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초박빙 접전 양상인 올해 미국 대선 결과에 대해 인공지능(AI)은 "매우 치열한 경쟁이 될 것이라서 확실하게 예측하기 어렵다"고 답해 역시 처세술이 뛰어난 AI라는 평가가 나온다. 미 시사주간지 뉴스위크는 생성형 AI 기술을 기반으로 한 챗봇인 '챗GPT'에 민주당 대통령 후보 카멀라 해리스와 공화당 대통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 가운데 누가 11월 5일 대선에서 승리할 것으로 예측하는지 등을 물었더니 이같은 답변이 나왔다고 11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뉴스위크는 또 그런 답변의 이유와 두 후보의 강점과 약점을 논의해달라고 요청했다. 챗GPT는 해리스 부통령의 핵심 강점으로 '다양한 매력', '리더십 경험', '진보적 이슈에 대한 집중', '선거운동 기술' 등을 꼽았다. 이어 "첫 번째 여성이자 흑인, 남아시아계(인도) 부통령으로서 해리스가 아프리카계 미국인, 여성, 젊은 층 등 핵심 인구집단에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해리스 부통령의 선거운동 기술에 관해서는 "토론과 타운홀 미팅에서 잘 소통할 수 있는 숙련된 선거운동가이며, 잠재적으로 사람들과 대면하는 선거운동에서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다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퀄컴이 21일(현지시간) 스냅드래곤 서밋 2024를 열어 스냅드래곤8 엘리트를 공개했다. 이 자리에서 마크 저커버그 메타 CEO는 강력한 자사 생태계를 강조하면서 퀄컴과의 오랜 파트너십을 통해 혼합현실(MR) 시장에서 유의미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첫 날 영상을 통해 등장해 "AI 분야에서 우리는 최첨단 모델인 라마(Llama) 3.2를 스냅드래곤 플랫폼을 포함한 다양한 기기에 도입했다"면서 "여기에는 110억 매개변수를 가진 멀티모달 모델뿐만 아니라 기기에서 실행하기 최적화된 10억, 30억 매개변수 모델도 포함된다"고 설명했다. 이어 "라마를 기기에서 실행할 수 있게 된 것은 모바일 산업에 엄청난 기회를 제공하며 우리는 더 많은 처리 과정을 엣지(Edge)로 옮겨 더욱 풍부하고 반응성 높은 AI 경험을 제공할 수 있으며, 프라이버시 측면에서도 장점을 추가했다"고 덧붙였다. 이같은 AI 협력은 XR 분야로 확장되고 있다. 저커버그 CEO는 “이 AI 작업은 혼합 현실(MR) 분야에서 메타와 퀄컴의 오랜 파트너십에 더해진 것으로, 이 파트너십은 지난 오큘러스 고(Oculus Go) 시절로 거슬러 올라간다”라며, “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천문학적 액수의 벌금을 내게 될 위기에 처했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은 유럽연합(EU)이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엑스(X·옛 트위터)에 대해 벌금을 책정할 때 X뿐 아니라 스페이스X, 뉴럴링크, xAI 매출까지 포함해 벌금 액수를 계산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기 때문이다.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7월 엑스가 디지털서비스법(DSA)을 위반했다는 예비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불법 콘텐츠와 허위 정보에 대처하지 않거나 투명성 규정을 준수하지 않는 온라인 플랫폼에 연간 글로벌 매출의 최대 6%에 달하는 벌금을 부과할 수 있다는 규정에 따른 것이다. EU는 현재 엑스를 조사 중이며, 머스크의 다른 사업인 우주탐사기업인 스페이스X, 생명과학 전문 스타트업인 뉴럴링크, 생성형 인공지능(AI) 개발업체 xAI, 굴착 전문기업 보링컴퍼니 등의 매출도 벌금 부과 기준 계산에 포함해야 하는지 여부를 검토 중이다. 엑스와 스페이스X, 뉴럴링크는 머스크가 단독으로 경영권을 행사하는 기업이다. 테슬라의 경우 머스크가 완전하게 지배력을 행사하지 않기 때문에 빠진다고 전했다. EU는 지난해 온라인상에서 허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의 아버지 샘 올트먼 오픈AI 최고경영자(CEO)가 창립한 스타트업 월드코인이 ‘월드’로 간판을 바꾸고 서비스 확산에 속도를 낸다. 18일(현지시간) 블룸버그 통신 등에 따르면 월드코인 개발사 ‘툴스 포 휴머니티(Tools for Humanity·TFH)’는 이날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어 뉴 월드(a new world)’ 행사를 열고 이같이 발표했다. 올트먼은 이날 기조 연설에서 “인공지능(AI)을 확장하며 규모가 곧 품질인 경우가 많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아직 전 세계 인구 99.9%가 월드코인에 가입하지 않은 만큼, 모든 사람을 위한 인프라 구축으로 전 세계적으로 규모를 확장했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보고 싶다”며 월드코인 생태계 확장 배경을 설명했다. TFH는 올트먼이 알렉스 블라니아와 함께 창업한 재단이다. TFH는 지난해 7월부터 월드코인이라는 가상자산을 발행하기 시작했다. ‘오브(Orb)’ 장치로 실제 사람임을 판별한 후 개인 홍채 데이터를 수집해 블록체인에 연결한 뒤 ‘월드 ID’를 생성해 일정량의 코인을 준다. 이 ID로 암호화폐 지갑 ‘월드 앱’에 월드코인을 보관할 수 있다. TFH에 따르면 202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삼성전자가 해외 유명한 컨설팅 업체에서 선정하는 글로벌 기업 브랜드 가치 1위를 차지했다. 18일 영국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업체 퓨처브랜드가 발표한 '미래 브랜드 지수 2024'에서 삼성전자는 상위 100개 브랜드 중 1위에 꼽혔다. 지난해 5위에서 4계단 상승했다. 퓨처브랜드는 1999년부터 글로벌 주요 브랜드를 대상으로 가치평가를 수행하는 전문 조사기관으로, 평가를 위해 3000여명 이상의 전문가 인터뷰를 거친다. 올해 조사는 회계법인 PwC(프라이스워터하우스쿠퍼스)의 시가총액 상위 100개 기업을 대상으로 했으며, 삼성전자는 혁신과 진정성, 영감, 웰빙, 프리미엄 등 18개 요소에서 우수한 점수를 받았다. 퓨처브랜드는 "삼성전자는 감성적이고 지능적인 혁신 기업"이라며 "소비자들에게 원활한 경험과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능력을 높게 평가한다"고 밝혔다. 2위는 인도 최대 기업인 릴라이언스가 차지했다. 1위였던 애플이 올해 조사에서는 3위로 하락했다. 나이키가 4위, 반도체 장비업체 ASML이 5위, 파운드리 최대 경쟁자인 TSMC는 9위에 올랐다. 또 미국의 반도체 장비기업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가 13위로 신규 진입했고,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 최고 부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미국 공화당 대선 후보인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의 당선을 위해 3분기(7~9월)에만 약 7500만달러(약 1022억4000만원)를 기부한 것으로 나타났다. 미 정치전문매체 '폴리티코'와 '더 힐' 보도에 따르면, 15일(현지시간) 연방선거관리위원회에 제출된 서류를 인용해 머스크 CEO가 아메리칸 팩의 유일한 기부자라고 보도했다. 아메리칸 팩은 머스크 CEO가 트럼프 전 대통령을 지원하기 위해 지난 여름 설립한 슈퍼팩(Super PAC·특별정치활동위원회, 정치자금 모금단체)이다. 폴리티코는 "한 사람이 기부한, 엄청난 액수"라며 "머스크는 트럼프가 (유세 중) 피격당한 지난 7월 이후 공식 지지를 선언했고, 이후 트럼프의 정치활동에 점점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고 전했다. 아메리카 팩은 수백 명의 직원을 고용하고 대선 승패를 결정짓는 격전지를 중심으로 트럼프에 대한 지원 활동을 진행 중이다. 6월 이래로 이 슈퍼팩은 1억220만 달러 이상을 민주당 대선 후보를 비난하고 트럼프를 지지하는 일에 사용했다. 머스크는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 엑스(X·옛 트위터)를 통해 적극적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의 민간 우주기업 스페이스X가 화성행 대형 우주선 스타십의 다섯 번째 시험 비행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이번에 첫 시도된 '젓가락 로봇 팔' 장비를 이용한 대형 로켓 회수에도 성공했다. 스페이스X는 13일(현지시간) 오전 7시25분(미 중부시간) 텍사스주 남부 보카치카 해변의 우주발사시설 '스타베이스'에서 5차 시험 비행을 진행했다. 발사 이후 약 3분 만에 1단 로켓 추진체인 슈퍼헤비 로켓이 스타십에서 순조롭게 분리됐다. 또 발사 약 7분 만에 슈퍼헤비가 우주에서 지구로 돌아와 수직 착륙하는 데 처음으로 성공했다. 이 과정에서 스페이스X는 발사탑의 '젓가락 팔'을 사용해 로켓을 잡는 신기술을 시도했고 곧바로 성공했다. 젓가락 팔은 영화 속 괴물 고질라에서 이름을 따 '메카질라'로 불린다 이번 시험 비행은 지난 6월 6일 이후 4개월여 만이다. 특히 이번 시험 비행에서는 스타베이스의 발사탑인 ‘메카질라’에 새로 설치한 로봇 팔을 이용해 공중에서 슈퍼 헤비 부스터를 잡았다. 스페이스X는 이 로봇 팔 시스템에 ‘젓가락(chopsticks)’이라는 이름을 붙였다. 성공 여부를 짐작하기 쉽지 않았지만 발사 7분 만에 돌아온 부스
[NewsSpace=JeongYoung Kim] Samsung today announced that the company hosted its flagship career fair and networking event Tech & Career (T&C) Forum in London, United Kingdom, as part of continuous efforts to secure global talent and further strengthen the firm’s technological competitiveness on a global level. The Tech & Career Forum is a career fair where Samsung SDI’s top executives meet with students from top-rated schools across the globe to share the company’s vision and recruit global top talent. The event was held for the third time this year, following previous ones in Bosto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일론 머스크가 경영하는 테슬라가 가속 페달과 운전대가 없는 무인 택시와 신형 전기 승합차를 공개했다. 10일(현지시간) 월스트리트저널(WSJ)과 로이터통신등 외신들은 테슬라가 미국 캘리포니아주 버뱅크의 워너브러더스 스튜디오에서 열린 행사에서 2인승 무인 택시 ‘사이버캡’과 최대 20명까지 타거나 화물을 수송할 수 있는 승합차 ‘로보밴’을 공개했다고 보도했다. 사이버캡은 대당 3만달러(약 4040만원)로 2026년부터 양산에 들어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수년동안 계획했던 완전 자율주행 택시를 선보이는데 성공한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는 우주복 차림으로 사이버캡에서 내려 차량들을 소개했다. 2025년에는 기존 모델3로도 캘리포니아와 텍사스주에서 보조 운전자가 없는 완전한 자율주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낙관했다. 이날 공개된 사이버캡은 양쪽에 문이 하나씩만 달린 갈매기 날개 형태의 2도어 디자인으로, 내부에는 핸들과 페달이 없이 완전자율주행(FSD) 소프트웨어만 설치돼 있다. 직접 사이버캡을 시승하는 모습을 보여준 머스크 CEO는 “2026년까지, (늦어도) 2027년 전에 대량으로 (로보택시를) 만들 것”이라며 2년 내 상용화하겠다는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미국 대선 공화당 후보 도널드 트럼프 전 대통령에 "올인했다"고 선언한 테슬라 최고경영자(CEO) 일론 머스크가 트럼프에 대한 전폭적인 지원 행보에 나서고 있어 화제다. 미국 매체 악시오스의 보도에 따르면 7일(현지시간) 머스크는 트럼프 전 대통령 선거 지원을 위해 자신이 소유한 소셜미디어(SNS) 엑스(전 트위터)의 '@America' 계정을 확보했다. 기존 이 계정 사용자는 '@Aerica123-12.'라는 계정을 새로 할당받았다. 머스크는 200만 팔로워를 보유한 자신의 계정을 그간 극우 진영의 논리를 홍보하고 트럼프 전 대통령 지지를 위해 적극 활용해왔는데, 이번에 선거 운동 지원만을 위한 계정을 마련한 것이다. 악시오스는 새로운 계정은 머스크가 지난 5일 트럼프 전 대통령의 펜실베이니아 유세에 동반해 '치어리딩 점프'를 선보이기 직전에 공개됐다고 보도했다. 또 악시오스는 "이는 머스크가 엑스를 매입한 뒤 계정을 거둬들인 가장 최근 사례"라며 "엑스는 현재 회사 정책으로 비활성 계정에 대해서는 영구 회수 가능 방침을 못 박고 있다"고 설명했다. 머스크는 또 이날 공개된 폭스뉴스 앵커 출신 터커 칼슨과의 인터뷰에서 트럼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