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감자 전분의 재료로 만들어졌지만 일반 콘크리트보다 2배 강한 ‘우주 콘크리트’가 개발됐다 국제 학술지 '오픈 엔지니어링'과 영국 '데일리스타' 보도에 따르면, 영국 맨체스터대 연구진은 "감자 전분 같은 간단한 재료를 이용해 우주에서 사용할 수 있는 물질을 만들었다"며 "연구진은 이 물질에 ‘스타크리트(StarCrete)’라는 이름을 붙였다"고 밝혔다. 맨체스터의 과학자들은 일반 콘크리트보다 두 배 더 강하고 외계 환경에서의 건설 작업에 적합한 재료를 만들기 위해 감자 전분과 소금이 약간 섞인 모의 화성 토양을 사용했다고 전한다. 이 물질은 향후 화성에 집을 짓는 데 사용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스타크리트’ 압축 강도는 72메가파스칼(MPa)로 일반 콘크리트의 32MPa보다 2배 이상 강하고, 달의 먼지로 만들어진 ‘스타크리트’는 91MPa 이상으로 훨씬 더 강하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연구진은 말린 감자 25kg에 스타크리트를 약 0.5t(톤) 생산할 수 있는 전분이 포함됐다고 계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우주산업에 대한 코오롱그룹의 투자와 참여가 첫 결실을 거뒀다. 21일(한국시간)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Alcântara Launch Center)에서 국내 최초의 민간 시험발사체 '한빛-TLV'가 발사에 성공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면서 발사 프로젝트에 참여한 코오롱그룹의 선제적 투자와 복합소재 부품 기술력이 주목받고 있다. 코오롱그룹은 이번 '한빛-TLV' 발사 성공과 관련해 우주항공, 방산, 도심 모빌리티 등 특화된 복합소재 부품과 모듈 제작의 노하우를 보유하고 있는 코오롱데크컴퍼지트가 주요부품 공급사로 참여했고 코오롱글로텍은 전략적 투자자(SI, Strategic Investor)로, 투자회사인 코오롱인베스트먼트는 재무적 투자자(FI, Financial Investor)로 참여했다고 밝혔다. 이번 시험 발사체에는 코오롱데크컴퍼지트가 보유하고 있는 초경량, 고내열성 복합재 부품 개발 기술력을 바탕으로 생산된 다양한 주요 부품들이 적용됐다. 특히 발사체가 우주궤도에 정상적으로 안착할 수 있도록 추진력을 공급하는 추진시스템에 핵심부품을 공급했다. 고압의 헬륨가스와 질소가스를 저장하는 가압탱크에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우리나라 민간 기업이 독자 개발한 첫 우주발사체, '한빛-TLV'가 시험발사에 성공했다. 미국 일론 머스크의 '스페이스X'는 우주로 로켓을 쏘는 민간 기업이다. 한국형 '스페이스X' 프로젝트가 본격적인 비행을 시작했다. 민간이 개발하고 운영하는 로켓이 첫 발사에 성공한만큼, 내년에는 우주궤도에 진입하겠다는 목표를 갖고 끊임없는 연구개발을 이어간다는 계획이다. 브라질 알칸타라 우주센터에서 우리나라 우주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가 독자 개발한 '한빛-TLV'가 성공적으로 비행을 시작했다. 이번 발사는 엔진성능 시험용으로 106초간 안정적으로 연소한 뒤 4분 33초 동안 비행하며 성공 판정을 받았다. 지난해 12월부터 발사를 시도했지만, 기상 악화와 기술적 문제로 세 차례 연기된 끝에 이룬 성공이라 더욱 값지다는 평가다. 이노스페이스는 내년에는 2단 로켓을 장착한 상업용 발사체 '한빛 나노'를 우주 궤도에 올려놓을 예정이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한국의 빛이 되자'라는 뜻에서 한빛이라는 발사체 이름을 작명하게 됐다"며 "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한국 스타트업 기술로 구현된 '한국판 스페이스X'의 탄생을 알리는 민간 우주 발사체가 브라질에서 성공적으로 날아올랐다. 이번 발사는 국내 민간기업이 개발한 하이브리드 발사체를 최초로 쏘아올려 엔진을 검증한다는데 의미가 있다. 국내 스타트업인 이노스페이스가 발사체를 쏘아올리며 한국도 민간 중심의 우주 경제인 '뉴스페이스'진입을 위한 큰 행보가 본격화됐다. 국내 우주 발사체 스타트업 이노스페이스는 독자 개발한 발사체 '한빛-TLV'를 20일 새벽(한국시간) 브라질 공군 산하 알칸타라 우주센터(CLA)에서 발사했다. 시험발사체는 이날 새벽 2시 52분경 발사해 정상적으로 이륙에 성공, 브라질 탑재체를 싣고 4분 33초 동안 비행했다. 이노스페이스 측은 "발사체가 정상적으로 이륙에 성공했으며, 1차적으로 데이터를 분석했지만 브라질 공군과 함께 데이터를 더 들여다 봐야 최종적으로 알 수 있다"고 말했다. 최종 결과는 21일 자정께나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는 "엔진 추력이 크고 체계구조가 가장 복잡한 로켓 1단부 엔진은 많은 기술이 투입되는 핵심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혁신의 아이콘 '발뮤다'가 이번에는 증기밥솥 '발뮤다 더 고항(BALMUDA The Gohan)'을 들고 나왔다. 발뮤다는 주방을 즐겁게 만드는 키친시리즈로 '토스터' '팟' '레인지' '커피메이커 브루'를 연이어 런칭한 데 이어 이번엔 독자적인 증기 취반 기술로 개발된 전기밥솥을 내놓았다. 프리미엄 생활가전 브랜드 발뮤다는 공기청정기 '퓨어', 죽은 빵도 살린다는 토스터기 '토스터', 무선주전자 '팟', 선풍기 '그린팬 S' 등 한국에 출시될 때마다 신혼부부와 주부들 사이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며 잇템 가전으로 자리잡았다. 발뮤다 관계자는 "내부 솥과 외부 솥으로 구성된 이중 구조로 외부 솥에 넣은 물을 가열함으로써 발생하는 증기의 힘으로 밥을 짓기 때문에, 쌀 표면을 손상시키지 않고 알갱이가 살아있는 고슬고슬한 밥맛이 특징"이라며 "뚝배기나 솥밥에서 지은 것처럼 표면은 끈적이지 않고 윤기나며, 속은 부드럽게 찰진 식감을 자랑한다"고 설명했다. '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42년 만에 차세대 우주복이 새롭게 탄생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미국 휴스턴에 있는 존슨우주센터에서 '아르테미스3' 임무 수행에 사용될 우주복 시제품을 선보였다. 이날 공개된 우주복 시제품은 미국의 민간 우주기업 액시엄 스페이스가 제작을 맡았다. 이 우주복은 아폴로 17호 이후 50여 년 만의 달 착륙 임무인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사용된다. NASA는 오는 2025년 우주선 아르테미스 3호를 타고 우주비행사들이 달 남극에 도착한다는 계획을 추진중이다. 이번에 공개된 새 우주복은 기존 우주복보다 25kg 가벼운 55kg 무게로, 남성용이었던 기존 우주복과 달리 남성과 여성의 최소 90%가 입을 수 있도록 설계됐다. 우주복 최초로 여성용이 탄생하는 순간이다. 지금 미국 우주비행사들이 입는 우주복은 1981년에 만들어진 것이다. 42년 만에 새 우주복이 나온 셈. 이번 우주복은 착륙 지점이 극도로 온도가 낮은 달 남극인 점을 고려해 단열 성능을 강화했고, 한번 입으면 최대 8시간까지 활동할 수 있도록 했다. 헬멧에는 HD비디오카메라와 헤드라이트가 장착돼 고화질 영상 촬영도 가능하도록 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