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오픈AI가 2025년 10월 3일(현지시간), AI 기반 개인 금융 앱 ‘로이(Roi)’를 인수하며 맞춤형 소비자 AI 애플리케이션 분야에 본격적으로 뛰어들었다. 이번 인수는 최근 AI 업계에서 활발한 ‘애퀴하이어(acqui-hire)’ 전략의 일환으로, 오픈AI는 뛰어난 인재 영입과 함께 차세대 개인화 AI 소프트웨어 시장을 선점하려는 포석이다. TechCrunch, Yahoo Finance, Forbes에 따르면, 로이는 2022년 뉴욕에서 설립된 스타트업으로, 주식과 암호화폐, 디파이(DeFi), 부동산, NFT 등 사용자의 금융 자산을 통합 관리할 수 있는 AI 기반 개인 금융 플랫폼을 제공했다. 360만 달러 규모의 초기 투자를 발라지 스리니바산, 스파크 캐피탈, 그라디언트 벤처스, 스페이스카뎃 벤처스 등 글로벌 투자자들로부터 유치했다. 이번 인수로 로이 팀의 CEO이자 공동창업자인 수지트 비쉬와짓만 오픈AI에 합류하며, 로이는 10월 15일부로 서비스가 중단된다. 이번 인수는 오픈AI가 단순 API 서비스 제공을 넘어 직접 소비자와 접속하는 애플리케이션 사업으로 전환하는 전략적 시점에 맞춰졌다. 2025년 5월, 전 인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테슬라가 9초 길이의 터빈처럼 회전하는 금속성 물체를 담은 수수께끼 티저 영상을 지난 10월 5일(현지시간) X(구 트위터)에 공개하며, 화요일인 10월 7일에 신제품 발표를 예고했다. eletric-vehicles.com, Electrek, Carscoops, Business Insider, TopElectricSUV.com, carbuzz, EVXL.co, TESLARATI에 따르면, 이번 공개를 앞두고 업계 내에서는 두 가지 주요 제품에 대한 기대가 크다. 첫 번째는 저렴한 가격대의 모델 Y 스탠다드 모델로, 최근 회사 웹사이트 백엔드 코드에서는 'Model Y Standard'가 39,990달러부터 시작하는 것으로 유출됐다. 이 버전은 라이트 바가 없는 전면 재설계, 유리 지붕 없음, 직물 인테리어, 수동 조절식 스티어링 휠과 에어벤트를 특징으로 한다. 특히 9월 30일 만료된 연방 전기차 세액공제 정책 이후 출시되는 점에서 시장 접근성을 넓힐 것으로 분석된다. 두 번째 주목받는 것은 테슬라와 스페이스X의 협력을 통해 개발 중인 차세대 로드스터다. 일론 머스크 CEO는 이 로드스터가 0→60마일 가속을 1초 미만에 달성할 것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2025년 9월 24일(현지시각) 풀 셀프 드라이빙(Full Self-Driving, FSD) 소프트웨어의 최신 버전인 FSD V14가 다음 주부터 조기 대규모 배포에 들어간다고 공식 발표했다. 머스크는 이번 업데이트가 FSD V12 이후 두 번째로 큰 AI 기술의 진화라고 평가하며, 10배 이상 증가한 신경망 파라미터를 통해 차량이 거의 ‘지각 있는 존재’ 수준으로 진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Electrek, TESLARATI, Drifter - Tech Explorer, Shop4Tesla, Business Insider에 따르면, 이번 FSD V14는 세 차례에 걸쳐 단계적으로 배포된다. 초기 버전 14.0은 다음 주부터 조기 배포가 시작되며, 14.1과 14.2가 각각 약 2주 간격으로 이어진다. 머스크는 버전 14.2가 배포되면 운전자가 체감하는 차량의 자율주행 수준이 거의 인간에 가까운 지능을 가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기술적으로 이번 업데이트는 기존 FSD V13 대비 신경망 파라미터가 10배 넘게 증가해, 더욱 복잡한 주행 패턴과 예외 상황을 인지·대처할 수 있게 됐다. 이에 따라 시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에어아시아 여성 승무원들이 비행 중 기내 복도에서 댄스 공연을 선보인 영상이 소셜미디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영상은 태국 방콕 돈므앙에서 푸켓 구간 항공편에서 촬영됐으며, 조회수 90만회, 좋아요 4만건 이상, 댓글 300여개를 기록하며 뜨거운 반응을 이끌어내고 있다. 특히 승무원들이 선보인 노출 의상과 문신이 보이는 모습에 일부 승객들은 불편함을 표하는 반면, 새로운 마케팅 시도로 긍정적 의견도 적지 않다. 이번 공연은 에어아시아가 2025년 3월 결성한 여성 아이돌 그룹 '베라' 멤버 엠마를 포함한 승무원들이 데뷔곡 '틱톡(Tick-Tock)'에 맞춰 약 1분간 선보인 것으로 밝혀졌다. '틱톡'은 '정시 운항'을 의미하는 곡이며, 공연은 음료 및 식사 서비스 후 진행됐다. 에어아시아 공식 계정과 엠마 본인도 관련 댓글과 좋아요로 관심을 나타냈지만, 회사 차원의 공식 입장은 없다. 해외 사례와 비교하면, 최근 항공업계에서는 안전을 중시하므로 대부분의 국제 항공사들이 기내에서의 과도한 공연이나 노출, 문신 노출을 엄격히 제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카타르항공은 문신을 일체 허용하지 않으며, 에티하드항공과 에미레이트항공도 복장 착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경기 하남 감이동 한 아파트 내 커뮤니티 스크린골프장에서 지난 1월 골프공이 스크린 뒤 철제 기둥에 맞고 튕겨 나오면서 골프를 치던 주민의 얼굴을 강타해 코뼈가 함몰되는 중대한 부상 사고가 발생했다. 18일 아파트에 거주하는 주민 제보에 따르면, 피해 주민 A 씨 측은 아파트 관리사무소와 시공사를 고소하며 경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이번 사고는 스크린 뒤 철제 기둥과 스크린 사이에 충격을 흡수하는 장치가 전혀 없었고, 설치한 안전 조치가 미흡했기 때문이라는 비판이 거세다. 관리사무소는 위험 요소를 인지하지 못했다고 해명했으나, 시공사 측은 시간이 지나면서 스크린이 뒤로 밀려 기둥에 닿은 것으로 유지 관리 문제라고 책임을 떠넘겼다. 실제로 아파트 내 스크린골프장과 헬스장 등 커뮤니티 체육시설은 ‘체육시설법’상 영업용 체육시설이 아니어서 지자체 관리·감독 대상에서 제외돼 안전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공용 시설이 안전장치를 다중으로 갖추고 제도권 안에 포함돼 주기적 점검이 이뤄져야 한다고 지적한다. 국내 골프장 안전사고가 코로나19 이후 급증해 2017년 675건이던 사고가 2021년 1468건으로 약 2배 이상 늘어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국가안보를 위해 양자 컴퓨팅 분야에서 주도권을 반드시 확보하겠다는 의지를 담아, 다수의 행정 명령과 연방 기관들의 후양자 암호화(Post-Quantum Cryptography, PQC) 도입 가속 일정을 포함한 포괄적인 양자 컴퓨팅 전략을 개발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White House official release, CyberScoop, Nextgov, Quantum Computing Report, Carahsoft에 따르면, 이번 전략은 연방 기관들이 현재 2035년까지로 알려진 양자 내성 암호 표준 전환 일정을 5년 앞당겨 2030년 마감으로 조기 완료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양자 정보과학과 후양자 암호화 분야에 집중하는 두 건 이상의 행정 명령이 여름 초부터 준비되어 왔으며, 최대 세 건까지 추가 발령 가능성도 검토되고 있다. 국가안보와 기술 주권 강화를 위해 백악관과 미국 상무부가 중심이 되어 정책을 추진하며, 상무부 폴 댑바 부장관이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댑바 부장관은 이전에 양자 네트워크 기업 Bohr Quantum Technology 공동 창업자 출신이며, 트럼프 행정부 1기 시절 에너지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코인베이스(Coinbase) 최고경영자(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이 암호화폐 거래소를 기존 은행을 완전히 대체하는 종합 금융 ‘슈퍼 앱’으로 변모시키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공식화했다. Yahoo Finance, Cointelegraph, CoinDesk, TradingView에 따르면, 그는 2025년 9월 중순 폭스비즈니스(Fox Business) 인터뷰에서 “우리는 슈퍼 앱이 되어 모든 금융 서비스를 제공하고,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금융 계좌가 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 암스트롱은 현재의 전통 금융 시스템, 특히 신용카드 수수료(2~3%)에 대해 강도 높은 비판을 쏟아냈다. 그는 “신용카드 결제는 단지 인터넷 상에서 흐르는 데이터 조각에 불과한데, 왜 이런 높은 수수료를 지불해야 하는지 이해하기 어렵다”며, 암호화폐 기반 결제 시스템은 이러한 비용을 ‘무료 또는 거의 무료’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고 강조했다. 코인베이스가 올해 가을 출시할 예정인 ‘Coinbase One Card’는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하며, 최대 4%까지 비트코인(BTC) 보상을 제공한다. 이 카드는 코인베이스 원(One) 구독자에게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김난도 교수의 '트렌드 코리아 2026' 출간과 함께 2026년 대한민국과 글로벌 소비 시장이 인공지능(AI)을 중심으로 대전환을 맞이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24일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이뤄진 기자간담회에서 김 교수는 "가장 빠른 기계를 가진 자가 아니라, 기계 위에서 깊이 사유하고 현명한 질문을 던질 줄 아는 인간이 AI 시대의 승자가 될 것"이라며, 인간의 비판적 사고와 전문성이 AI 활용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2026년 10대 트렌드 - 한국 소비 시장의 미래 '트렌드 코리아 2026'이 제시한 10대 키워드에는 ▲휴먼인더루프(Human-in-the-loop) ▲필코노미(Feelconomy) ▲제로 클릭(Zero click) ▲레디코어(Ready core) ▲AX 조직 ▲픽셀라이프 ▲프라이스 디코딩 ▲건강기능 HQ ▲1.5가구 ▲근본이즘 등 현재와 미래를 관통하는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다. 이 중 ‘휴먼인더루프’의 개념은 AI가 모든 사안을 결정하지 않고, 반드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는 AI 철학을 담고 있다. 이러한 원칙이 전 세계적인 흐름과도 맞물리며, 2026년 한국 정부의 AI 예산이 10조1000억원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삼성전자가 또 한 번 폴더블 스마트폰 시장의 판을 흔든다. Economic Times, GSM Arena, MK, Kbench, Counterpoint Research에 따르면 삼성의 첫 3단 폴더블폰 ‘갤럭시 Z 트라이폴드’는 한국 및 중국 내수 시장에 국한하지 않고, 아랍에미리트(UAE)와 미국 등 전략적 시장으로 출시를 확대한다는 전략이다. 기존 갤럭시 Z 폴드 시리즈의 한정적 출시 기조를 깨고, 글로벌 하이엔드 시장에서의 입지 확보를 명확히 하겠다는 의도로 해석된다. 특히 삼성은 오는 10월 31일부터 11월 1일까지 경주에서 개최되는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에서 갤럭시 Z 트라이폴드를 첫 공개할 예정이며, 출시 초기에 전 세계 5만대 한정 생산이라는 희소성 전략을 채택한다. 이는 기존 갤럭시 Z 폴드 7의 2025년 월간 생산량(26만대)에 비해 5분의 1에 불과한 수치로, 초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한 ‘리미티드 런(Limited Run)’ 콘셉트가 뚜렷하다. 이 제품의 가장 큰 혁신은 바로 3개로 분할된 전지 시스템이다. 최근 KIPRIS(특허정보원)에 공개된 특허 자료에 따르면, 트라이폴드는 본체 각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미국 대통령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아들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가 공동 설립한 암호화폐 벤처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orld Liberty Financial, WLFI)이 자사의 USD1 스테이블코인을 고성능 블록체인인 Aptos 네트워크에 2025년 10월 6일 공식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출시로 USD1은 Aptos 블록체인의 핵심 프로그래밍 언어인 Move 기반 네트워크와 통합되는 최초의 스테이블코인이 됐다. finance.yahoo, CryptoSlate, CoinMarketCap, Aptos Forum, Trust Wallet, MEXC Blog에 따르면, 트럼프 주니어와 WLFI CEO 잭 위트코프는 싱가포르 Token2049 콘퍼런스에서 Aptos 및 다수의 주요 DeFi 프로토콜과 협력하여 USD1의 생태계 내 신속한 통합을 알렸다. 출시 초기부터 Echelon Market, Hyperion, Thala Labs, Panora Exchange 등 주요 DeFi 플랫폼과 Petra, Backpack, OKX, Gate.io 등 핵심 지갑 및 거래소가 USD1 지원을 확약했다. 기술적으로 Aptos는 메타가 개발했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