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스타트업이 개발한 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세계 IT업계를 강타한 충격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이번엔 중국 알리바바가 '딥시크'를 능가하는 모델을 개발했다고 주장했다. 알리바바 클라우드는 중국 춘제 당일인 29일, 소셜미디어 공식 계정을 통해 새로운 AI 모델 '큐원(Qwen) 2.5-맥스'를 출시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이 모델이 20조개가 넘는 토큰을 학습했으며, (오픈AI의) GPT-4o와 딥시크-V3, (메타의) 라마(LLaMA)-3.1-405B를 거의 모든 영역에서 능가한다고 주장했다. 특히 딥시크가 ‘가성비’를 앞세워 이달 출시한 새 모델에 미국 빅테크와 반도체 업계까지 강타하며 돌풍을 일으키자 이번엔 알리바바가 다시 새 모델로 응수하게 됐다. 지난해 5월 출시된 딥시크-V2는 오픈소스에 100만 토큰당 1위안(약 200원)이라는 전례 없이 낮은 가격을 제시했다. 이에 알리바바는 자사 모델 가격을 최대 97% 인하했고, 바이두와 텐센트 등 중국 빅테크 기업들도 경쟁에 합류했다. 로이터통신은 "딥시크 돌풍 속에 중국 AI 모델의 경쟁도 격화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틱톡 운영사인 중국 바이트댄스도 최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 AI스타트업 딥시크의 등장으로 하루밤 새 빅테크 기업들의 시가총액에서 약 1조 달러(약 1400조원)가 증발했지만 월가에서는 인공지능(AI) 거품론을 둘러싼 우려가 지나치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오히려 이번의 거대 낙폭이 저가매수의 좋은 기회라는 주장에 힘이 실리고 있다. 27일(현지시간) 비즈니스 인사이더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전장 대비 17% 가까이 폭락하며 시가총액에서 5890억 달러가 사라졌다. 이는 미국 증시 역사상 단일 종목에서 발생한 최대 규모의 손실액이다. 게다가 브로드컴 17%, TSMC 13%, 마이크론 테크놀로지가 11% 이상 폭락하며 AI 거품론, 미국 빅테크주에 대한 우려를 키웠다. 다만 이번 빅테크 폭락, AI관련주들의 투매 사태는 지나치다는 평이 지배적이다. 딥시크의 많은 주장에 대한 진위가 아직 밝혀지지 않았을 뿐더러 美 AI 거물들을 한순간에 무너뜨리진 못할 것이라는 주장이 팽배하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 투매가 과도하다. 딥시크의 주장에 대한 많은 부분이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면서 "특히 딥시크가 제재로부터 영향받으면서도 어떤 종류의 칩을 사용할 수 있었는지 명확하지 않다"는 점을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중국의 AI 스타트업 딥시크(DeepSeek)의 인공지능(AI) 모델이 저비용으로도 고성능을 발휘한 소식이 알려지면서 미국 빅테크 업계에 큰 충격을 안겨주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의문을 제기했다. 그는 딥시크가 밝힌대로 저렴한 칩을 써서 개발한 게 아니라 고가의 칩을 사용했을 것이라는 주장이다. 머스크는 27일(현지시간) 엑스(X·옛 트위터)에서 딥시크가 엔비디아의 비싼 최신 칩 'H100'을 대량 보유하고 있다는 내용을 담은 글을 공유했다. 이 게시물은 AI 데이터 기업 스케일AI의 알렉산더 왕 최고경영자(CEO)가 최근 CNBC와 인터뷰한 영상과 "알렉산더 왕은 딥시크가 약 5만개의 엔비디아 H100을 갖고 있는데, 그들은 미국의 수출 통제 때문에 그것에 대해 얘기할 수 없다고 한다"는 설명이 달렸다. 머스크는 이 게시물에 "분명히"(Obviously)라는 댓글을 달아 동의한다는 뜻을 나타냈다. 또 머스크는 AI 모델 개발 비용에 대한 딥시크 측 발표를 비판적으로 분석한 아트레이드 매니지먼트 최고투자책임자 개빈 베이커의 엑스 게시물 아래에 "흥미로운 분석. 지금까지 본 것 중 최고"라고 썼다. 미국 투자회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가 최초의 AI폰인 갤럭시 S24 시리즈를 출시한 가운데, 최근 6개월 동안 모바일 AI 사용 인구가 약 2배 증가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삼성전자는 갤럭시 S25 언팩 행사 다음날인 23일(현지시간) 미국 새너제이에서 열린 '갤럭시 테크 포럼'에서 이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이날 행사에는 구글과 퀄컴, 캘리포니아대, 런던대 소속의 각 분야 전문가가 참석했다. 이번 포럼에는 ▲사미르 사맛 구글 안드로이드 에코시스템 부문 사장 ▲크리스토퍼 패트릭 퀄컴 모바일 핸드셋 부문 부사장 ▲토비 리처드슨 스마트홈 표준 단체 대표 ▲큐 리 전미 지역 보건소 협회 회장 ▲스튜어트 샌딘 캘리포니아 대학교 샌디에이고 해양학 연구소 교수 등 다양한 전문가들이 패널로 참석했다. 삼성전자에서는 ▲김정현 MX사업부 CX실장(부사장) ▲패트릭 쇼메 부사장 ▲박헌수 디지털헬스팀 팀장 ▲다니엘 아라우조 지속가능경영사무국 국장 ▲정재연 SmartThings팀 팀장 등이 토론에 참여했다. 이들은 각 세션을 통해 갤럭시 AI가 기술 혁신을 어떻게 주도할지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며 포럼 현장의 열기를 더했다. 삼성과 런던대 골드스미스 경영연구소의 연구 결과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페이스북·인스타그램·스레드의 모회사 메타플랫폼(이하 메타)은 올해 데이터 센터 등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에 최대 650억 달러(93조 원)를 투자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메타의 이날 대규모 투자 계획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백악관에 공식적으로 복귀한 지 나흘만에,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국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이 대규모 투자를 발표한 지 3일 만에 나온 조치라 더욱 관심을 모았다. 24일(현지시간) 메타는 “올해 자본 지출이 AI와 대규모 신규 데이터 센터 구축에 힘입어 600억∼650억 달러에 이를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수치는 지난해 1년간 자본 지출 전망치보다 약 70% 증가한 것으로, 전문가들이 분석한 올해 예상치 보다도 140억 달러, 약 30% 웃도는 수치다. 메타는 아직 2024년 자본 지출 수치를 발표하지 않았지만, 분석가들은 2023년보다 40% 증가한 약 380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페이스북에서 "올해는 AI의 미래를 형성하는 결정적인(defining) 해가 될 것"이라며 "앞으로 수년간 핵심 제품과 비즈니스를 추진하고 역사적인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미국 전기차 업체 테슬라와 현대·기아차 등이 중국에서 자발적 시정조치(리콜)를 실시한다. 24일 중국 국가시장감독관리총국은 홈페이지를 통해 주요 자동차 회사의 리콜 계획을 공개했다. 테슬라는 스티어링(조향장치) 문제로 2022년 1월 3일부터 2023년 9월 23일 중국에서 생산된 모델3과 모델Y 87만1087대를 리콜한다. 여기에 후방 카메라 문제로 2023년 7월 16일부터 2024년 12월 14일 생산된 수입 모델S와 모델X, 중국 생산 모델3과 모델Y 등 33만5716대도 대상에 포함됐다. 블룸버그 통신은 "이번에 리콜 대상이 된 테슬라의 전기차 120만여대는 2024년 말 기준 지금까지 중국에서 판매된 수량의 절반 수준에 해당한다"고 설명했다. 테슬라는 리콜 대상 차량에 대해 무선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발표하고, 원격 업데이트가 불가능한 차량에 대해서는 부품 교체를 받을 수 있도록 안내한다. 이에 앞서 2025년 1월 초 테슬라는 중국에서 160만대에 대한 리콜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테슬라 이외 11개 자동차 제조업체들도 같은 날 리콜 계획을 발표했다. 현대차도 중국에서 기아 쏘렌토 6만9208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AI(인공지능)시장을 놓고 라이벌관계인 머스크와 올트먼의 갈등이 극으로 치닫는 양상이다. 오픈AI 창업동지 관계에서 현재 소송까지 진행될 정도의 악연인 상황에서 또 다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취임 직후 야심차게 발표한 인공지능(AI) 합작회사 ‘스타게이트’를 둘러싸고 신경전 양상으로 번지고 있다. 소프트뱅크, 오라클과 합작해 스타게이트 설립을 추진 중인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와 트럼프 2기 행정부 ‘실세’로 떠오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거친 언사를 주고받는 상황에 이른 것이다. 머스크는 자금력에 의문을 제기하며 비판을 이어갔고, 올트먼은 이를 강하게 반박하며 업계 내부 균열까지 드러나고 있다. 23일(현지시간) 미국 CNBC방송 등에 따르면 트럼프 전 대통령이 주도한 AI 합작 프로젝트 ‘스타게이트’를 둘러싼 논란이 업계에 후폭풍을 불러일으키고 있다고 보도했다. 스타게이트는 오픈AI, 소프트뱅크, 오라클이 참여한 프로젝트로, 초기 1000억달러(143조800억원)를 시작으로 4년간 총 5000억달러(약 715조4000억원)를 투자할 계획이다.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엑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퍼스트 버디'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민간 기업의 대규모 인공지능(AI) 인프라 투자 계획에 대해 "그들은 돈이 없다"며 찬물을 끼얹었다. 머스크 CEO는 22일(현지시간) 자신이 소유한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그들은 실제로 돈이 없다"며 "소프트뱅크가 확보한 금액은 100억달러 미만이다. 확실한 출처를 통해 파악했다"고 말했다. 전날 트럼프 대통령은 오픈AI, 오라클, 소프트뱅크와 함께 미국 내 AI 인프라에 5000억 달러를 투자하는 합작법인 '스타게이트'를 설립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 기업들은 이 프로젝트를 위해 초기 1000억 달러를 투자하고, 향후 4년 간 최대 5000억 달러를 투자할 계획이다. 세금을 들이지 않고 투자금 대부분을 해외에서 끌어오는 것이 특징이다. 자금 조달 임무는 손정의 소프트뱅크 회장이 맡았다. 트럼프 대통령은 “역사상 가장 큰 AI 인프라 프로젝트”라며 “거의 즉시 미국 내에 10만개 이상의 일자리가 창출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스타게이트가) AI 기술의 미래를 보장할 것”이라며 “스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1일(현지시간) 초기 자금 1000억달러(약 143조원)짜리 인공지능(AI) 민간 합작 프로젝트를 발표할 계획이다. 특히 본격적인 AI 시대를 연 AI 스타트업 오픈AI와 오라클, 그리고 일본 소프트뱅크 등이 돈을 대는 합작 벤처까지 출범한다. 21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등의 해외 보도에 따르면, AI 인프라 합작 벤처는 ‘스타게이트’로 이름이 붙었다면서 초기에 빅테크 업체들로부터 1000억달러 자본을 마련하고, 앞으로 4년에 걸쳐 그 규모를 최대 5000억달러로 확대할 방침이라고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챗GPT 개발사 오픈AI와 일본 소프트뱅크, 미 소프트웨어 기업 오라클 3개 기업은 합작회사 설립을 계획하고 있으며, 초기에 1000억 달러를 투자할 예정이다. 소프트뱅크 손정의 회장과 오픈AI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 오라클 공동 창업자인 래리 엘리슨 회장이 이날 오후 백악관을 방문하며,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이와 관련해 발표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마이크로소프트(MS)도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다. 스타게이트 계획은 빅테크 CEO들이 트럼프 주변으로 속속 합류하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퍼스트 버디’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트럼프 대통령의 취임식 축하 행사에서 독일 나치식 인사를 연상하게 하는 동작을 취해 논란이 일고 있다. 20일(현지 시간) 머스크는 미국 워싱턴 캐피털원아레나에서 열린 취임 축하 집회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지지자들에게 “이 일(트럼프 대통령의 당선)을 성사시켜주셔서 감사하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다”고 말했다. 이어 오른손으로 왼쪽 가슴을 친 뒤 손을 모아 오른쪽 대각선 위로 팔을 들어 올리는 동작을 취했다. 이후 돌아서서 뒤편에 있는 지지자들에게 한 번 더 이 동작을 선보였다. 손바닥을 아래로 한 채 팔을 곧게 뻗는 이 경례법은 이탈리아 독재자 베니토 무솔리니 통치 시절에 쓰였다. 또 독일을 포함한 일부 유럽 국가에서 불법이다. 영국 가디언은 “소셜미디어 사용자들이 머스크의 손동작에 충격을 표했다”고 보도했다. 1기 트럼프 행정부에서 근무했던 공중보건 전문가 에릭 파이글링도 “세상에, 머스크가 방금 나치 경례를 생방송으로 했다”고 말했다 CNN은 “충격적 행동”이라고 보도했으며 영국 BBC도 “그가 소유한 X(옛 트위터)에서도 논란이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