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영구임대주택의 90%가 스프링쿨러가 미설치돼 화재시 사망률이 일반 아파트에 비해 2배가량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10월 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신영대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군산·김제·부안)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자료를 인용해, 간이형 스프링클러 설치 대상인 영구임대주택 14만3167호 중 지난해 말까지 실제 설치가 완료된 세대가 단 6호에 불과하다고 밝혔다. 올해 설치 예정인 1만4935호를 포함해도 10곳 중 9곳은 여전히 화재에 무방비 상태다. 지난 10년간(2015~2024년) LH 임대아파트에서 발생한 화재 건수는 1262건, 이로 인한 사망자는 34명이며, 특히 영구임대주택에서 발생한 사망자가 18명으로 전체 임대주택 화재 사망자의 53%에 육박한다. 이 기간 임대아파트 화재 사망률은 연평균 2.54%로, 일반 아파트 평균 사망률 1.3%의 거의 두 배에 달해 취약계층이 주로 거주하는 임대주택의 화재 위험성이 심각한 실정이다. 화재 원인은 입주자 부주의에 의한 실화가 가장 많고, 전자제품 과열 및 노후 전기시설 등의 원인도 크게 기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5년간 임대주택에서 발생한 화재는 연평균 164건 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5년간 불법 면세유를 단기간에 빼돌려 판매한 뒤 세금을 내지 않고 폐업하는 이른바 ‘먹튀주유소’들이 675억원에 달하는 세금을 탈세했지만, 실제 추징된 금액은 고작 1% 수준인 6억7600만원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2025년 10월 9일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20년부터 2024년까지 먹튀주유소 적발 건수는 총 365건, 이에 부과된 세액은 675억원이 집계됐다. 연도별 적발 건수는 2020년 61건, 2021년 105건, 2022년 78건, 2023년 65건, 2024년 56건으로 나타났다. 부과된 세액 역시 매년 큰 폭으로 집행됐으나, 해마다 세금 단속이 이뤄진 것과 달리 실제 징수 금액은 극히 적었다. 연도별 부과세액은 2020년 114억8200만원, 2021년 178억3000만원, 2022년 202억3900만원, 2023년 112억2900만원, 2024년 67억2000만원이었다. 먹튀주유소의 주된 수법은 임차 형태의 휴·폐업 주유소를 이용해 3~4개월 동안 불법 면세유를 판매한 뒤 운영자가 잠적하는 것이다. 특히 세무상 대표자는 저소득층이나 영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강남 3구에서 방 한 칸 크기인 전용 10평대 소형 아파트 거래가 줄줄이 신고가를 경신하며 집값 상승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1~2인 가구 증가와 대출 규제로 인해 대형 평형 진입 문턱이 높아지면서 상대적으로 작은 면적 아파트를 선호하는 현상이 뚜렷하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KB국민은행 주택가격 동향에 따르면, 2025년 들어 서울 송파구 잠실동 '리센츠' 전용 27㎡(약 8평)는 지난 9월 16억원에 거래돼 평당 1억원을 넘겼다. 강남구 삼성동 '삼성힐스테이트2단지' 전용 38㎡(11.5평)은 15억9000만원에 거래됐으며, 40㎡ 전후 급격한 시세 상승세를 보였다. 특히 강남구 청담동 '청담자이' 전용 49㎡(14.8평)는 최근 27억3000만원에 거래돼 3.3㎡당 1억4000만원 수준에 이르는 초고가 소형 아파트도 등장했다. 한강 이남 11개구의 소형 아파트(60㎡이하) 평균 매매가는 2025년 6월 기준 10억1398만원으로 4년 만에 10억원 선을 회복했다. 서울 전체 소형 아파트 평균 가격도 8억5350만원을 기록하며 상승세를 이어가고 있다. 강남 서초 송파구 등 대표 소형 아파트 최고 거래가는 래미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아파트 월세 시장에서 1000만원을 넘는 초고가 월세 거래가 급증하며 화제가 되고 있다. 이 가운데 월세 4000만원에 달하는 아파트 거래도 확인돼, 한 달 월세로 일반 직장인 연봉 수준을 뛰어넘는 상황이 벌어지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 KB부동산 월간 주택 가격 동향, 2025년 서울 아파트 월세 거래 현황을 보면, 총 8만2800건의 계약 중 40.7%인 3만3707건이 월세 100만원 이상의 고가 거래였으며, 1000만원을 초과하는 월세 거래만 169건에 달한다. 특히 성동구 성수동1가 '갤러리아포레' 전용 241.93㎡(24층)는 6월 보증금 1억원에 월세 4000만원 조건으로 체결되어 서울 아파트 월세 최고가를 기록했다. 이어 용산구 한남동 '나인원한남' 전용 206.89㎡(7층)도 보증금 10억원에 월세 3000만원으로 2년 계약을 맺었다. 성동구 '아크로서울포레스트' 46층은 보증금 5억원에 월세 3700만원으로 갱신된 상태다. 서울 아파트 월세지수는 2025년 9월 기준 129.7로 역대 최고치에 이르렀는데, 이는 2015년 집계 시작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서울 월세 거래 중 절반 가까이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지역 대규모 재건축·재개발 프로젝트가 본격화되면서 레미콘(Ready-Mix Concrete) 공급난이 건설업계 핵심 이슈로 부상했다. 최근 노후 건축물 증가와 도시정비사업의 확대에 따라 레미콘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하지만 올 연말 서울 동남권 레미콘 공급 핵심 거점인 풍납동의 레미콘 공장이 문을 닫는다. 앞서 2022년에는 삼표 성수공장이 폐쇄됐다. 이에 따라 내년에는 서울 시내 레미콘 생산기지가 천마콘크리트 세곡공장과 신일씨엠 장지공장 2곳만 남게 된다. 2025년 공급 역대 최저…수도권에 의존 심화 한국건설산업연구원에 따르면, 2025년 서울 내 노후 건축물은 전년 대비 61.2% 증가한 수준으로 집계되며, 도시정비사업에 소요되는 레미콘 물량은 서울 소재 공장 총 생산량의 91.9%에 육박할 것으로 추산됐다. 현재 성수동 공장이 환경권 문제로 이미 철거 완료됐고, 풍납동 공장도 올 하반기 내 폐쇄가 예정되어 서울 지역 레미콘 생산기지는 사실상 2곳만 남게 된다. 레미콘 공급 공백으로 인해 건설 현장들은 경기도, 인천 등 외곽 수도권 공장에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다. 한국레미콘공업협회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서울 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분양 시장에 '최초', '최고', '최대'라는 타이틀을 내건 아파트 단지들이 속속 등장하며 수요자들의 이목을 끌고 있다. 가을 분양 시장이 본격 개장하면서 건설사들이 이러한 차별화 전략을 통해 경쟁력 확보에 나선 모습이다. 9월 30일 기준 부동산R114 자료를 보면 올해 10월 전국에서 2만8577가구(임대 포함)가 일반분양으로 공급된다. 이는 전년동기(‘24년 10월, 1만5868가구) 대비 약 85.74% 증가한 수치로 올해 월별 분양물량 중 가장 많은 물량이 예정되어 있다. 분양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보이면서 최초, 최고, 최대 등을 내세워 차별화를 강조한 단지들이 눈길을 끈다. 실제로 올해 청약 시장에서는 이러한 타이틀을 내세운 단지들이 우수한 성과를 거두며 그 효과를 입증했다. 8월 서울 이외 지역 최초의 ‘디에이치’ 브랜드 적용 단지로 공급된 ‘디에이치 아델스타’는 1순위 청약에서 153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8315건이 접수돼 1순위 평균 52.3대 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같은 달 강원도 원주시 최고 층 높이인 43층으로 공급된 ‘원주역 우미린 더 스텔라’는 583가구(특별공급 제외) 모집에 9425건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현대건설이 선보이는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이 오는 10월 9일(목) 견본주택을 개관하고 본격적인 분양에 돌입한다.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은 사당동에서 6년 만에 공급되는 새 아파트로 서울특별시 동작구 사당동 155-4번지 일원에 지하 4층~지상 25층, 11개 동, 총 931세대 규모로 조성된다. 이 중 전용면적 44~84㎡ 170세대를 일반에 분양한다. 일반분양 물량을 전용면적별 살펴보면 ▲44㎡A 27세대 ▲44㎡B 8세대 ▲49㎡A 53세대 ▲49㎡B 22세대 ▲49㎡C 6세대 ▲59㎡A 4세대 ▲59㎡B 5세대 ▲74㎡ 5세대 ▲84㎡A 29세대 ▲84㎡B 4세대 ▲84㎡C 1세대 ▲84㎡D 6세대로, 수요자들의 선택 폭을 넓힌 다양한 평형대로 이뤄져 있다. ‘힐스테이트 이수역센트럴’은 서초구 방배동과 맞닿은 사당동 중심 입지에 들어서 강남 생활 인프라를 가까이 누릴 수 있다. 지하철 7호선 이수역, 4호선 총신대입구역을 도보로 이용할 수 있으며, 한 정거장 거리에 2호선 사당역과 9호선 동작역이 위치해 서울 전역을 오가기에 유리하다. 강남순환도시고속도로, 경부고속도로 등 광역 교통망 접근성도 뛰어나 사당IC, 서초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서울 서초구 반포동에서 재건축을 통해 조성되는 ‘래미안 트리니원’ 아파트가 10월 일반분양에 나선다. 3.3㎡당 분양가는 8484만원으로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된 단지 중 역대 최고가를 기록하며, 전용 84㎡는 약 29억원, 전용 59㎡는 약 20억원에 분양가가 책정됐다. 이는 맞은편 ‘반포디에이치클래스트’ 30평대 매물이 50억원에 거래되는 현실과 비교할 때 최소 20억원 이상 시세 차익을 기대할 수 있는 ‘로또 분양’으로 주목받는다. ‘래미안 트리니원’은 반포주공1단지 3주구를 허물고 최고 35층, 17개 동, 총 2091가구 규모로 탈바꿈했다. 이 중 506가구가 일반분양 대상이며, 전용면적은 59㎡가 456가구, 84㎡가 50가구다. 지하철 9호선 구반포역과 인접해 교통 편의성도 뛰어나며, 반포한강공원과 인근의 성모병원, 반포초·중 등의 교육 및 생활 인프라도 우수하다. 실제로 인근 단지인 ‘래미안원베일리’ 전용 84㎡는 지난 6월 44억5000만원에, 최근 8월에는 71억5000만원에 거래돼 ‘래미안 트리니원’ 분양가 대비 두 배 이상의 시세 차이를 보인다. 이번 분양가는 건설비 상승을 반영한 국토교통부의 ‘기본형 건축비’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삼성물산 건설부문(이하 삼성물산)이 미국기계학회로부터 원자력 설계 분야 인증서를 취득하고 SMR(Small Modular Reactor, 소형 모듈 원자로) 밸류 체인(Value-Chain) 확대의 발판을 마련했다. 삼성물산은 미국기계학회(ASME, American Society of Mechanical Engineers)로부터 'ASME-N(원자력 배관 시스템 설계 분야)' 인증서를 신규 취득했다고 30일 밝혔다. ASME 인증서는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ASME 코드(Code) 요건에 따라 기자재를 설계·제작·설치할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인증해 주는 엄격한 품질 인증 제도다. 이 중 원자력 부문은 원자력 기기 설계·제조·설치·부품 제작 등 분야 별로 세부적인 검증과 심사를 통해 자격을 확인한 후 인증서가 발행되고 있다. ASME 인증을 통해 국제적으로 안전성과 품질을 인정받게 되며 국제 표준을 준수하고 수주 경쟁력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미국 및 일부 국가에서는 ASME 인증을 의무화 하기도 하며, 여기에 대응하기 위해 ASME 인증은 필수적이다. 삼성물산은 원자력 기기 설치 인증서인 ASME-NA 인증과 원자력 기기 부품 제작 인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우미희망재단(이사장 이석준)은 장애아동의 안전하고 건강한 교육환경 조성을 위해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을 대상으로 공간복지 지원사업 ‘2025년 리빙인하모니’를 실시했다고 29일 밝혔다. 교육부의 「2024년 어린이집 및 이용자통계」에 따르면 전국 178개소의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은 대부분 20년 이상 경과해 시설 노후화가 심각한 상태다. 정부 지원은 교육 프로그램과 인건비에 집중돼, 시설 보수는 기관에서 자체적으로 부담해야하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우미희망재단은 사회복지법인 따뜻한동행과 함께 노후화된 장애인 교육시설의 환경을 개선하는 사업을 추진했다. 올해는 전국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 5곳을 지원했으며, 특히 아이들이 자주 이용하면서도 안전사고 위험이 큰 놀이터를 새롭게 정비해 더 안전하고 편안한 공간으로 바꿨다. 우미희망재단 이춘석 국장은 “많은 기관에서 지원을 요청할 만큼 현장의 환경이 열악한 곳이 많았다”며 “아이들에게 안전하고 쾌적한 배움터를 마련하는 의미 있는 사업인 만큼 앞으로도 지원을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따뜻한동행 이광재 상임대표는 “전국의 많은 장애아 전문 어린이집이 노후화 문제로 아이들의 안전을 걱정하고 있다”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