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9.13 (금)

  • 흐림동두천 24.1℃
  • 흐림강릉 22.2℃
  • 흐림서울 25.0℃
  • 구름많음대전 25.3℃
  • 박무대구 26.8℃
  • 박무울산 27.0℃
  • 구름많음광주 27.1℃
  • 맑음부산 28.8℃
  • 맑음고창 27.7℃
  • 맑음제주 27.6℃
  • 흐림강화 25.1℃
  • 흐림보은 23.6℃
  • 구름많음금산 24.7℃
  • 구름조금강진군 25.0℃
  • 구름조금경주시 26.5℃
  • 구름조금거제 27.2℃
기상청 제공

Opinion

[지구칼럼] '백중'을 아시나요?…근로자의 날·농민들의 추석·천도재(薦度齋)·동양의 할로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24절기에서 초복, 중복, 말복, 경칩, 처서 등은 잘 알고 있다. 하지만 생소하지만 의미있는 세시풍속이 있다. 바로 백중이다. 오늘날 대다수의 사람들은 백중을 중요한 명절이라 여기지 않는다.

 

백중은 24절기 중 하나인 백로(白露)와 추분(秋分)사이에 있다. 한여름이 저물고 가을이 점점 깊어지는 시기로, 낮과 밤의 길이가 점점 더 비슷해지는 추세를 보인다. 날씨가 서서히 시원해지고 가을의 시작을 알리는 중요한 시기다. 농사일을 비롯한 일상 생활에서는 '백중'을 기준으로 농작물의 수확이나 가을 작업을 준비하는 시기다.  

 

백중날, 백중(百中 또는 百衆)은 백종(百種), 망혼일(亡魂日), 중원(中元)이라고도 하며, 음력 7월 15일이다. 참고로, 중국에서는 음력 7월이 귀신의 달인 귀월이며 중국 남부지방에서는 음력 7월 14일이 백중이다. 우리나라에서 백중은 경상북도 성주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지내는 세시풍속에서 유래됐다.

 

‘백중’이란 명칭은 음력 7월 15일이 24절기의 중심이라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또 일백 백(百) 자에 가운데 중(中) 자를 써서 백가지가 모두 중앙에 모인다는 의미도 있다. 여기서 일백 백(百)은 단순히 숫자 100을 뜻하는 것이 아니고 많은 수를 뜻한다.

 

또 이 무렵에 과실과 채소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백 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고 해서 백종(百種)이라 불려졌다. 백중날이 되면 대다수 농민들은 음식을 장만해서 나누어 먹으면서 즐겁게 놀았다.  또한, 망혼일이라고부르는 것은 여러 가지 음식을 차려서 조상의 혼을 위로했기 때문이다. 2024년 백중은 8월 18일이다.

 

 

백중의 의미는 크게 세 가지.

 

첫째, 백중(百中)은 농민들이 세벌 김매기를 마치고 휴식을 취하는 날이다. 이무렵 풍성한 과일과 채소를 수확해놓고, 농민들은 음식과 술을 나누어 먹으며 하루를 보냈다. 주인이 음식을 마련해 머슴을 위로하는 잔치를 베풀기도 하고, 머슴에게 돈을 주기도 했다.

 

농민에게 백중은 노동의 고단함을 달래고 잠시 쉬는 휴식의 의미가 큰 날이다. 하지만 제주도 지방에서는 오히려 바다에 나가 일을 많이 한다. 백중날에 살찐 해산물이 많이 잡힌다고 믿기 때문이다. 이날 잡힌 해산물을 가지고 한라산에 올라가 산신제를 지냈다. 머슴들은 그 돈으로 시장에 가서 음식을 사 먹고 물건도 샀다. ‘백중장(百中場)’이라는 말이 생겨난 것도 이것 때문이다.

 

그 의미로 따지면 일종의 근로자의 날이며, 농민들의 추석인 셈이다. 

 

둘째, 백중은 유독 종교와 관련이 깊다. 도교는 물론 불교와도 인연이 깊다.

 

백중은 중원이라고도 하는데, 중원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삼원(三元) 중 하나다. 상원, 중원, 하원으로 나누어 상원은 음력 1월 15일, 중원은 음력 7월 15일, 하원은 음력 10월 15일이다. 하늘의 선관(仙官)이 일 년에 세 번 인간의 선악을 살핀다고 하는데 이것을 원(元)이라 했다. 

 

백중날(중원)에는 선관이 선악을 살피기 위해 내려올 때 지옥문을 열어놓고 내려온다고 전해진다. 지옥에 있던 모든 조상들이 이 날 나오기 때문에 이 날 제사를 지내면 그 조상님들이 복을 주고 간다고 믿었다.

 

백중은 불교와도 깊은 관련이 있다. 불교 신자 상당수는 절을 방문하고, 절에서도 큰 제사를 많이 지낸다. 백중날에 사찰에서는 하늘로 승천하지 못한 조상 영혼들에게 음식을 대접하는 의식을 치른다. 조상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음식·과일·술을 차려놓고 천신(薦新)을 하였으므로 '망혼일'이란 명칭으로도 불린다.

 

승려들은 이날 각 사찰에서 천도재(薦度齋, 돌아가신 분들이 생전에 지어놓은 악업이나 부정적인 행동들을 부처님의 법력을 빌어  떨쳐버리고 깨끗하고 맑은 마음을 회복해 좋은곳에 태어나기를 발원하는 의식)를 올리며 농촌에서는 차례를 지내고 산소를 찾아 벌초와 성묘를 한다.

 

불가에서의 백중은 목건련의 전설과 관련이 있다. 석가모니 부처님의 제자 중 신통력이 제일이었던 목련존자는 어머니가 죽어서 아귀도에 빠진 것을 알았다. 목련존자의 부탁과 석가의 신통력으로 어머니는 개의 몸으로 태어났다. 

 

석가는 "매년 음력 7월 15일에 승가내 비구와 비구니들에게 오곡백과와 다양한 음식을 나눠주면 과거·현생의 7대 부모까지 큰 복을 받을 것"이라고 알려줬다. 이후 부유한 사람들은 사찰에 음식을 시주했고, 일반인은 돌아가신 부모를 기리며 음식을 나누어 먹었다.

 

불교에서는 '백중날 꼭 제사를 지내야 하는 사례로 다음과 같은 경우를 든다. ▲제사를 지내다가 안 지내는 분들(공줄이 끊어진 집) ▲다른 종교로 전향하신 분들 ▲객사 등 안 좋게 돌아가신 조상이 계신 분들 ▲전쟁이나 다른 사유로 생사여부를 모르는 분들 ▲평상시 제사를 지낼 수 없는 분들 ▲결혼하지 못하고 돌아가셔서 자식이 없는 분들 ▲조상의 제삿날과 이름을 모르는 경우 ▲집안에 아픈 사람 때문에 제사를 지내지 못할 경우 ▲제삿날을 놓친 경우 등이다.

 

 

세째, 백중은 달이 가득 차는 날이란 의미로 동양의 할로윈이라 불린다. 달이 가득 차 하늘의 문이 열려 혼령이 출몰한다 해서 ‘귀신의 날’, ‘망혼일’로 불렸다.

 

『동국세시기(東國歲時記)』의 기록에 따르면, 백중은 스님들이 우란분(盂蘭盆, 범어로 거꾸로 매달려 고통을 당하고 있는 중생)을 위해 우란분회(盂蘭盆會, 불교에서 지옥과 아귀보를 받은 중생을 구제하는 제사)를 여는 큰 명절이다.

 

불교가 융성했던 신라, 고려 시대에는 일반인까지 참석해 백중을 대신해 우란분회를 열었지만, 조선 시대 이후로는 사찰에서만 행해져서 오늘날 대한민국에서는 그 풍습이 많이 소멸됐다. 일부 지방에서와 사찰에서는 백중제를 지낸다. 

 

반면 중국과 일본 그리고 베트남에서는 아직도 비교적 백중날을 성대하게 지내는 관습이 있다. 중국에서는 악귀를 쫓는 제사를 크게 지내는데, 추석 한 달 전의 행사로 유명하며, 이는 서양에까지 소개되어 영어권에서도 'Ghost Festival' 등의 이름으로 차이나타운 등지에서 행해져 상당히 그 이름이 널리 알려져 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2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마음공간] "나는 심장이 없어~" NO, "나는 마음이 없어~" YES

여러모로 모두 힘든 시기인 듯 합니다. 예전엔 다양한 안부였는데 요즘은 한문장이 옵니다. “잘 살고 있냐?” 전 그런 아류의 질문에 이렇게 현문우답(우문현답?)으로 답하지요 “연명하고 있습니다” 열에 아홉은 웃어 넘기시지만 그 웃음들이 유쾌하게 들리기만 하진 않았습니다. 매년 연말이 되면 교수신문에서 올해의 사자성어를 선정하곤 하죠. 하나의 트렌드가 됐고 기다려지기도 하는데 신기하게도 그 선정되는 네글자의 조합은 흔히 들었던 문구 보단 조금 현학적인 표현이 많았던 걸로 기억합니다. (모 나쁘단 건 아니고 제가 더 유식해져야 겠습니다) 아주 쉬운 누구나 들어본 단어로 제게 선정해 보라고 하면 전 올해 단연코 이 두개의 사자를 뽑고 싶습니다. 바로 ‘오비삼척’ 과 ‘동상이몽’ 입니다. 내 코가 석자고, 함께 있지만 다 각자의 주판알을 튕기느라 바빠 보이네요. 인공지능(ai) 전성시대죠. 제가 몸담고 있는 일터도 이 사업을 영위중에 있고, 고도화를 위해 매진중입니다. 우리회사 제품이 아니라 존심이 상하지만 그래도 현재 제일 잘나가고 있다는 챗gpt에 ‘인생’이 뭐냐고 물어보면 (뭐라고 나오겠지만) 제 챗gpt에 물었다고 하면 ‘쳇바퀴’라고 말씀 드릴 수 있습니다.

[공간탐구] 이도·이산·이유·이혼 아시나요?…3개 이름 가진 조선 왕, 진짜 이름과 외자 쓴 이유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조선 왕조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며 건국했다. 1392년 조선건국 태조를 시작으로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존속됐다. 조선 국왕에게는 세 가지 공식 이름이 주어졌다. 태어나며 작성된 이름은 휘라고 했고, 사후에 묘호와 시호가 헌정됐다. 조선 국왕은 대개 묘호로 불린다. 조선 왕조 계보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이라는 것은 임금의 묘호고, 진짜 이름은 바로 휘다. 묘호는 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칭송하고자 붙인 호칭이고, 위의 표에서 묘호 옆에 있는 것이 진짜 이름이다. 한자 문화권의 군주제에서는 임금의 이름에 사용된 글자의 사용을 기피했는데, 이를 피휘라 한다. 생전에는 물론 사후에도 일반 백성들의 이름에 임금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금기시됐다. 사후에는 묘호와 시호 등의 존호를 따로 지어 추모했으며, 묘호는 사후 해당 국왕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명칭으로 사용됐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조선의 왕들의 실제 이름 모두 외자(성씨를 제외하고 이름이 한 글자인 것. ‘혼자인’, ‘하나인’의 뜻을 가진 접두사 ‘외-’에 글자를 의미하는 자(字)가 협쳐졌다)다. 고려시대도 마찬가지

[버티go의 show pen hour 탐구] (8) “자기 외에는 관심이 없다"

좋아하는 형이 있습니다. 십여년 전 업계에서 같은 일을 하다 만났고, 현재까지도 안부를 주고 받으며 시간이 나면 술잔도 기울이고 대소사도 함께 나누며 인간적인 정을 이어가는 중입니다. 이 형이 지난해 말 안타깝게도 직장으로부터 권고사직을 당했습니다. 안타까웠고, 함께 분노했고, 같이 슬퍼하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사실 이 건 그 형의 일이었습니다. 50대 초반에 겪은 난데없던 건 분명하나 엄밀히 말해 형이 당면한 형 일이었죠. 시련을 앞에 두고, 고민을 반복하던 형이 내린 결론은 ‘초연해지자~ 비교하지 말자~ 내 행복을 추구하자~ 그러기 위해 마음을 비움을 넘어 아예 없는 마음을 갖자’는 일명 ‘무심’을 외쳤습니다. 이번 챕터 하우어 형님의 말씀은 일반 군중들은 너도 그들도 아닌 오직 나외에 인간은 관심이 없다는 명언입니다. 기독교의 십계명 중 제1계명이 ‘나 외에 다른 신을 두지 마라’로 기억하는데, 신(god)의 절대론을 외치는 건 아니지만 가장 상대적인 인간이 가장 주관적이고 개인화에 몰두하고 있다는 그의 주장에 저는 완전 동의합니다. “대부분은 자기 자신 외에는 그 어느 것에도 관심이 없다”는 불변의 진리. 사실은 이타주의를 외치면서도 속내는 이기주

[방구석은 우주] ‘조커’ 뒤틀어진 사회 속 일그러진 얼굴

중년 아재의 삶은 고달픕니다. 산업 불황기 시대 속에선 팀장이나 부장이 되었다고 일이 줄지 않습니다. 오히려 더 많아진 것 같습니다. 라떼 시절 보던 선배님들은 가장으로서 회사 상급자로서 나름 멋과 여유를 갖고 있는 것 같았는데, 지금 제 모습은 그렇지도 않습니다. 밥벌이를 하려 애쓰는데 더 피곤하고 지칩니다. 자녀가 있는 이는 학비 지원에 라이딩까지 챙겨야 하지요. 먹고 살기 위해 홀로 사무실에 있는 날은 늘고, 안팎으로 쑤셔대는 몸에 먹는 약이 늘고, 의미없이 공허하게 지나가는 날도 늘어갑니다. 최근 친한 친구가 회사를 옮겼는데, 급여가 조금 변한 것 말고는 나아진 것 없이 더 힘들고 우울해졌다고 하더군요. 이렇게 살아가기 힘든 걸 보면 이 사회에 큰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퇴근 후 턴테이블에서 흘러나오는 '삐에로는 우릴 보고 웃지'를 듣다 문득 ‘조커’가 떠올랐습니다. ‘조커(Joker)’는 2019년 가을 “같이 관람하자"는 지인이 계셔서 극장에서 본 작품입니다. 배트맨 영화에 나오는 악당, 사이코패스 '조커'의 등장 배경을 다룬 작품이지요. 오랜만에 다시 접하니 감회가 새롭습니다. 광대 삐에로 일을 하며 코미디언이 되기를 꿈꾸는 아서. 하지만 그의

[버티go의 show pen hour 탐구] (7) 최악이 어찌보면 좋다고?

오늘은 점심을 스킵했습니다. 가을을 알리는 하늘은 공활하고 맑디 맑은데 가슴 한 켠이 허전해서 그 공허함을 끼니가 아닌 고독으로 채웠습니다. 청승맞나요? 그치만 아주 살짝 이 초라함이 제겐 차라리 행복감으로 다가온 걸 보면 역시 가을은 ‘남자의 계절‘이 맞나 봅니다. (미리 한번 느껴보는 척 해봤습니다) 위에서도 언급한 세 글 자 바로 ’차라리‘ 하우어 형님께선 “차라리 나쁜 가능성을 생각의 대상으로 삼아라”란 가르침을 주십니다. 반대로, 오히려, 기왕 등의 의미인 ’차라리’ 우리는 살아가면서 이 차라리를 많은 순간 자기도 모르게 맞이했다 흘려보낸 후 후회막급과 함께 되새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최상은 차치하고 ‘최악’을 생각하라는 우리 아르투어 쇼펜하우어님은 너무 단순 명쾌한 정의지만 기대에 못미쳐 좌절할 바에는 차라리 나쁜 가능성을 우리 생각의 대상으로 사고의 객체로 삼는 편이 훨씬 낫다고 꼬집어 주셨습니다. 저는 사실 좀 헷갈립니다. 일어나지 않은 일들에 대해 걱정을 하지 말라시더니 이제는 최악을 가정해 생각하라고 하시네요. 얄밉습니다. 얄궂습니다. 대체 이 분의 철학은 그때 그때 순간 순간 달라지는 것일까요? 잠시 거친 호흡을 중단하고 마음의 평정을 유

[지구칼럼] '상주 곶감' 관찰·성찰·통찰…삼백·경상감영·전국6위·햇곶감·점유율60%·호랑이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봄볕은 며느리를 쬐이고 가을볕은 딸을 쬐인다' '배 썩은 것은 딸을 주고 밤 썩은 것은 며느리 준다' '딸에게는 팥죽 주고 며느리에게는 콩죽 준다' '죽 먹은 설거지는 딸 시키고 비빔 그릇 설거지는 며느리 시킨다' 이 속담들은 며느리도 자식이라지만 직접 낳은 피붙이인 제 딸과 같을 수는 없다. 아무래도 며느리보다 딸을 더 위하게 되는 인지상정을 표현한 것이다. 게다가 봄가을 날씨를 통해 그만큼 가을볕이 좋다는 의미도 담고있다. 하지만 곶감에서는 '겨울 곶감 보배, 가을 곶감 찬밥'이라는 말이 어울릴 듯하다. 그 이유를 알아보자. 설날과 추석에는 보통 한우, 과일, 곶감 등 먹거리 선물이 세대와 시대를 불문하고 환영 받는 명절 선물의 스테디 셀러다. 명절 단골선물 곶감하면 생각나는 지역이 상주다. 전국 곶감 최대 생산지인 상주 곶감은 인지도가 가장 높아, 상주곶감의 전국 점유율이 60%에 이른다. 영동 곶감이나 동상 곶감 등의 라이벌도 있는데, 이런 곳을 비롯해 일부에서는 상주에서 감을 떼가서 만드는 경우가 많다. 상주는 삼백(三白)의 고장이다. 흰 쌀, 누에고치 그리고 곶감이 유명하기 때문이다. 예전의 명성 그대로 상주 쌀은 전

[버티go의 show pen hour 탐구] (6) 걱정이란 걱정까지 하는 '격정의 겁쟁이'

얼마 전 걱정은 걱정인형에게 주고 걱정 없이 살라는 cf를 만들어 히트 친 모 보험사가 있던 걸로 기억합니다. 언어유희지만, 영어로 ‘걱정하지 말라’는 ‘don’t worry’를 보며 ’돈 걱정해’라고 풀이해 주변의 웃음과 원성을 동시에 산 적이 있지요. 지난 주말부터 나름의 큰(?) 걱정거리가 생겨 골머리 아픈 요즘인데 오늘 챕터가 딱 ‘지금 내 앞에 있는 것에 익숙해져야 한다’는 것이고 결국 걱정이 넘치는 당신에게 보내는 글이라 그 누구보다 와 닿았습니다. 다시 반복하지만 염세/허무주의로 잘 알려진 쇼펜하우어 형님이란 선입관에 ‘걱정은 많이할수록 좋다‘라고 외치실 줄 알았는데 결론적으론 ’사람들이여, 걱정하지 말지어다~‘ 였습니다. 하우어 형님 왈 “현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필요이상으로 걱정이 많다”는 것이었고 “충분한 능력과 지식을 갖췄음에도 불구하고, 바로 그 쓸데없는 걱정 때문에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성과를 낼 것이며 이는 악순환의 고리일 것”이란 요지였습니다. “인간은 인간이기 이전에 동물이고, 동물의 입장에서 바라보면 걱정을 하고 경계를 하는 것은 당연한 것”이며 그래서 인류라는 종족은 번식을 계속하며 이어지는 지속가능한 삶을 살고 있다고 하셨습

[마음공간] ‘잠깐’이라는 시간의 재정의

“기다릴 줄 아는 지혜를~ 사람들은 패배라고 하지…..“ 한때 유행했던 유행가 가사 중 한 소절 입니다. 무심에 비로소 가까워 진 사람들은 말합니다. ”(좀) 듬직하게 기다리시죠! 뭘 그리 급하게 매일 미리 재단하고 걱정하나요?“ 그러더니 ”물이 끓는 그 순간을 못 참아서 식은 물일때 컵라면에 붓고 설익었다고 후회하지 맙시다“라고 덧붙입니다. 그렇습니다. 조금만 참으면 아주 맛난 라면을 먹을 수 있었을텐데 그 잠깐(?)을 못 기다려 우리는 설익은 라면을 맛나다고 치부하며 만족하는 모양새를 띄웁니다. 여기서 잠깐(!) 그 잠깐의 정의가 중요하지 않을 수 없는데요… 이 ‘잠깐’이란 녀석은 사람에 따라 다르게 느껴지기에 재정의할 필요가 있습니다. 우선, 산술적 의미로 몇일 내지 몇개월 일까요? 넓고 길게 보면 몇년 일까요? 이도 저도 아니라면 어느 정도를 일컫는 걸까요? 인생이 긴 것 같아도 짧고, 희극 같다가도 비극이라지만 정말 잠깐이라 함은 절대적이 아닌 상대적 느낌치 입니다. 따라서 누군가에겐 수 년일 수도 있고, 어떤 이에겐 수 개월일 수도 아니 그 이하일 수도 있겠지요. 그리고 다음 결과물을 받야야 하는 그 직전까지의 시간이 바로 ‘잠깐’일 것입니다. 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