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9℃
  • 구름많음강릉 25.1℃
  • 흐림서울 27.6℃
  • 구름조금대전 29.0℃
  • 구름많음대구 30.6℃
  • 구름조금울산 28.9℃
  • 박무광주 26.2℃
  • 흐림부산 25.5℃
  • 구름많음고창 26.6℃
  • 구름조금제주 29.1℃
  • 구름조금강화 25.5℃
  • 구름많음보은 28.6℃
  • 구름조금금산 28.2℃
  • 구름많음강진군 28.1℃
  • 구름많음경주시 31.5℃
  • 흐림거제 23.6℃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렐러티비티社 'Terran 1' 접고 'Terran R'에 집중···"스페이스X 팔콘9과 경쟁"

Terran 1(왼쪽)과 Terran R(오른쪽)의 크기 비교 [렐러티비티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의 스타트업 기업 렐러티비티 스페이스(Relativity Space)가 'Terran 1' 개발 및 발사의 성과를 기반으로 다음 세대 로켓인 'Terran R' 로켓의 디자인, 개발 및 생산에 집중할 것이라고 트위터에서 밝혔다. 

 

렐러티비티사는 9일 새벽 3D 프린터로 만든 로켓 ‘테란 1(Terran 1)'을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발사했으나 추진체 연료의 온도가 문제로 연기되어 발사가 연기됐었다.

 

그동안 세계 최초 3D 프린팅으로 만든 로켓 'Terran 1’의 장점을 강조해 왔다. 로켓의 85%를 3D 프린팅으로 제작해 부품 수는 기존 로켓보다 100배나 줄고, 제작기간도 60일 이내로 단축하며, 재사용도 가능해서 발사 비용도 낮아지는 장점 등을 부각했지만 이로써 Terran 1의 저궤도 진입은 실패로 끝나게 됐다 .  

 

페이로드(적재화물) 용량이 1,250kg인 Terran 1에 반해 Terran R 은 최대 2만kg의 페이로드를 지구 근처 궤도에 운반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 로켓의 첫 번째 발사는 2024년 예정돼 있다. Terran 1 로켓 중단 결정은 회사의 노력을 효율적으로 조정하고 Terran R 로켓 개발에 보다 많은 자원을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

 

렐러티비티사 CEO 팀 엘리스(Tim Ellis)는 "우리의 첫 목표인 3D 프린팅 로켓이 실행 가능하다는 것을 'Terran 1'을 통해 이뤘다. 이제 'Terran R'을 통해 차세대 대형 로켓을 발사하는 회사가 되려 한다"고 밝혔다.

 

이제까지 엘리스는 1,250kg까지 적재하고 저궤도(LEO)에 도달할 수 있는 Terran 1에 대한 수요가 충분하다고 말했으나, 지금은 Terran 1에 대한 시각이 달라졌다.

 

그는 "Terran 1은 콘셉트카와 같다. 시대를 앞서 가는 많은 가치있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여 가능성의 경계를 재정의했다"면서 "반면 Terran R은 이러한 개념 콘셉트카 개발을 완성시켜 대중 시장의 수요를 충족시킬 것이다"고 말했다.

 

참고로 스페이스X(SpaceX)의 팔콘9(Falcon9)의 저궤도(LEO) 페이로드는 2만2800kg이다. Terran R이 성공적으로 추진된다면 스페이스X(SpaceX)의 팔콘9(Falcon 9)의 경쟁자 역할을 할 것으로 전망된다. 

 

배너

관련기사

5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수직이착륙 무인기와 블랙호크 '첫선'…대한항공, ‘국방산업발전대전’서 지속가능 항공솔루션 제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대한항공이 6월 17~19일 대전 유성구 DCC대전컨벤션센터에서 열리는 ‘2024 대한민국 국방산업발전대전’에 참가한다. 무인기 개발 분야의 비전을 제시하고 군용기 MRO 기술력을 선보일 예정이다. 국방산업발전대전은 대전시와 육군 교육·군수사령부, 국방과학연구소 등이 공동 주최하는 국방 산업 전시회다. 국내 방산기업 230여 곳이 부스를 차려 무기체계 및 무인·AI·국방우주 분야 기술을 선보인다. 대한항공은 이번 전시에서 최첨단 무기체계 플랫폼과 기술을 선보이며 무인기 개발 선도 기업으로서의 비전을 제시한다. 대한한공이 최근 양산에 착수한 중고도무인기를 필두로 타격형무인기, 신개념 미래형(Tilt Body형) 수직이착륙 무인기를 선보인다. 대한항공이 30년 동안 생산 및 중정비 분야에서 기술력을 쌓아온 UH-60 기종도 전시한다. UH-60은 ‘블랙호크(Black Hawk)’로 불리는 군용 헬리콥터다. 대한항공은 1990년 UH-60을 국내 생산하기 시작했고, 130여 대를 납품해 성공적으로 전력화했다. 현재 우리 군이 운용하는 UH-60의 창정비도 수행하고 있다. 대한항공 관계자는 “이번 전시회 참가로 대한항공의 혁신적인 국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