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인이 미국 주식 중 가장 많이 보유한 종목은 테슬라로 확인됐다. 한국예탁결제원, Bloomberg, Econsis, EBC에 따르면, 한국인 개인투자자의 미국주식 보관금액 총액은 역대 최초로 137조7000억원(약 1000억 달러)을 돌파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2% 증가한 수치로, 해외직접투자 열풍이 지속적으로 확산되고 있다는 방증이다. 상위 10종목 중 테슬라는 약 212억9400만달러(약 38조원) 단독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엔비디아 135억400만달러(약 22.9조원), 팔란티어가 45억9500만달러(약 9.3조원)로 뒤를 이었다. 최근 AI·테크 관련주에 대한 쏠림 현상도 뚜렷하다. 글로벌 혁신 기업에 대한 한국인의 선호는 데이터에서도 확인된다. 테슬라, 엔비디아, 팔란티어 등은 전기차, 인공지능, 데이터분석·양자컴퓨팅 등 ‘미래기술’의 상징적 주역들로, 서학개미의 직·간접 투자 집결지 역할을 하고 있다. 실제로 한국 개인 투자자들의 미국 기술주 투자비중은 미국 전체 주식시장 중 92.5%에 달할 정도로 집중돼 있다. ETF(상장지수펀드) 인기 역시 상승세다. QQQ(나스닥100 추종), TSLL(테슬라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2025년 10월 10일(현지시간), 글로벌 암호화폐 시장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중국산 전 제품 100% 관세 부과'라는 깜짝 발표에 직격탄을 맞으며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최악의 일일 급락장을 기록했다. 백악관은 관세가 11월 1일부터 전격 시행될 예정이라고 발표했으며, 이는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 조치에 대한 정면 보복이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Coindesk, Yahoo Finance, TheStreet, CoinGape, CoinCentral, CryptoRank, CoinGlass에 따르면, 당일 비트코인은 12만2000달러 선에서 한때 10만2000달러 선 아래까지 20% 이상 급락했고, 이후 11만2000달러 수준으로 일부 반등했다. 이더리움 역시 15% 가까운 폭락을 겪으며 3400달러 선이 붕괴됐다. 총 시가총액은 약 4조3000억 달러에서 3조8500억 달러로 빠르게 증발해, 단 몇 시간 만에 9%를 넘는 손실을 기록했다. 전체적으로 670억 달러 이상의 투자자 자산이 증발했으며, 크로스마진 청산이 알트코인 시장의 추가 붕괴를 촉진시켰다. 압도적인 매도세와 극심한 변동성은 암호화폐 역사상 최대 규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월스트리트 주요 애널리스트들이 최근 테슬라(TSLA)에 대해 인공지능(AI)과 로보틱스 기술 성장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하며 목표주가를 대폭 상향 조정했다. Yahoo Finance, MarketBeat, Barron's, CNBC, Nasdaq, Reuters, Tesla 공식 IR에 따르면, RBC 캐피탈 마켓은 테슬라의 옵티머스(Optimus) 휴머노이드 로봇 잠재력을 반영해 목표가를 기존 325달러에서 500달러로 54%나 올렸다. RBC는 2050년까지 9조 달러 규모로 예상되는 글로벌 휴머노이드 로봇 시장에서 테슬라가 5%의 점유율을 기록할 경우, 연 매출 4040억 달러를 창출할 수 있다고 내다봤다. 특히 제조, 접객, 소비자용 3대 핵심 분야에서 옵티머스 로봇의 상용화를 가속할 계획으로, 휴머노이드 로봇 부문이 테슬라 전체 밸류에이션의 36%, 로보택시가 37%를 차지하는 등 전통 자동차 사업 대비 미래 신사업 의존도가 확대되고 있음을 강조했다. 웨드부시 시큐리티스의 댄 아이브스 애널리스트는 테슬라 목표주가를 600달러로 유지하며 2026년 초 2조 달러, 연말에는 3조 달러 시장가치 돌파 가능성을 언급했다. 특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세계 1위의 화학기업이자 독일 화학산업의 거점 BASF가 자사의 자동차 OEM 코팅, 자동차 리피니시 코팅, 표면 처리 사업부를 미국 사모펀드 칼라일 그룹과 카타르투자청(QIA) 파트너십이 운용하는 펀드에 기업가치 77억 유로(약 84억 달러)에 매각하기로 최종 합의했다. 10월 10일(현지시간) Reuters, basf.com, Investing.com, PCI Magazine, yahoofinance, UNION OF ARAB CHAMBERS에 따르면, 이 거래는 BASF가 2024년부터 추진해 온 전략적 포트폴리오 구조조정인 ‘Winning Ways’ 전략의 핵심으로, 독립형 사업부들의 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조치라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계약에 따라 BASF는 코팅 사업부의 40% 지분을 유지하면서, 거래 완료 시 약 58억 유로(세전)의 현금 수익을 확보하게 된다. 규제 승인 등 통상적인 조건을 거쳐 2026년 2분기 중 거래가 마무리될 예정이며, 이 사업부는 2024년 약 38억 유로의 매출을 기록했다. 전체 코팅 사업부(자동차 및 장식 페인트 포함)의 기업가치는 87억 유로에 이르며, 2024년 예상 EBIT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챗GPT 개발사 오픈AI가 초거대 인공지능(AI) 인프라 구축을 위한 대규모 프로젝트 ‘스타게이트(Stargate)’의 핵심 거점 중 하나로 아르헨티나를 낙점하며 현지 에너지 기업과 250억 달러(약 35조7000억원) 규모의 투자 의향서(LOI)를 체결했다. 이 사업은 아르헨티나 남부 파타고니아 지역에 500메가와트(㎿)급 데이터센터 구축을 목표로 하며, 라틴아메리카에서 진행되는 첫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오픈AI 공식 발표, Reuters, TechCrunch, CNBC, Wall Street Journal에 따르면, 스타게이트 프로젝트는 2025년 1월 오픈AI와 미국 오라클, 일본 소프트뱅크가 함께 발표한 AI 인프라 사업으로, 총예산은 5000억 달러(약 700조원)에 달하며 10기가와트(GW) 규모 데이터센터를 건립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현재 텍사스주 애빌린을 시작으로 미국 내 여러 주(텍사스, 뉴멕시코, 오하이오 등)에 7GW에 가까운 데이터센터 건설이 진행 중이며, 조만간 10GW 목표를 조기 달성할 전망이다. 이 사업을 통해 2만5000개 이상의 현장 일자리가 창출될 것으로 기대된다. 오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전기차 및 자율주행 기술의 선두주자 테슬라가 10월 9일(현지시각) 자사의 신개념 자율주행 로보택시 모델인 사이버캡(Cybercab)의 프로토타입을 텍사스 기가팩토리(Giga Texas) 충돌 테스트 시설과 캘리포니아 프리몬트 테스트 트랙에서 동시에 포착하며 개발의 중대 이정표에 도달했다. 이는 사이버캡이 지난해 “We, Robot” 이벤트에서 공개된 지 정확히 1년 만이다. Teslanorth, Teslarati, Driveteslacanada, Eletric-vehicles에 따르면, 두 테스트 시설에서의 동시 모습은 테슬라가 제품 양산 전 최종 검증 단계에 접어들었음을 의미한다. 오랜 기간 기가텍사스를 관찰해온 드론 촬영자 조 테그트마이어(Joe Tegtmeyer)는 “통상 충돌 테스트는 생산 착수 1~2개월 전에 실시된다”며 “과거 사이버트럭 개발 진행과 비슷하다면 양산 버전의 첫 시험 주행을 목격하기까지 한두 달 정도 남은 셈”이라고 분석했다. 가속화된 개발 일정과 생산 준비 테슬라의 과거 사례를 보면 프리몬트 테스트 트랙에서 차량이 목격된 후부터 양산까지 시간이 짧았다. 모델 Y의 경우 2019년 12월 테스트 트랙에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일론 머스크가 공동 설립한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스타트업 뉴럴링크가 N1 뇌 칩 임플란트에 대한 대기자 명단이 1만명에 달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뉴럴링크 사장 DJ 서오는 모건스탠리(Morgan Stanley)의 최근 보고서에서 "이 같은 대기 수요는 중증 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실험적 기술임에도 불구하고 폭발적인 관심을 반영한다"고 전했다. PCMag, The Independent, LinkCentre News & Headlines, FindArticles, practicalneurology.com, Fierce Biotech에 따르면, 뉴럴링크는 현재까지 임상시험 참가자 12명에게 N1 임플란트를 성공적으로 이식했으며, 2025년 말까지 25명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임상 참가자들은 하루 평균 7.5시간 동안 뇌-컴퓨터 인터페이스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 사용자는 주당 100시간 이상, 즉 하루 14시간가량 활용 중이다. 사용자인 놀란드 아버그는 이메일, 글쓰기, 뱅킹 및 가사 관리 등 일상 업무를 수행하며 꾸준한 활용도를 보이고 있다. 뉴럴링크의 핵심 경쟁력은 독자 개발한 수술 로봇에 있다. 이 로봇은 인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AI 보안 분야에서 충격적인 연구 결과가 나왔다. The Conference Board & ESGAUGE, SoSafe, Food & Water Watch, Grand View Research, DeepStrike의 보도와 글로벌 AI 연구기업 앤트로픽(Anthropic)과 영국 AI 보안 연구소, 앨런 튜링 연구소가 공동 발표한 최신 연구에 따르면,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손상시키는 데 필요한 악성 훈련 문서 수가 모델 크기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하며, 단 250개의 신중하게 조작된 문서만으로도 130억개 매개변수의 대형 모델조차 완전히 ‘오염’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데이터 중독 공격의 규모와 심각성 기존 보안 연구에서는 AI 모델 훈련 데이터의 일정 비율을 공격자가 통제해야 하는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번 연구는 “데이터 양이 많아질수록 공격 난이도가 높아진다”는 통념을 뒤집었다. 오히려 전체 데이터셋의 0.00016%에 불과한 250개의 ‘백도어 문서’만 있으면, 모델 전반에 악성 트리거("<SUDO>")를 삽입해 시스템이 비정상 동작하거나 민감 데이터 유출, 의미 없는 답변 생성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글로벌 IT 기업 메타(Meta Platforms, Inc.)가 자사 메타버스 사업부에 인공지능(AI) 활용을 전면적으로 확대해 업무 생산성을 5배 향상시키라는 강력한 지시를 내렸다. WIRED, Gizmodo, The Gaming Boardroom, 404 Media, CNBC, CropInk에 따르면, 비샬 샤(Vishal Shah) 메타버스 부사장은 사내 메시지를 통해 “5% 향상이 아닌, 5배 개선을 목표로 삼자”라며 AI를 일상 업무 도구로 반드시 자리잡게 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수십억 달러를 투입해왔음에도 대중적 성공을 거두지 못한 메타버스를 혁신하기 위한 전략적 전환점으로 평가된다. 메타는 엔지니어에 국한하지 않고 제품 관리자, 디자이너, 교차 기능 팀원 등 전사 직원 약 80%가 2025년 말까지 AI를 일상 업무에 통합하는 목표를 세우고, AI 학습의 날 등 전용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AI 활용 현황은 추적 대시보드를 통해 실시간 모니터링되며, 이용 촉진을 위해 게임화 요소를 도입한 ‘Level Up’ 시스템도 도입했다. Reality Labs 부서의 AI 도구 사용률은 현재 70%에서 7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세계적인 빅테크 기업이자 삼성전자의 영원한 맞수인 애플이 최고운영책임자(COO) 제프 윌리엄스의 2025년 말 은퇴를 앞두고 수년 만에 가장 큰 리더십 개편에 나섰다. 이에 따라 기업 내 건강 분야와 제품 개발 부문 운영 체계에 큰 변화가 예상된다. Bloomberg, Economic Times, The Verge, Apple Insider, Gadget Hacks, Yahoo Finance에 따르면, 먼저 건강 및 피트니스 부문은 서비스 책임자인 에디 큐가 지휘봉을 잡는다. 큐는 기존 건강 담당 심불 데사이와 피트니스 책임자 제이 블라닉 팀을 통합 관리하며, 2026년 출시를 준비 중인 AI 기반 맞춤형 건강 구독 서비스 ‘Health+’의 성공적 안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Health+는 AI 건강 코치가 영양, 운동, 수면 등 개인 맞춤형 권고를 제공하는 혁신적 서비스로, 기존 피트니스+ 서비스를 넘어 애플의 웰니스 매출 다변화에 핵심 역할을 담당할 전망이다. 이 서비스는 애플워치(Apple Watch), 아이폰, 타사 기기에서 수집되는 건강 데이터를 AI가 분석해 임상 지식을 바탕으로 실제 의사 상담과 유사한 개인 맞춤형 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