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15 (수)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Culture·Life

[내궁내정] 이발소 삼색등(Barber's Pole), 인류 의료사의 단면…이발사·외과의사가 동일인?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편집자주> 유튜브, 인스타 등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이 '협찬을 받지 않았다', '광고가 아니다'라는 사실을 보이기 위해 "내 돈 주고 내가 샀다"라는 뜻의 '내돈내산'이라는 말이 생겼다. 비슷한 말로 "내가 궁금해서 결국 내가 정리했다"는 의미의 '내궁내정'이라고 이 기획코너를 명명한다. 우리 일상속에서 자주 접하고 소소한 얘기거리, 궁금증, 호기심, 용어 등에 대해 정리해보는 코너를 기획했다.

 

 

거리를 걷다보면 이발소가 유독 눈에 자주 띈다. 그 이유는 이발소가 있음을 알려주는 빨강, 파랑, 흰색이 회전하는 삼색등 때문이다. 이 삼색등을 바버의 폴(Barber's Pole)이라 부른다.

 

삼색등(Barber's Pole)은 단순한 장식이 아니다. 중세 시대 이발사와 외과의사(Barber-Surgeons)의 역사적인 역할과 관련된 상징이다.

 

현대의 이발소에서는 단순한 미용업을 의미하지만, 과거를 돌이켜 보면 중세 의학과 이발사의 역할 변화를 상징하는 중요한 유물이다. 오늘날 대부분의 사람들은 이 삼색등의 깊은 의미를 모르지만, 그 회전하는 모습에는 인류 의료사의 한 단면이 담겨 있다.

 

 

중세 유럽에서 이발사는 단순히 머리카락을 자르는 사람이 아니었다. 당시 외과적 시술은 주로 성직자들이 담당했지만, 교회에서 피를 흘리는 행위를 금지하면서 이 역할이 이발사들에게 넘어갔다.


이발사들은 면도칼과 가위를 다루는 기술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수술 및 다양한 의학적 시술까지 수행하게 된 것이다. 이발사들은 발치(치아 뽑기), 피를 빼는 사혈(瀉血, Bloodletting), 상처 봉합, 골절 치료, 유양돌기 절제술(귀 감염 치료) 등의 기본적인 외과적 절차까지 수행했다.


특히, 사혈(Bloodletting) 은 중세 의학에서 흔한 치료법으로, 몸속의 나쁜 피를 제거하면 건강이 회복된다고 믿었다.

 

 

이런 이발사의 역할로 인해 이발소 삼색등(Barber's Pole)이 생겼다. 즉 세 가지 색깔(빨강, 흰색, 파랑)은 바로 중세 시대 이발사-외과의사들이 수행했던 사혈 행위의 흔적이다. ​

 

빨간색은 피(Blood, 동맥)를 의미하며, 파란색은 정맥(Veins)을 상징한다. 즉 사혈(Bloodletting) 치료를 상징한다. 흰색은 붕대(Bandage) 또는 붕대를 감은 막대기(Rod with bandages)를 나타낸다. 


게다가 이 삼색등이 회전하는 이유는 당시 이발소에서 사혈을 받은 환자가 붕대를 감고 팔을 높이 들고 혈액이 배출되도록 했던 모습을 연상시키기 때문이다. 사혈 후, 피 묻은 붕대가 막대기에 감겨 말려지면서 생긴 나선형 패턴이 삼색등의 기원인 셈이다.

 

1540년 영국에서 '이발사-외과의사 조합(The Company of Barber-Surgeons, Guilds)'이 설립됐다. 하지만, 18세기 들어 점차 의학이 발전하면서 1745년 이발사와 외과의사가 공식적으로 분리되었고, 외과의사들은 독립적인 직업군으로 자리 잡았다. 이후 이발소는 남성 전용 공간으로 발전했고, 이발 뿐만 아니라 면도, 수염 관리, 스타일링 서비스까지 제공하는 방향으로 발전했다.

 

 

영국에서는 이발사-외과의사 조합이 해체된 후에도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계속해서 이발사들이 기본적인 외과적 시술을 담당했다. 반면, 미국에서는 현대적인 외과의사가 등장하면서, 이발사들은 순수한 미용업으로 전환됐다. 미국에서는 빨강과 흰색만 있던 삼색등에 파란색을 추가해, 미국 국기(Stars and Stripes)와의 유사성을 강조했다는 설도 있다.


1800년 영국 왕립 외과의사 학회(Royal College of Surgeons of England)가 설립되면서, 외과의사들은 정식으로 의학을 배우고 수련을 받도록 제도화되었다. 미국에서는 19세기 후반 존스 홉킨스 대학(Johns Hopkins University) 등의 의과대학이 등장하며 현대 외과의 토대가 확립됐다.

 

하지만 과학적 의학이 발전하면서 사혈이 오히려 해롭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결국 이발사들이 하던 사혈(Bloodletting)은 점차 폐기됐다. 특히 루이 파스퇴르(Louis Pasteur), 로버트 코흐(Robert Koch) 등의 미생물학자들이 질병의 원인이 감염과 세균이라는 사실을 증명하면서, 사혈의 의학적 효용이 완전히 사라졌다.

 

 

19세기 중반에는 무균 수술(Aseptic Surgery) 개념이 등장했다. 조셉 리스터(Joseph Lister)가 소독법을 개발하면서 외과 수술의 성공률이 급격히 높아졌다.

 

오늘날 외과의사는 일반 외과(General Surgery), 신경외과(Neurosurgery), 심장외과(Cardiothoracic Surgery) 등 다양한 전문 분야로 세분화됐다. 현대 의료 시스템에서는 최소 침습 수술(Minimally Invasive Surgery) 및 로봇 수술(Robotic Surgery) 기술까지 발전하며, 중세의 이발사-외과의사 개념과는 완전히 다른 직업군이 됐다.

 

한국에서는 1895년(고종 32년) 을미개혁의 일환으로 단발령이 내려지면서 서구식 이발이 시작됐다. 이전까지는 유교 사상에 따라 머리카락을 자르지 않았으나, 단발령 발표 후 전통적인 상투 문화를 없애고 고종과 대신들이 머리를 자르며 이를 선도했다. 이로 인해 이발소 문화가 형성됐으며, 단발령에 반대하는 움직임이 을미 의병운동의 계기가 됐다.

 

 

1888년 미국 애틀랜타에서 마사 매튜스(Martha Matilda Harper)가 최초의 현대적 개념의 미장원을 설립했다.

 

'Harper Method'라는 브랜드를 통해 미용 교육 및 프랜차이즈까지 운영했고, 이를 시작으로 20세기 초, 프랑스와 미국에서 미용실이 대중화됐다.


이후 이발소는 남성들의 사교 공간이자 사회적 정보 교환의 중심지로 발전했고, 미장원은 여성들의 아름다움을 위한 공간에서 현대적인 종합 뷰티 공간으로 확장됐다. 오늘날에는 이발소와 미장원의 경계가 허물어지고, 남녀 모두가 이용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화중이다.

배너
배너
배너



[신간] 삼국지는 어떻게 삶의 무기가 되는가…삼국지 명문장 30개로 배우는 '삼국지 인생 공부' 출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중국 역사와 문화의 정수이며, 지식인의 교양을 구성하는 핵심 고전 중의 하나인 삼국지가 새로운 버전으로 돌아왔다. <삼국지 인생 공부-천하를 움직인 심리전략>(나관중 원저, 김태현 지음)은 진수의 『삼국지』와 나관중의 『삼국지연의』를 바탕으로, 인간 군상의 다양한 얼굴과 지혜를 담아냈다. 이 책은 삼국지 속 절체절명의 순간에 나온 명문장 30개를 선정했다. 그 문장이 어떤 배경에서 탄생했는지, 그리고 어떻게 전쟁과 정치의 흐름을 바꾸었는지를 살펴봤다. 관도대전, 적벽대전, 이릉전투 등 삼국지의 명장면을 통해 기만, 연합, 기회 포착 같은 전략을 분석한다. 이 전술들은 오늘날 리더십과 인간 관계에도 깊은 통찰을 준다. 삼국지는 단순한 전쟁사가 아니라 인간의 심리를 해부한 책이다. 혹자는 “삼국지를 읽지 않은 사람과는 친구가 되지 말고, 세 번 이상 읽은 사람과는 싸우지 말라”는 말까지 있을 정도. 작가는 "오늘을 사는 우리도 각자의 ‘인생 삼국지’를 치르고 있다. 조조처럼 결단하고, 유비처럼 사람을 모으며, 제갈량처럼 전략적으로 사고하고, 사마의처럼 인내하며 흐름을 읽어 미래를 준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이어 "삼국지를

[랭킹연구소] 5년간 국립대 성비위 징계 대학 순위…서울대>경상국립대>전북대>강원대 順 ‘솜방망이 처벌’ 빈축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최근 5년간 전국 39개 국립대에서 성비위 징계 161건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서울대가 18건(11.1%)으로 가장 많은 징계 건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국회 교육위원회 소속 강경숙 조국혁신당 의원실이 전국 39개 국립대(4년제·교대·산업대 포함)로부터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20년부터 2025년 8월까지 교수, 학생, 직원 포함 총 161건의 성비위 징계가 확정됐다. 교수 64명 중 36.7%가 정직, 감봉 등의 경징계를 받고 복귀했으며, 평균 정직 기간은 2개월 수준에 불과해 신속한 복귀가 가능했다. 특히 중징계인 해임과 파면 비율은 낮고, 상당수가 경징계인 점에서 교육기관으로서 윤리기준 강화와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대학교 성비위 징계 현황 교수에게 내려진 징계가 68건으로 가장 많았고, 학생 징계는 67건이었다. 성비위 징계가 많은 대학은 서울대, 경상국립대, 전북대, 강원대 순이다. 서울대는 전체 징계의 11.1%를 차지했다.​ 경징계 비중 및 문제점 64명의 징계 대상 교수 중 36.7%가 정직(16건), 감봉(5건), 견책(4건) 등 경징계를 받고 복귀한 것으로 확

[랭킹연구소] 타임스 고등교육 2026 세계 대학 순위, 옥스퍼드·MIT·프린스턴·캠브리지·하버드·스탠포드 順…서울대(58위)·카이스트(70위)·연세대(86위)·성균관대(87위) 100위권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우리나라 대학 4곳이 사상 처음으로 세계 상위 100위권에 진입했다. 서울대(58위)를 비롯해 한국과학기술원(KAIST, 70위), 연세대(86위), 성균관대(87위) 등이 랭크됐다. 서울대는 2023년판 이후 처음으로 상위 60위권 안에 들었다. 10월 9일 영국 대학평가기관 타임스 고등교육(Times Higher Education, THE)이 발표한 ‘2026 세계대학평가’에서 서울대학교가 세계 58위로 국내 대학 1위의 자리를 지켰다. KAIST는 2016 발표 이후 가장 높은 순위를 기록했으며 연세대와 성균관대는 지난해 공동 102위에서 각각 16·15계단 상승하며 100위권에 재진입했다. 이로써 세계 톱100에 서울대, KAIST, 연세대, 성균관대 등 총 4곳이 이름을 올리며 국내 ‘빅4’ 구도가 형성됐다. 특히 지난해 대비 15계단 상승한 성균관대학교는 국내외 주요 연구 중심대학으로서의 위상을 한층 높였다. 국내 사립대학 중 2위, 전체 국내 대학 중 4위를 차지했다. 산학협력 부문에서는 세계 64위에 올라 혁신적인 기업 연계와 실용 연구 역량도 국제적으로 인정받았다. 연세대와 성균관대학은 총점 0.2점차로 순위가 갈

[랭킹연구소] 초등학생 다문화 비율 상위, 하위 TOP15 "전남·경북 농촌 최고, 강남·서초 최저"…신안>함평>영암>영양>성주>봉화>임실>장수>안산>청양 順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024년 기준 한국 내 초등학생 다문화 비율(국제결혼 자녀, 외국인 가정자녀)이 지역마다 뚜렷한 격차를 보이고 있다. 특히 전라남도와 경상북도 일부 농촌 지역에서 다문화 학생 비율이 20%를 넘어서며 전국 최고 수준을 기록한 반면, 서울 강남구와 서초구 등 대도시 주요 구역에서는 1% 미만으로 매우 낮은 비율을 유지하고 있다. 2024년 교육부와 통계청의 공식 통계, 교육통계서비스(KESS) 조사 결과에 따르면, 신안군(전남)이 22.9%로 가장 높았고, 함평군과 영암군이 각각 22.6%, 21.6%로 뒤를 이었다. 경북 지역의 영양군(19.2%)과 성주군(18.7%)도 상위권에 포함됐다. 반면 서울 강남구와 과천시(경기)는 0.7%에 불과해 대조를 이뤘다. 이 같은 지역별 격차는 다문화 가정의 분포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2024년 교육부 통계에 따르면 전국 초중고 다문화 학생 수는 19만3814명으로 전년 대비 7.0% 증가했다. 다문화 학생 비율은 전체 학생의 약 3.8%이며, 증가 추세에 있다. 다문화 학생은 주로 국제결혼 가정 자녀와 외국인 가정 자녀를 포함한다. 농촌 지역에서는 국제결혼 가정이 많아 다문화 학생 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