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 커내버럴에서 9일 발사 예정이었던 스타링크용 팔콘 9이 강한 바람으로 결국 발사가 취소됐다. 이번 발사는 원래 10월 8일(현지시간, EDT) 예정이었지만 강풍으로 인해 24시간 지연된 바 있다. 10월 9일 오후 8시 42분에 다시 시도했으나 로켓이 통과해야 하는 고층에 강한 바람으로 결국 무산되고 말았다. 이번 미션은 케이프 커내버럴 스페이스 포스 스테이션 40번 패드에서 팔콘 9 로켓에 22개의 2세대 스트링크 인터넷 위성을 실어 발사하는 것으로, 원래 계획은 22개의 스타링크 위성은 발사 후 약 65분 만에 팔콘 9의 상단 단계에서 저궤도에 배치되고, 팔콘 9의 1단 추진체는 발사 후 약 8.5분 만에 스페이스X 드론십에 해상 수직 착륙을 위해 지구로 귀환할 예정이었다. 스페이스X 관계자에 따르면, 다음 발사는 10월 12일 목요일 오전 10시 16분(EDT)에 케네디 우주 센터 LC-39A에서 있을 예정이다. 케이프 커내버럴에서는 스페이스X 스타링크용 팔콘 9가 10월 14일 토요일 오후 6시 5분에서 오후 10시 36분(EDT)에 예정돼 있다. 2027년까지 1.2만 기의 저궤도 통신위성으로 전세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일론 머스크가 창업한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저궤도 위성통신 서비스인 ‘스타링크’의 한국 지사를 설립한 것으로 확인됐다. 18일 업계에 따르면, 스페이스X는 이달 8일 국내에 ‘스타링크코리아 유한책임회사(Starlink Korea LLC)’를 설립했다. 서울 서초구 강남빌딩에 사무실을 마련했으며, 자본금은 3억원으로 알려졌다. 로렌 애슐리 드레이어 스타링크 사업운영 부문 선임 디렉터가 업무집행자로 등록됐다. 앞서 스페이스X는 올해 1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설립예정법인 형태로 기간통신사업자 등록을 신청한 바 있다. 이에 과기정통부는 30일(영업일 기준) 이내에 심사를 완료해야 하지만, 현재까지 신청 절차가 마무리되지는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과기정통부 관계자는 “사업등록증을 받으려면 등록 대상이 있어야 한다”라면서 “기간통신사업자 신청을 해두고 법인 설립을 나중에 하는 구조로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스페이스X는 스타링크 공식 홈페이지를 통해 올 2분기에 국내 위성통신 서비스를 시작할 것이라고 안내하고 있다. 스타링크 코리아 설립 소식이 국내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