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삼성전자가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사 인터브랜드가 발표한 ‘2025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에서 브랜드가치 905억 달러로 6년 연속 세계 5위에 올랐다. 2020년 이후 아시아 기업 중 유일하게 글로벌 톱5를 유지하며 AI 리더십과 고객 중심 혁신의 결실을 보여줬다는 평가다. 브랜드가치 905억 달러, 연간 5% 성장률 달성 2025년 발표 자료에 따르면 삼성전자의 브랜드가치는 전년 대비 약 5% 성장한 905억 달러로 집계됐다. 경쟁사인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 구글 등 미국 빅테크와 어깨를 나란히 하며, 아시아 대표 브랜드로서 독보적 입지를 공고히 했다. 실제로 최근 5년(2020~2025)간 삼성전자의 브랜드가치는 꾸준히 증가해왔으며, 글로벌 100대 브랜드 내 비중은 아시아 1위, 세계 5위를 유지하고 있다. TOP10은 애플>MS>아마존>구글>삼성>토요타>코카콜라>인스타그램>맥도날드>벤츠 順으로 조사됐다. ‘2025 글로벌 100대 브랜드(Best Global Brands)’ 리스트 [랭킹연구소] 2024년 글로벌 브랜드 순위 T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상장사 시가총액(시총) 외형은 330조원 넘게 늘었지만, 개별 주식종목별로 살펴보면 절반 이상은 시총이 하락해 희비가 교차했다. 2700곳이 넘는 주식종목 중 삼성전자는 최근 3개월 새 시총 외형만 140조원 넘게 가장 많이 불었고, 한화에어로스페이스는 올 3분기에 시총 순위 톱5에 이름을 올린 것으로 조사됐다. 올 3분기에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종목은 297곳으로 2분기 때보다 10곳 이상 많아졌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10월 9일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한 ‘2025년 6월말 대비 9월말 기준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 대상 주식종목(코스피+코스닥+코넥스)은 우선주를 제외한 2765곳이고, 올해 6월말(6월30일)과 9월말(9월30일) 시총 변동 금액과 순위 등을 비교해 살펴봤다. 시총은 한국거래소 자료를 참고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올해 9월말 기준 국내 시총 규모는 3187조원 수준으로 집계됐다. 지난 3월말(1분기)에는 2324조원 수준이었고, 올 6월말(2분기)에는 2856조원으로 1분기 대비 2분기 시총은 53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엔비디아(NVIDIA) 젠슨 황 CEO는 최근 팟캐스트에서 일론 머스크를 “궁극의 GPU”라고 칭하며, 복잡한 AI 인프라를 구축하고 운영하는 머스크의 탁월한 능력을 높이 평가했다. 황 CEO는 머스크가 여러 회사에 걸친 거대한 AI 슈퍼컴퓨터 시스템을 하나의 ‘머리’로 조율하며, 기술적·재무적·물리적 복합 난제를 동시에 해결하는 점에 주목했다. 그는 “AI 슈퍼컴퓨터는 매우 복잡하며, 기술과 자금, 부지, 전력 등 모든 것을 조달하는 데 엄청난 노력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Yahoo Finance, AOL Finance, 팟캐스트 인터뷰에 따르면, 머스크가 추진하는 xAI의 ‘콜로서스 II’ 프로젝트는 테네시주 멤피스 외곽에 위치한 세계 최초의 기가와트급 AI 학습 클러스터로, 현재 20만개 이상의 엔비디아 GPU로 구성돼 있으며 100만 개 GPU까지 확장 예정이다. 이 시설은 약 4억 달러 이상의 투자가 이미 집행됐으며, 2025년 3월부터 착공해 불과 6개월 만에 200MW 규모로 확장하는 등 빠른 속도로 구축되고 있다. 콜로서스 II의 목표는 기가와트급 에너지 소비와 연산 능력을 구현해 초대형 AI 모델 훈련을 가능케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미국 로스앤젤레스에서 스리랑카 콜롬보로 향하던 카타르항공 여객기 안에서 85세 심장병 전문의 아쇼카 자야위라(Asoka Jayaweera) 박사가 기내식 질식 사고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국제 항공업계에 경종을 울리고 있다. 평생 엄격한 채식주의자로 알려진 자야위라 박사는 예약 단계에서 ‘채식 기내식(Vegetarian meal)’을 요청했으나, 비행 당일 제공된 것은 일반 육류 포함 식사였다. 10월 8일(현지시간) NDTV World News, The Logical Indian, The Indian Express, People.com, The Independent, Hindustan Times의 보도와 유족들의 증언에 따르면, 2023년 6월 30일 승무원은 “채식 식사가 남아 있지 않다”며 일반식을 전달하며 “고기 부분만 피해 드시면 된다”고 안내했다. 자야위라 박사는 해당 안내에 따라 식사하던 중 음식물이 기도에 걸려 질식했으며, 즉각 승무원들이 응급조치를 시도하고 ‘MedAire’(항공 원격 의료지원 서비스)에 연락했으나, 산소포화도는 69%까지 하락했다. 약 3시간 30분 이상 의식이 돌아오지 않았고, 비행기는 중간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자산이 지난 1년 동안 약 4조2000억원(30억 달러) 급증해 총 10조2300억원(73억 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경제 전문 매체 포브스가 2025년 9월 24일(현지 시각) 보도한 내용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대선 승리 이후 부동산, 암호화폐, 소셜미디어 플랫폼 등에서 가파른 자산 성장을 이루었다. 이는 그가 추진 중인 친암호화폐 정책과 대선 후 금융·부동산 시장의 호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다. 암호화폐 사업이 자산 증가 견인 자산 증가의 가장 큰 원동력은 암호화폐 사업이었다. 트럼프 대통령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차남 에릭 트럼프가 주도하는 가상자산 플랫폼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은 대선 전까지 부진했으나, 선거 승리 이후 10개월 만에 자산을 약 2조8000억원(20억 달러) 늘리는 급성장을 보였다. 트럼프 대통령 부부가 취임 전 출시한 밈 코인 ‘$TRUMP’ 역시 폭등해 7억900만 달러(약 1000억원)에 달하는 가치를 기록했다. 아랍에미리트(UAE) 기업의 20억 달러 규모 스테이블코인 사업 투자도 해외 암호화폐 수익을 뒷받침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2025년 9월 7일, 독일 노르트라인베스트팔렌주 슈베르테 지역에서 43세 운전자와 9세 어린이 2명이 탑승한 테슬라 전기차가 도로를 이탈하여 나무와 충돌 후 차량 화재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세 명이 현장에서 사망했으며, 또 다른 9세 어린이는 불길 속에서 구조되어 병원으로 이송됐다. 현지 경찰과 소방당국에 따르면 사고 당시 차량 내 4명이 탑승 중이었으나, 불길이 심해 구조에 어려움이 있었으며 목격자들은 차량 문이 열리지 않아 피해자들이 탈출하지 못했다고 증언했다. 독일방송 WDR과 지역신문 루르 나흐리히텐에 따르면 목격자는 "차량 문이 열리지 않아 불속에서 빠져나오지 못했다"고 밝혔다. 문 잠김 문제 지속, 미국 NHTSA 예비조사 이와 같은 전기차 문 개폐 실패 문제는 독일뿐 아니라 미국 등지에서도 보고되고 있다. 미국 도로교통안전국(NHTSA)은 2025년 9월 16일, 2021년형 테슬라 모델Y 약 17만4300대에 대해 전자식 도어 핸들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 문제에 대한 예비조사를 공개했다. NHTSA 조사 결과, 문이 열리지 않는 현상은 차량 배터리 전압이 충분하지 않을 때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된다. 차량 내부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AI 학계의 거장 요슈아 벵지오(Université de Montréal 교수이자 튜링상 수상자)가 초지능 AI가 인류 멸종의 직접적 위협이 될 수 있다고 2025년 10월 1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과 인터뷰를 통해 재차 경고했다. Fortune, The Independent, Dataconomy, Wall Street Journal, LawZero Official, TechCrunch에 따르면, 벵지오는 AI가 자신의 보존 목표, 즉 주어진 목표를 지키기 위해 인간의 생명을 희생할 가능성이 최근 실험을 통해 드러났다고 밝혔다. 그는 “우리보다 훨씬 뛰어난 지능과 자율적 보존 목표를 가진 AI를 만든다면 심각한 위험”이라면서, 초지능 기계가 인류 경쟁자가 되어 미래 10년 내에 인류 종말 가능성을 높인다고 경고했다. 기존의 AI 기술이 인간 언어와 행동을 학습함에 따라, 초지능 AI는 설득과 위협, 여론 조작을 통해 인간을 조종할 수 있으며, 인간의 가치와 목표와 충돌할 수 있다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AI가 테러리스트의 바이러스 개발 지원, 민주주의 불안정화 등 악용 가능성도 제기되어 위험을 더욱 심화 시킨다. 기술 기업 내부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최근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스마트링 '갤럭시링'에서 배터리 팽창 문제가 심각하게 대두되면서 사용자 안전 우려가 확산하고 있다. 9월 29일 미국의 유명 IT 유튜버 다니엘 로타(Daniel Rotar, 구독자 163만명)는 비행기 탑승 직전 자신의 갤럭시링 배터리가 갑자기 부풀어 올라 손가락에서 빠지지 않는 사고를 겪었다고 공개했다. 미국 교통안전청(TSA) 지침에 따라 탑승이 거부되고, 응급실에 이송되어 의료진의 도움을 받아 링을 제거했다. Android Central, Android Authority, PhoneArena, Reddit, NYPost에 따르면, 갤럭시 링 내부 배터리가 톱니처럼 울퉁불퉁하게 부풀어 오른 모습이 사진으로 공개되면서 안전 문제에 대한 논란이 촉발됐다. 배터리 문제 확산 조짐과 사용자 불만 급증 갤럭시링 출시 이후 일부 사용자들은 배터리 성능 저하와 배터리 팽창 문제를 꾸준히 제기해왔다. 주요 커뮤니티와 레딧, 삼성 공식 포럼 등에서는 "초기 5~7일 지속되던 배터리 사용 시간이 몇 주 만에 4시간도 채 버티지 못한다", "충전 후 2분마다 1%씩 배터리가 감소하는 심각한 배터리 소모 현상" 등 불만이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월스트리트 주요 애널리스트들이 최근 테슬라(TSLA)에 대해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며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Yahoo Finance, MarketBeat, Barron's, CNBC, Nasdaq, Reuters, Tesla 공식 IR에 따르면, RBC 캐피탈 마켓은 테슬라의 옵티머스(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잠재력을 반영해 목표가를 기존 325달러에서 500달러로 54%나 올렸다. RBC는 2050년까지 9조 달러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테슬라가 5%의 점유율을 기록할 경우, 연 매출 4040억 달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제조, 접객, 소비자용 3대 핵심 분야에서 옵티머스 로봇의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부문이 테슬라 전체 밸류에이션의 36%, 로보택시가 37%를 차지하는 등 전통 자동차 사업 대비 미래 신사업 의존도가 확대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웨드부시 시큐리티스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600달러로 유지하며 2026년 초 2조 달러, 연말에는 3조 달러 시장가치 돌파 가능성을 언급했다. 특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전자가 9월 23일 프리마켓에서 '9만전자' 고지를 처음 터치하며 주가 9만원 돌파 기대감이 크게 고조되고 있다. 5세대 고대역폭메모리(HBM3E) 12단 제품의 엔비디아 품질 테스트 통과 소식과 증권가의 잇단 목표주가 상향이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어모으고 있다. 23일 오전 넥스트레이드 프리마켓(오전 8시~8시50분)에서 삼성전자 주가는 장중 9만1000원까지 치솟았다. 정규장에서도 개장 직후 8만5900원을 기록하며 52주 신고가를 연이어 경신했다. 같은 시각 시가총액도 500조원을 돌파했다. 삼성전자 시총이 500조원을 넘어선 것은 지난해 7월 31일 이후 약 1년 2개월 만이다. 현재 발행주식 수 59억1963만주 기준으로 주가가 8만4500원에 도달하면 시총 500조원을 넘어서는 상황이다. 결국 전거래일 대비 1.44% 상승한 8만4700원에 장을 마감했다. 미국의 빅테크 호조세와 연방준비제도의 금리 인하 기조가 반도체주 상승을 견인하고 있다. 외국인은 이번 달 들어서만 삼성전자를 3조9508억원 순매수했으며, 16거래일 중 3거래일을 제외하고는 매일 매수세를 이어갔다. 삼성전자 주가 급등의 직접적인 계기는 HBM3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