽 전역을 뒤덮은 기록적 폭염이 반도체 시장에 뜻밖의 후폭풍을 안겼다. 인텔의 13세대, 14세대 랩터레이크(Raptor Lake) 데스크톱 CPU에서 크래시(충돌)가 폭증하며, 전 세계 사용자와 업계에 경고등이 켜졌다. Tom’s Hardware, PCWorld, TechRadar, ExtremeTech 등의 매체의 보도에 따르면, 반도체 시장 현장에서는 “CPU가 더위에 무너지고 있다”는 목소리가 곳곳에서 터져 나온다. 브라우저 크래시로 ‘지도’처럼 드러나는 실상 모질라 파이어폭스의 수석 엔지니어 가브리엘레 스벨토(Gabriele Svelto)는 최근 파이어폭스 브라우저의 크래시 데이터를 바탕으로, 인텔 랩터레이크 시스템이 폭염이 덮친 지역에서 압도적으로 많이 다운된다는 사실을 공개했다. 유럽에서만 2025년 6~7월 평균기온이 40℃(104°F)를 넘은 국가(스페인, 포르투갈, 프랑스 등)에서 랩터레이크 기반 PC 크래시가 집중 보고됐다. 특히 올해 6~7월, 모질라 내부에서 자동 크래시 신고 시스템이 과부하로 중단되는 일이 발생했다. “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오픈AI가 2025년 7월 '챗GPT Agent'를 전 세계에 공개하며 유례없는 수준의 생물학·화학적 위험 가능성을 공식 경고했다. 이 제품은 오픈AI가 자사 모델 중 처음으로 '높은(bio-high)' 위험 등급을 매긴 인공지능으로, 실제로 '초보' 수준의 사용자가 알려진 생화학 무기를 모방·제작하는 데 의미 있는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이 공식화됐다. 오픈AI CEO 샘 올트먼은 "(챗GPT Agent는) 여전히 실험적 기술이며, 악의적 행위자가 AI를 속여 사적인 정보를 유출하게 하거나 예측하기 어려운 형태로 해를 끼칠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실제로 챗GPT Agent는 사용자의 가상 컴퓨터를 제어해 파일 탐색, 데이터 분석, 프레젠테이션 생성, 심지어 웹 브라우저와 애플리케이션을 능동적으로 조작할 수 있는, 기존 챗봇과는 차원이 다른 '에이전트형 AI'다. 기존 모델 넘는 '생물무기 위험', 첫 공식 고위험 등급 지정 오픈AI가 마련한 'Preparedness Framework(대비 프레임워크)'에 의해, 이번 챗GPT Agent는 그 위험성을 근거로 최대 수준의 보안 장치를 적용받았다. 실제로 올해 발표된 국제 AI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7월, 테슬라의 경영진 구조에 충격이 연이어 닥치고 있다. 자동차 업계와 IT 투자자, 월가 모두가 주목한 ‘임원들의 대탈출’ 이후, 13년간 정보기술(IT)·데이터 전문가로 역임한 라즈 제가나탄이 갑작스레 판매총책을 맡으면서 여파가 확산 중이라고 Wall Street Journal, Independent, CarBuzz, Business Insider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IT맨’의 급부상, 흔들린 테슬라 영업라인 라즈 제가나탄(Raj Jeganathan)은 실리콘밸리 안팎에서도 상대적으로 알려지지 않은 테슬라 내부 성장형 인재다. 2012년 이후 IT 및 데이터관리, 프로세스 자동화 등 기술직 포지션에서 테슬라의 내부 인프라를 다져왔다. 최근 핵심 임원 연쇄 퇴사 직후 판매와 영업부문 총책임자로 전격 승진했다. 이번 사태는 ‘테크놀로지 중심’ 조직문화의 상징성 결여과 함께, 영업·시장 경험 부족 논란도 야기하고 있다. 실제로 제가나탄에게 자동차 영업이나 국제 판매 실적이 확인된 적은 없다. ’줄퇴사’ 신드롬: 누가 떠났나, 왜 떠났나 최근 1년여 간 테슬라에서 12% 이상의 부사장급 이상 임원이 조직을 떠난 것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가 테슬라와 스페이스X CEO 일론 머스크의 회원 자격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었지만, 결국 징계나 회원자격 박탈 없이 사태를 마무리했다. 회원 탈퇴 의향을 머스크에게 타진하는 전례 없는 조치까지 나왔으나, "왕립학회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결론 아래 징계 절차는 공식 폐기됐다. 사건의 전말: “DOGE 행보에 과학계 흔들” 머스크는 2018년 우주산업과 전기차 분야의 혁신 성과를 인정받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2024년 트럼프 행정부 산하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미국 내 과학연구비 수십억 달러를 삭감하고, 학계 검열 논란에 연루되면서 학회 내부에서도 반발이 불거졌다. 영국 BBC에 따르면, 최근 9개월 동안 수백명 과학자가 머스크의 연구비 삭감을 ‘과학계에 대한 직접 공격’으로 규정하며 공개적으로 징계를 촉구했다. ‘징계 촉구’ 서명 운동, 두 명의 석학은 탈퇴 결행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의 스티븐 커리 명예교수가 주도한 공개서한에는 3400명 이상의 과학자와 학자, 60여명의 현직 회원까지 동참해, “머스크의 언행이 학회의 윤리강령과 가치에 위배된다”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기준 최소 5100만 달러(약 709억원) 상당의 가상화폐 자산을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최근 워싱턴포스트(WP)와 기타 복수의 미국 언론이 공개한 재산 신고 자료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상원 인준을 받은 약 300명) 중 약 70명 이상이 암호화폐 또는 블록체인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4명 중 1명꼴로 코인을 들고있다는 의미다. 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인물은 켄 하워리 주덴마크 미 대사(페이팔 공동창업자 출신)로, 최소 1억2200만 달러(약 1670억원)에 달하는 암호화폐 자산을 신고했다. 3위부터는 단위가 크게 줄어, J.D. 밴스 부통령은 25만~50만 달러 안팎의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다고 미 CBS, 기타 재산공개자료에서 확인된다. 바이든 행정부의 관료 중에는 최종적으로 가상자산 보유를 공식 신고한 인사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정권별 현격한 차이도 드러난다. 트럼프 정부, 공직자 직접 보유 암호화폐만 최소 2684억원…가상자산 투자 전례 없는 확산 재무정보 공개 범위 기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메타(구 페이스북)와 CEO 마크 저커버그가 80억 달러(약 11조원) 규모의 주주 공동소송에서 극적으로 합의하며, 글로벌 데이터 프라이버시 스캔들에 마침표를 찍었다. BBC, NPR, Business Insider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소송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사건의 여파로 인해 시작됐으며, 핵심은 “2012년 연방거래위원회(FTC) 동의 명령을 준수하지 않은 채 사용자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공유했다”는 주주들의 주장에 있었다.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사태에서 촉발된 초대형 소송 2018년 세상에 드러난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은 도널드 트럼프의 2016년 대선 캠프와 연계된 정치 컨설팅 기업이 퀴즈앱(‘This Is Your Digital Life’)을 통해 8700만명 이상의 글로벌 페이스북 이용자 정보에 무단 접근한 사실로부터 시작됐다. 해당 앱은 단순히 참여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친구 개인정보까지 무차별적으로 흡수했다. 이 정치 컨설팅 회사에는 트럼프 진영의 핵심 참모였던 스티브 배넌, 억만장자 로버트 머서 등이 투자자로 오르내렸고, 이 건 역시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 등지에서 거센 사회‧정치적 후폭풍을 낳았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고대역폭메모리(HBM) 시장의 ‘대장주’ SK하이닉스가 글로벌 투자은행 골드만삭스의 ‘충격 보고서’ 한 장에 크게 흔들렸다. 7월 17일 SK하이닉스 주가는 8.95% 떨어진 26만9500원에 거래를 마감, 올 들어 가장 큰 낙폭을 기록했다. 그 배경에는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공세에 따른 HBM 공급과잉, 그리고 가격 하락 우려가 있다. "HBM 가격, 이젠 내리막…어떤 시나리오에서도 하락 불가피" 골드만삭스가 이날 발표한 보고서는 HBM 시장의 내년 판도에 큰 도전을 던졌다. 핵심 내용은 “삼성전자와 마이크론의 증설로 2025년 HBM 평균 판매가격(ASP)은 전년 대비 10% 하락(GB당 13.1달러→11.9달러)을 기록하고, 삼성전자가 조기에 엔비디아 납품을 시작할 경우 일부 제품(HBM3E 12단 기준) 가격은 최대 35%까지 급락할 수 있다는 전망이다. 보고서에 따르면 내년 HBM 공급량은 39억8000만GB로, 수요(37억6000만GB)를 상회한다. 2027년에도 공급(53억7000만GB)이 수요(52억5000만GB)를 넘어서 공급과잉은 지속될 전망이다. SK하이닉스, ‘독주 종료’ 신호탄…영업이익 전망도 급하향 골드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