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간차트'검색결과 - 전체기사 중 294건의 기사가 검색되었습니다.
상세검색[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삼성 그룹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은 400조원 내외 수준을 보일 것으로 예측됐다. 이는 지난 2022년 418조원으로 가장 높을 때와 비교하면 두 번째로 높은 그룹 매출 규모다.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삼성전자와 삼성생명을 포함해 7곳이 작년에 매출 10조 클럽에 가입했는데, 이중 삼성전자 매출이 최근 1년 새 20% 넘게 오를 때 삼성SDI는 15% 넘게 떨어져 희비가 엇갈렸다. 매출 1조 클럽 중에서는 삼성중공업이 재작년 대비 작년 기준 24% 이상 매출 덩치가 가장 많이 성장해 눈길을 끌었다. 특히 삼성전자의 작년 영업이익률은 매출 외형이 비슷한 지난 2022년 대비 절반 수준에 그쳐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것이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기업분석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일 삼성 그룹 창립 87주년을 맞이해 ‘주요 삼성 계열사 2024년 매출 현황 조사’에서 이 같은 결과를 발표했다. 삼성 그룹의 공식 창립기념일은 매년 3월 22일이다. 조사 대상 기업은 지난해 5월 공정거래위원회에 보고된 60곳이 넘는 삼성 계열사 중 이달 19일까지 감사보고서와 사업보고서 등을 통해 매출 확인이 가능한 21곳이다. 이번에 조사된 21곳은 삼성 그룹 전체 매출의 95% 이상 차지할 정도로 핵심 기업들이 다수 포함됐다. 매출은 별도(개별) 재무제표 기준이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삼성전자 등 이달 19일까지 파악 가능한 주요 삼성 계열사 21곳의 작년 한 해 매출 규모는 388조원이었다. 아직 공시되지 않은 40여 곳 계열사까지 합치면 그룹 전체 매출 규모는 397조~402조원 사이가 될 것으로 연구소 측은 예상했다. 이는 지난 2022년 삼성 국내 계열사 전체 매출이 418조원으로 최고치를 찍었을 때와 견주면 역대 두 번째로 높은 매출 체격이다. 특히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는 별도 재무제표 기준 작년 매출은 209조원으로, 2022년 기록한 211조원에 거의 근접하며 200조원대 매출을 회복했다. 지난해 연결 기준 매출도 300조8709억원으로, 2022년 302조2313억원 다음으로 높았다. 지난해 삼성전자의 별도와 연결 기준 매출 모두 역대 최고를 기록했던 2022년 수준과 거의 비슷한 수준으로 높아진 것. 매출 성적만 보면 실적 자신감을 회복한 셈이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삼성 그룹 내 지난해 기준 매출 10조 클럽에는 7곳으로, 2023년과 기업 숫자가 같았다. 작년 기준 삼성 그룹 내 매출 10조 클럽에는 삼성전자를 제외하고 ▲삼성생명보험 27조174억원(23년 25조3098억원) ▲삼성디스플레이 25조4014억원(27조833억원) ▲삼성물산 22조9132억원(24조4736억원) ▲삼성화재 21조9664억원(20조3289억원) ▲삼성SDI 16조978억원(19조7990억원) ▲삼성증권 12조9366억원(12조7852억원) 순으로 파악됐다. 한 가지 눈에 띄는 점은 재작년 대비 작년 매출을 비교해보면 삼성 그룹 내 매출 넘버2가 1년 새 바뀌었다는 점이다. 재작년에 삼성 계열사 중 매출 2위였던 삼성디스플레이는 지난해는 3위로 한 단계 내려앉은 대신, 삼성생명은 같은 기간 3위에서 2위로 상승했다. 작년 매출이 1조 클럽에 가입한 주요 삼성 계열사 중 2023년 대비 2024년 기준 매출이 10% 이상 뛴 곳은 7곳으로 조사됐다. 이 중에서도 삼성중공업 매출이 7조9072억원에서 9조8674억원으로 24.8%나 괄목할 정도로 증가했다. 연결 기준 매출로 살펴보더라도 8조94억원에서 9조9030억원으로 23.6%나 상승했다. 삼성전자 역시 별도 기준 매출이 170조3740억원에서 209조522억원으로 22.7% 상승하며 20%대 매출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삼성전자는 재작년 대비 작년 별도 기준 매출액 증가액이 38조6781억원 이상 불어나 삼성 계열사 중에서는 가장 높았다. 연결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 증가율은 8.1%(258조9354억원→300조8709억원) 수준을 기록했다. 다음으로 ▲삼성바이오로직스 19%(23년 2조9387억원→24년 3조4971억원) ▲호텔신라 18.1%(2조1527억원→2조5428억원) ▲삼성웰스토리 11.9%(2조5936억원→2조9027억원) ▲삼성전기 11.8%(6조7958억원→7조5985억원) ▲제일기획 11.6%(1조2440억원→1조3879억원) 순으로 최근 1년 새 매출 외형이 10% 넘게 증가했다. 이외 ▲삼성화재(8.1%) ▲삼성E&A(7.7%) ▲에스원(7.5%) ▲삼성생명(6.7%) ▲삼성SDS(5.4%) ▲삼성전자판매(5.1%) 등은 최근 1년 새 매출이 5% 이상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삼성SDI는 재작년 19조1063억원이던 별도 기준 매출은 작년에는 16조978억원으로 매출 덩치가 15.7%나 쪼그라들었다. 이 회사의 연결 기준 매출은 더 하락했다. 2023년만 해도 21조4367억원이던 것이 2024년에는 16조5922억원으로 22.6%나 뚝 떨어졌다. 이외 최근 1년 새 매출이 5% 넘게 떨어진 기업에는 ▲삼성물산 6.4%↓(23년 24조4736억원→24년 22조9132억원) ▲삼성디스플레이 6.2%↓(27조833억원→25조4014억원) 등으로 파악됐다. 매출과 별도로 삼성 그룹의 핵심 기업인 삼성전자의 최근 1년 영업손익도 재작년 11조원 넘게 적자를 보던 것에서 작년에는 12조3610억원 이상 흑자로 돌아섰다. 하지만 지난 2015년부터 2024년 사이 10년 중 2023년 영업손익률이 6.8% 마이너스를 기록했던 때를 제외하면, 작년에 가장 낮은 영업이익률을 보인 것으로 확인됐다. 별도 기준 삼성전자의 매출 대비 영업이익 비중을 의미하는 영업이익률은 지난해 기준 5.9% 수준이었다. 이는 작년과 비슷한 매출 외형을 기록했던 2022년 12% 수준과 비교하면 절반 정도에 그쳤다. 지난 2022년 당시 매출은 211조8674억원인데 영업이익은 25조3193억원이었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도 2023년에 일시적으로 2.5%로 크게 낮아졌던 때를 제외하면, 지난해 영업이익률은 10.9%로 최근 10년 중 최하위를 보였다. 2022년과 2024년 매출 규모는 비슷했지만, 별도와 연결 기준 영업내실은 큰 차이를 보인 셈이다. 참고로 지난 2018년에 별도와 연결 기준 영업이익률은 각각 25.6%(별도 매출 170조3818억원·영업이익 43조6991억원), 24.2%(연결 매출 243조7714억원·영업이익 58조8866억원)로 25% 내외 수준을 보였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삼성 매출이 500조원 시대를 열려면 현재의 사업구조로는 향후 5년 내 달성은 한계가 있어 괄목할만한 신사업 육성이 절실하다”며 “삼성으로서는 매출 외형 성장과 함께 고부가가치의 영업내실을 탄탄히 다져나가는 것도 각 계열사 CEO에게 중요한 과제로 남겨졌다”고 말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교보문고가 3월 21일 ‘세계 시의 날(World Poetry Day)’을 맞아 시 독자들의 흥미로운 독서 데이터를 공개했다. 세계 시의 날은 1999년 유네스코(UNESCO) 총회에서 제정된 기념일로, 인류가 가진 시 문학의 가치를 기념하고 시의 중요성을 널리 알리기 위해 지정됐다. 교보문고는 세계 시의 날을 맞아 시 독자 분석 데이터를 공개하며, 연령별 시 독서 트렌드와 인기 시집을 분석했다. 2024년 교보문고 온라인에서 10대~60대 남성과 여성 모두에게 가장 많이 판매된 시집은 한강의 『서랍에 저녁을 넣어 두었다』가 1위를 차지했다. 한강의 시집은 감성적인 문체와 깊이 있는 주제로 많은 독자들의 선택을 받으며 2024년 가장 많이 판매된 시집으로 기록됐다. 또 2024년 한 해 동안 교보문고 온라인에서 시집을 구매한 독자는 2030여성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가장 시집 판매가 많았던 시인으로는 나태주, 윤동주, 류시화, 한강, 박준 順이었다. 나태주는 감성적이고 서정적인 언어로 독자들에게 위로와 따뜻함을 선사하며, 류시화는 명상적이고 철학적인 시로 오랜 기간 독자들의 사랑을 받고 있다. 한강은 소설가로도 활동하며 깊이 있는 문장과 시적 감각을 보여주었으며, 박준은 현대적 감수성을 담은 시를 통해 젊은 독자들에게 많은 인기를 얻고 있다. 또 10년간 시집을 가장 판매한 출간한 출판사는 문학과지성사, 문학동네, 지혜 順으로 나타났다. 문학과지성사는 기형도, 김혜순 등 한국 현대시를 대표하는 시인들의 작품을 다수 출간하며 전통적인 시 독자층을 확보했다. 시집 출간 트렌드 또한 변화하고 있다. 지난 10년간 시집 출간 종수는 2015년 5001종에서 2024년 13611종으로 약 172%가 증가했으며, 기존의 전통적인 형식에서 벗어나 산문과 결합한 시집, 감각적인 디자인을 강조한 시집 등이 출간되면서 독자들의 관심을 끌고 있다. 또한 SNS와 온라인 마케팅을 적극 활용한 시집들이 독자들에게 빠르게 확산되면서, 짧은 시를 중심으로 한 공유 문화가 형성되고 있는 것도 눈에 띄는 변화다. 한편 교보문고는 세계 시의 날을 맞아 고선경, 박연준, 박참새, 서윤후, 이장욱, 한영원 시인과 평론가 소유정이 함께하는 북토크 ‘문전성詩’를 진행한다. 북토크는 3월 22일부터 4월 12일까지 매주 한 차례씩 총 4회에 걸쳐 진행되며, 각 세션에서는 시 낭송과 시 창작 배경에 대한 이야기, 독자와의 질의응답이 이루어진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5월 황금연휴를 앞두고 여행지 선호도에도 변화의 조짐이 일어나고 있다. 유럽과 베트남, 중국 선호도가 두드러진 가운데 일본은 엔화 강세와 맞물려 신규 수요가 둔화하는 모습이다. 교원투어 여행이지는 5월 1일부터 5월 6일까지 엿새간 여행 예약 데이터(출발 기준)를 분석 결과를 토대로 ‘황금연휴 해외여행 트렌드’를 발표했다. 5월에는 근로자의 날(1일)을 시작으로 어린이날·부처님오신날(5일)과 대체공휴일(6일)이 예정돼 있다. 주말을 포함하면 연차를 쓰지 않고도 4일을 쉴 수 있는 데다, 연차 하루 활용 시 최장 6일을 쉴 수 있는 황금연휴가 완성된다. 이번 5월 황금연휴 여행 트렌드는 크게 ▲장거리 여행 선호 ▲동남아 가족 단위 여행 수요 집중 ▲중국 풍경구 여행지 강세 ▲일본 약세 등으로 요약할 수 있다. 먼저 유럽이 전체 예약의 21.4%를 차지하면서 황금연휴 인기 여행지로 꼽혔다. 연휴에 연차를 붙여 장거리 여행을 떠나려는 수요가 늘어난 데 따른 결과로 분석된다. 높은 선호도를 자랑하는 서유럽과 각종 여행 예능 프로그램에 소개되면서 관심이 늘고 있는 북유럽 예약 비중이 높게 나타났다. 2위는 16.1%를 차지한 베트남이 가족 단위 여행 수요에 힘입어 그 뒤를 이었다. 어린이날을 맞아 자녀를 동반한 가족 단위 여행객이 주로 나트랑과 다낭, 푸꾸옥 등이 있는 베트남을 선택한 결과로 풀이된다. 이 가운데 나트랑과 푸꾸옥은 자유여행 상품 예약 비중이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고급 리조트에 머물면서 휴양을 즐기려는 가족 단위 고객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 무비자 입국 시행 이후 견조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는 중국이 13.3%로 3위를 차지했다. 특히, 장가계와 백두산이 수요 증가를 견인했다. 따뜻해진 날씨와 맞물려 풍경구 관광 수요가 늘어난 덕분이다. 동남아 지역이 황금연휴 가족 단위 여행 수요를 빨아들이면서 상해, 청도, 대련 등 도시 여행지 비중은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베트남과 함께 동남아 인기 여행지인 태국이 4위(12.7%)를 기록했고, 다양한 연령층이 선호하는 대만이 5위(7.6%)에 올랐다. 그동안 높은 선호도를 자랑하던 일본이 7.5%(6위)로 약세를 보인 것도 눈여겨볼 부분이다. 지속되고 있는 엔화 강세가 신규 수요 둔화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다만, 일본의 경우 리드타임이 짧은 만큼, 연휴 전까지 신규 고객 유입이 이어지면서 순위가 상승할 것으로 관측된다. 호주가 5.3%로 7위를 기록했다. 호주는 비교적 짧은 일정으로 관광을 즐길 수 있는 데다, 상품 가격이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형성돼 있는 것이 장점이다. 이밖에 사이판(3.3%), 싱가포르(2.4%), 몽골(2.3%)이 각각 8~10위를 차지했다. 교원투어 관계자는 “이번 5월 황금연휴에는 연차 하루를 쓰면 최장 6일을 쉴 수 있는 만큼, 해외여행 수요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며 “리드타임을 고려할 때 동남아와 중국, 일본, 대만 등 단거리 여행지를 중심으로 신규 예약이 집중될 전망”이라고 말했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지난해 국내 재계 총수 중 조현상 HS효성 부회장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이날까지 지난해 사업보고서를 공시한 주요 기업 경영진 보수 현황을 취합한 결과, 조 부회장은 지난해 HS효성과 효성에서 총 323억8200만원을 받았다. 조 부회장이 2023년 효성에서 받은 보수(57억원)에 비해 약 5.7배 많은 금액이다. 조 부회장은 지난해 7월 효성에서 인적분할해 출범한 HS효성을 이끌고 있다. 이번에 효성에서 받은 퇴직금과 특별공로금이 보수에 포함돼 재계 연봉 1위로 올라섰다. 조 부회장은 지난해 효성에서 급여 20억원, 상여 3억원, 특별공로금 85억원, 퇴직소득 171억9200만원 등 총 279억9200만원을 받았다. 새로 출범한 HS효성에서도 급여 23억7500만원, 상여 20억1500만원 등 43억9000만원을 수령했다. 조현준 효성 회장은 지난해 효성에서 보수로 91억8300만원을 받았다. 전년(68억4100만원)대비 25.5% 늘었다. 급여가 10억원 늘어나고 연간 실적 개선에 따라 상여도 13억4300만원 증가했다. 재계 총수 중 보수총액 2위는 이재현 CJ그룹 회장이다. 이 회장은 지주사 CJ에서 156억3000만원, CJ제일제당에서 36억4000만원을 받아 총 193억7000만원을 수령했다. 다만 실적이 부진한 CJ ENM에서는 지난해 상반기부터 보수를 받지 않고 있다. 이재현 회장의 지난해 보수는 전년 99억3600만원 대비 95% 증가했다. CJ에서 받은 장기 인센티브 영향으로 110억원가량 늘었다. 3위는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으로, 지난해 지주사와 4계 계열사에서 총 178억원을 받았다. 롯데지주(59억7200만원), 롯데케미칼(38억원), 롯데쇼핑(19억6400만원), 롯데웰푸드(26억5000만원), 롯데칠성음료(34억9300만원) 등이다. 다만 신 회장의 총연봉은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아직 사업보고서가 공시되지 않은 비상장사인 호텔롯데와 롯데물산에서도 급여를 받기 때문이다. 4위는 김승연 한화그룹 회장이다. 계열사 4곳에서 총 139억8000만원의 보수를 받았다. 한화시스템(43억2000만원), ㈜한화·한화솔루션(각 42억원), 한화에어로스페이스(12억6000만원) 등으로부터 보수를 받았다. 김 회장의 장남인 김동관 한화그룹 부회장은 92억원을 수령했다. ㈜한화와 한화에어로스페이스에서 각각 30억6000만원을 받았다. 한화솔루션에서도 30억8000만원을 수령했다. 5위는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회장으로 총 115억18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현대차에서 70억8700만원을 수령하고 현대모비스에서 44억3100만원을 받았다. 6위는 조원태 한진그룹 회장으로 총 102억1273만원을 받았다. 대한항공(51억300만원), 한진칼(41억5373만원), 진에어(9억5600만원) 등에서 보수를 수령했다. 그 뒤는 구광모 LG그룹 회장으로 ㈜LG 대표이사로서 81억7700만원을 수령했다. 정용진 신세계그룹 회장도 지난해 36억900만원을 받았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SK㈜에서 35억원을 수령했다. 다만 최 회장은 아직 사업보고서가 공시되지 않은 SK하이닉스에서도 보수를 받는 만큼 추후 연봉이 늘어날 가능성이 크다. 이재용 삼성전자 회장은 2017년부터 삼성전자 급여를 받지 않고 있다. 전문 경영인 중에서는 지난해 반도체 수장에서 물러난 경계현 고문이 퇴직금 52억7200만원을 포함해 총 80억3600만원을 받아 삼성전자 최고 연봉자에 올랐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음악 스트리밍 앱은 유튜브 뮤직으로, 2월 902만명이 사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그 뒤를 이어 2위는 멜론 662만명, 3위는 스포티파이 320만명, 4위는 지니뮤직 261만명, 5위는 플로 183만명 순이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음악 스트리밍 앱의 월간 사용자 수 추이를 조사해 발표했다. 이번 조사에서는 스포티파이가 무료 요금제 ‘스포티파이 프리’를 국내에 출시한 이후 2025년 2월 앱 사용자가 2배 가까이 증가하며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이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 조사로 실시했으며, 스마트폰 제조사 앱은 조사대상에서 제외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난해 서울시의 25개 자치구 중 채용 공고가 가장 많았던 곳은 ‘강남구’로 나타났다. HR테크 기업 인크루트(대표 서미영)가 2024년 기준 취업포털 ‘인크루트’에 등록된 서울시 일자리 공고를 자치구 및 월별로 나눠 집계했다. 집계 결과, 2024년 서울시에서 가장 일자리 공고가 많은 자치구는 ▲강남구(18.4%)로 나타났다. ▲강남구는 서울시 전체 자치구에서 유일하게 두 자릿수의 점유율을 차지했다. 뒤이어 일자리 공고가 많았던 곳은 ▲서초구(7.3%)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강남 2구’는 2024년 전체 서울시 일자리 공고의 25.7%를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중구(6.5%), ▲영등포구(6.3%), ▲송파구(5.2%), ▲마포구(5.0%) 순으로 나타났다. 2024년 기준으로 일자리 공고 수가 가장 적었던 서울시 자치구는 ▲도봉구(1.1%)였다. 그 다음으로는 ▲강북구(1.3%), ▲은평구(1.6%), ▲중랑구(1.6%)로 나타났다. 월별로 분석해 본 결과, 2024년 기준 서울시에서 가장 일자리 공고가 많았던 달은 ▲7월(9.7%)로 나타났다. 그 다음으로는 ▲1월(9.5%), ▲2월(9.2%), ▲3월(8.8%) 순으로 나타났다. 이번 데이터는 지난 2024년 등록된 총 채용 공고 중 근무 지역이 서울시로 등록된 공고를 선별해 분석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리나라에서 렌털·구독 서비스 도입 상담이 가장 많았던 제조·판매사 업종은 ▲키오스크·스마트자판기·테이블오더·서빙로봇 등 무인기기군(28%)인 것으로 나타났다. 렌털전환(RX) 전문기업 프리핀스가 제조·판매사의 렌털·구독 서비스 도입 트렌드를 조사한 '이것저것 리서치: 렌털·구독전환편'을 통해 결과를 발표했다. 프리핀스는 이번 조사를 위해 1월 1일부터 2월 28일까지 렌털·구독전환을 의뢰한 제조·판매기업 208곳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을 진행했다. 프리핀스는 고객의 일상을 이롭게 하는 렌털·구독관리 솔루션을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소비시장 트렌드를 연구해 발표하고 있다. 무인기기군이 1위로 나타난 것은 지난해 마라탕 프랜차이즈 소림마라 운영사 지앤지유니버스를 시작으로 프랜차이즈 기업들이 매장 설비를 구독형으로 제공해 가맹점주 비용 부담을 낮춘 렌털창업 방식이 증가하는 추세가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또 실내 마이크로 스토어라는 콘셉트로 간식 구독 스마트 자판기를 서비스하는 워커스하이가 롯데칠성음료 직영사업을 인수하고, 서비스 로봇기업 엑스와이지가 로봇 바리스타 렌털 프로그램으로 무인 카페 매장을 늘리는 등 무인기기 관련 렌털·구독 스타트업의 사업 확장도 영향을 미쳤다. 무인기기군에 이어 렌털 역사가 오래된 ▲안마의자·안마베드 등 헬스케어군(24%)이 렌털·구독전환 업종 2위를 기록했다. 그뒤를 이어 3위는 ▲노트북·복합기 등 사무기기군(20%), 4위는 ▲협동로봇 등 산업용 기계군(17%), 5위는 ▲커피머신·정수기 등 생활가전군(10%)으로 나타났다. 제조·판매사가 렌털·구독 서비스를 도입하는 가장 큰 이유는 ▲판로 확장으로 매출 상승(35%)이었다. 단순 판매에만 의존했던 매출이 장기 불황으로 소비자 구매력이 감소해 타격을 입자 렌털·구독 서비스로 고객 선택을 확장시켜 돌파구 삼으려 했다. 뒤를 이어 '구매보다는 구독, 소유보다는 공유' 등 경험을 중시하는 ▲소비 트렌드 변화(29%)가 2위를 차지했다. 빠른 물류 회전으로 ▲재고 리스크 감소(21%), 삼성전자 AI 구독클럽·LG전자 가전구독 등 주요 기업의 성공사례 증가로 ▲렌털 시장 확대(14%) 등이 렌털·구독 서비스 도입을 검토하게 된 배경이라고 답했다. 렌털·구독전환을 앞둔 제조·판매사의 가장 큰 고민은 ▲운영자금 융통 등 금융서비스(41%)로 나타났다. 대량의 제품을 매입 또는 생산한 후 고객에게 대여해 점진적으로 수익을 올리는 렌털업 특성상 사업 단계별 운영자금이 중요하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많았던 고민은 ▲대여·재고품 물류 관리 솔루션(25%), ▲렌털 특화 회계 솔루션(19%) 등 렌털·구독사업에 특화된 시스템 부족이다. 렌털 시장 규모는 100조원을 바라보며 매년 커지고 있지만 재고·자산관리, 비용청구, 고객관리, 전자계약 등 렌털사업 업무를 처리하는 기업용 렌털·구독관리 솔루션은 부족한 상황이다. 최근에는 이와 관련된 틈새 시장이 떠오르자 중견기업부터 스타트업까지 솔루션을 개발에 뛰어들고 있다. 이 외에 ▲정기 케어 등 전문 인력(14%) 수급도 고민 중 하나였다. 프리핀스 신상용 각자대표는 "저성장 국면이 장기화되면서 합리적인 소비가 주류를 이루게 되었고, 기업들은 이에 대응하는 전략으로 판매의 미래인 렌털·구독 방식을 도입해 고객의 선택 폭을 확장시키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프리핀스는 국내 최대 AI 주차솔루션 기업 아이파킹의 창업자 신상용 각자대표가 NHN과 SK 이노베이션 E&S에 파킹클라우드를 매각 후, 주차솔루션 렌털사업 성공 경험을 살려 현대카드·캐피탈 금융본부장 출신 김병석 각자대표와 공동 창업한 렌털전환(RX·Rental Transformation) 스타트업이다. 제조·판매사 렌털·구독 도입에 필요한 금융서비스와 렌털업무 솔루션을 제공한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토지 거래 허가 구역 해제 이후 서울지역의 부동산 가격이 상승추세인 가운데 서울 전체 아파트 평균 가격도 2025년 2월 기준 14억원을 돌파했다. 특히 가격이 가파르게 상승 중인 강남3구(강남·서초·송파)의 국민평형 가격이 3년 3개월 만에 모두 평균 20억원을 넘은 것으로 나타났다. 부동산 플랫폼 직방은 국토교통부 실거래가를 분석한 결과 지난달 서울의 전용면적 84㎡인 이른바 국민평형 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은 14억3895만원으로 전월(13억6859만원) 대비 5.14% 올랐다고 17일 밝혔다. 직방이 데이터 집계 기준으로 삼은 2020년 1월 이후 가장 높은 가격이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국평 아파트가 가장 비싸게 거래된 곳은 서초구로 31억4043만원에 달했다. 이어 2위 강남구 27억634만원, 3위 송파구 20억2813만원 순으로 나타났다. 서초구는 래미안원베일리, 아크로리버파크, 래미안퍼스티지, 반포자이 등의 거래가 이뤄지며 평균 가격을 끌어올렸다. 한강변 , 브랜드, 우수한 학군 등이 어우러져 고급 주거지로서 높은 가격대를 형성했다. 강남구 역시 개포동 래미안블레스티지, 개포동 디에이치아너힐즈, 삼성동 래미안라클래시 등의 준신축 아파트가 30억원 이상에 거래됐다. 다만, 논현동·역삼동·일원동 등 구축 단지의 거래가 더해지면서 평균 가격은 27억원 선을 나타냈다. 송파구는 헬리오시티, 리센츠, 잠실엘스, 트리지움, 파크리오 등 20억원 이상 아파트의 거래량이 증가하면서 2월 국평 아파트값이 20억원을 넘겼다. 2월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4600건을 넘었다. 주춤했던 서울 아파트 거래량이 다시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가격 역시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다. 강남 3구 외에도 용산구(19억1413만원), 종로구(18억7190만원), 성동구(16억1137만원), 마포구(15억8311만원) 등도 국평 아파트의 평균 거래가격이 15억원을 넘었다. 반면, 도봉구(6억1529만원)와 강북구(6억8257만원)는 7억원 이하에 형성됐다. 직방 관계자는 "기준금리 인하 이후 기대감이 확산되면서 대출 금리 하락이 예상되는 가운데, 연말 연초 관망세를 보이던 수요가 점차 회복세를 보이며, 일부 지역에서는 거래가 증가하는 모습"이라며 "잠실·삼성·대치·청담(잠삼대청)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해제도 시장 회복의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규제 해제 이후 투자 및 실거주 수요가 움직일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거래량이 증가했고, 가격 역시 탄력을 보이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러한 규제 완화의 영향이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와 마용성(마포·용산·성동) 등 주요 도심 지역으로 확산되면서, 일부 단지에서는 ‘키 맞추기’식 가격 상승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가격 방어력이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주택 매수 심리가 점차 개선되는 모습이다. 또한, 오는 7월 DSR 3단계 시행을 앞두고 대출 규제가 강화되기 전 유리한 조건에서 주택을 매입하려는 수요가 선제적으로 시장에 유입된 가능성도 있다. 특히, 국평 아파트는 안정적인 자산가치 보존력과 함께 실수요자와 투자자 모두에게 유리한 특성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러한 수요의 회복은 국평 아파트의 거래가격 상승으로 이어졌다. 반면, 서울 외곽 지역에서도 하락 매물이 소진되며 일부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지만, 아직 적극적인 추격 매수세가 뚜렷하지 않다. 이 흐름이 지속될지는 지켜봐야 할 상황이다. 또한, 경기 불안과 정국 불안 등의 외부 요인도 시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어, 서울 아파트의 거래량 증가와 가격 상승이 계속될지 여부는 더 지켜봐야 할 시점이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중고등학생이 선호하는 디저트 업종 가운데 요거트 전문점이 높은 성장세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6일 KB국민카드에 따르면 중고등학생의 요거트 전문점 이용금액은 2024년 전년대비 317% 증가했다. 이용건수도 같은 기간 177% 늘었다. 2023년 가장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탕후루를 제치고 26개 디저트 업종 가운데 가장 높은 성장세를 기록한 것이다. 탕후루는 같은 기간 이용금액이 75% 감소했다. 중고등학생이 자주 이용하는 곳을 업종별로 보면 편의점(매점 포함)이 이용건수 비중 25%로 1위다. 편의점은 등하교 시간대에 가장 많이 이용되었고, 학교 매점은 오후 12시와 오후 2시 사이에 주로 이용됐다. 이어 2위는 커피·디저트 11%, 3위는 오락서비스 10%, 4위는 교육·서적 4% 순이다. 중고등학생은 지난해 편의점에 월평균 6.2회 갔다. 편의점에서 쓴 비용은 월평균 2만2000원이다. 중고등학생이 가장 선호하는 오락서비스 업종은 PC방이다. 오락서비스 업종 내 이용건수 비중이 55%다. 코인노래방(16%), 무인사진관(6%)이 뒤를 이었다. 이번 분석은 2019~2024년까지 14~19세 체크카드 이용 고객 71만명이 전체 업종에서 이용한 총 2억6000건의 결제 데이터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중고등학생의 월평균 이용금액은 2019년 12만1600원에서 2024년 14만7900원으로 21.6% 증가했다. 이용건수는 같은 기간 16.4건에서 18.5건으로 12.8% 늘었다. 이는 같은 기간 성인 고객과 비교했을 때, 성인 고객의 전체 이용금액은 2.3% 증가, 이용건수는 1.2% 감소한 것과 대비된다. KB국민카드 관계자는 "최근 5년 중고등학생의 체크카드 소비 데이터 분석을 통해 주요 업종의 트렌드를 확인할 수 있었다"면서 "향후에도 다양한 연령대의 데이터 분석을 통해 소비 트렌드 변화를 읽고 상품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경기 부진 여파로 주요 대기업의 사외이사 평균급여(연간)가 큰 폭으로 감소했다. 삼성전자, SK텔레콤 등 사외이사 보수 지급액 기준 상위 10개 기업 가운데 7곳이 급여를 줄였다. 2023년 사외이사 평균급여가 2억원을 넘었던 삼성전자는 지난해 약 10%가까이 감소하며 다시 1억원대로 내려왔다. SK텔레콤과 SK스퀘어, 삼성물산 등도 1000만원 이상 평균급여를 줄였다. 반면 포스코홀딩스, 현대차, SK바이오사이언스는 평균급여가 올랐다. 12일 기업데이터연구소 CEO스코어(대표 조원만)가 국내 시가총액 500대 상장회사 중 이달 7일까지 주주총회소집공고를 공시한 기업 247곳을 대상으로 사외이사 평균급여를 조사한 결과, 삼성전자가 1억8333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지난 2023년 2억316만원 대비 1983만원(9.8%) 감소했지만 1위를 수성했다. 평균급여는 사외이사의 보수총액을 연 평균인원으로 나눠 계산했다. 다만 평균급여의 계산 기준이 기업·연도별로 다르게 공시돼 개별 공시와는 차이가 날 수 있다. 삼성전자를 포함해 사외이사 평균급여 상위 10개 기업 중 7곳이 지난해 급여를 줄였다. 2년 연속 2위를 지킨 SK텔레콤의 평균급여도 1억5677만원으로 전년 대비 1189만원(7.0%) 줄었다. 또 ▲SK하이닉스(1억5367만원, 전년대비 699만원 ↓) ▲SK(1억5200만원, 40만원 ↓) ▲SK스퀘어(1억4600만원, 1350만원 ↓) ▲SK아이이테크놀로지(1억2175만원, 175만원 ↓) ▲삼성물산(1억1400만원, 3220만원 ↓) 등도 평균 급여가 줄었다. 반면 ▲POSCO홀딩스(1억3121만원, 1492만원 ↑) ▲현대차(1억2014만원, 182만원 ↑) ▲SK바이오사이언스(1억1298만원, 600만원 ↑) 등은 사외이사 평균급여가 올랐다. 조사대상 기업 중 지난해 사외이사의 평균급여가 1억원을 넘는 곳은 29곳으로, 전년 20곳 대비 9곳 늘었다. 29곳 중 26곳은 삼성‧SK‧현대자동차·LG 등 4대 대기업집단 계열이었다. 11개 기업이 신규로 진입했고 S-Oil(9667만원, 전년 대비 464만원 감소)과 SKC(8000만원, 3475만원 감소)는 탈락했다. 사외이사 평균급여가 1억원 이상인 기업 중 삼성그룹 계열은 삼성전자·삼성물산·삼성증권·삼성중공업·삼성SDI·삼성생명·삼성E&A 삼성바이오로직스·제일기획·삼성화재·삼성에스디에스·호텔신라·삼성카드 등 13곳이다. SK 계열은 SK텔레콤·SK하이닉스·SK·SK스퀘어·SK아이이테크놀로지·SK바이오사이언스·SK디스커버리·SK가스·SK이노베이션 등 9곳이다. 현대차 계열은 현대차·현대모비스 2곳, LG 계열은 LG전자·LG 2곳이다. 중견기업 중에서는 반도체 장비 업체인 ‘테스’가 1억600만원으로, 유일하게 사외이사 평균급여 1억원을 넘겼다. 2023년과 비교해 사외이사 1인 평균급여가 가장 많이 줄어든 기업은 SK이노베이션이다. SK이노베이션의 지난해 사외이사 평균급여는 1억711만원으로, 6081만원(36.2%) 감소했다. 이어 ▲SKC(8000만원, 전년 대비 3475만원 감소) ▲삼성물산(1억1400만원, 3220만원 ↓) ▲코오롱티슈진(2700만원, 2500만원 ↓) ▲삼성전자(1억8333만원, 1983만원 ↓) ▲크래프톤(7020만원, 1894만원 ↓) ▲넥스틴(5464만원, 1536만원 ↓) ▲KT&G(8300만원, 1400만원 ↓) ▲SK스퀘어(1억4600만원, 1350만원 ↓) ▲삼아알미늄(4347만원, 1307만원 ↓) 순으로 사외이사 급여 감소액이 많았다. 지난해 사외이사 1인 평균급여가 가장 많았던 업종은 자동차‧부품으로 8659만원을 기록, 전년 대비 71만원(0.8%) 증가했다. 이어 지주(8170만원), 금융(7724만원), 조선·기계·설비(7657만원), 유통(7543만원) 업종 순으로 사외이사 평균급여가 많았다. 공기업은 사외이가 평균급여가 2720만원으로 가장 낮았다. 업종별로 지난해 사외이가 평균급여가 전년 대비 가장 많이 감소한 업종은 건설‧건자재였다. 건설‧건자재업종의 사외이사 평균급여는 지난해 7214만원으로 전년(7774만원) 대비 560만원(7.2%) 줄었다. 한편, 전체 조사대상 247개 기업 중 지난해 사외이사 평균급여를 늘린 곳은 130곳, 줄인 기업은 68곳이었다. 이 중 평균급여를 1000만원 넘게 올린 기업은 29곳, 1000만원 이상 내린 기업은 15곳이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친구나 연인 사이에 사탕이나 초콜릿 등을 선물하며 마음을 전하는 '화이트데이'를 앞두고 지난해 국내 소비자들에게 가장 높은 관심을 받은 초콜릿 순위가 나왔다. 1위는 매일유업이 유통하고 있는 '페레로로쉐'로 조사됐다. 2위는 롯데웰푸드의 '가나'가 근소한 차이로 뒤를 이었다. 3위~7위는 ▲킨더 ▲크런키 ▲킷캣 ▲토블론 ▲허쉬 키세스 순으로 나타났다. 12일 데이터앤리서치는 뉴스·커뮤니티·카페·유튜브·블로그·트위터·인스타그램·페이스북·카카오스토리·지식인·기업/조직·정부/공공 등 12개 채널 24만개 사이트를 대상으로 지난해 1~12월 국내에서 판매되는 정보검색량 기준으로 주요 초콜릿 7개 제품 관련 포스팅 수를 조사했다. 조사대상 브랜드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가 제공하는 식품산업통계소매POS 매출 데이터 상위 10개를 선정했으며, 이중 초코를 묻힌 과자나 초코바 형태의 초콜릿이 주요 제품인 브랜드는 조사에서 제외했다. 데이터앤리서치 관계자는 "지난해 전체 초콜릿 관련 포스팅 수는 총 12만8203건으로 전년(2023년) 대비 7831건, 6.51%나 늘었다"고 말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국내 주요 대기업에 다니는 여성 직원의 연봉은 남성의 70% 수준이고, 전체 직원 중 여성은 4명 중 1명 꼴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는 유통·상사 및 금융 분야 여성 직원 비율이 절반을 넘어섰고, 제약 업종은 타업종에 비해 성별 급여 격차가 가장 적은 것으로 파악됐다. 또 지난 2023년 기준 단일 기업 중 여성 직원 수가 가장 많은 회사는 3만명 넘게 고용한 ‘삼성전자’이고, 여직원 연봉킹은 ‘에쓰오일’인 것으로 조사됐다. 주요 150개 대기업 중 여직원 연봉이 억대 클럽에 가입한 곳도 10곳을 넘어섰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3월 8일 세계 여성의 날을 맞이해 ‘주요 대기업의 업종별 남녀 직원 수 및 평균 급여 비교 조사’ 내용을 분석해 6일 발표했다. 조사 대상 기업은 상장 회사 중 주요 15개 업종별로 매출 상위 TOP 10에 포함되는 총 150개 대기업이다. 조사에 필요한 직원 수와 평균 급여 등은 2023년 사업보고서(별도 기준)를 기초 자료로 삼았다. 직원 수는 사업보고서에 명시된 ‘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자’와 ‘기간제 근로자’를 합산한 전체 인원 기준이다. 미등기임원도 직원 조사 대상에 포함됐다. 전체 여직원 평균 급여를 명시하지 않은 기업은 별도 계산을 통해 해당 값을 산출했다. 조사 결과에 의하면 150개 대기업의 2023년 기준 전체 직원 수는 89만1717명으로 집계됐다. 이중 남성 직원은 67만1257명, 여성은 22만460명이었다. 전체 직원 중 여직원 비율은 24.7% 수준이었다. 조사 대상 150개 대기업 전체 직원 중 여성은 4명 중 1명꼴인 셈이다. 조사 대상 150개 주요 상장사 중 여성 직원을 1만명 이상 고용한 여직원 고용 만명 클럽에는 4곳이 이름을 올렸다. 이 중에서도 단일 기업 중에서는 삼성전자가 2023년 기준으로 여직원 숫자만 3만2998명으로 가장 많은 것으로 확인됐다. 이어 ▲이마트(1만3522명) ▲롯데쇼핑(1만3166명) ▲SK하이닉스(1만855명)도 여성 직원을 1만명 넘게 고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여직원 비중은 극과 극을 달렸다. 롯데쇼핑과 이마트, 삼성물산 등이 포함된 유통·상사 업종은 여성 직원 비중이 51.2%로 전체 직원의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유통 업종의 경우 여직원(3만4210명)이 남직원(3만2619명)보다 1590명 이상 많았다. 금융업도 전체 직원 중 50.2%가 여직원을 고용할 정도로 다른 업종에 비해 여성 고용률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어 ▲식품(44.8%) ▲운수(39.1%) ▲섬유(33.3%) ▲제약(30.7%) 순으로 여직원 비율이 30% 이상을 보였다. 반면 철강업은 여직원 비중이 겨우 5.1% 수준으로 가장 낮았다. 조사 대상 철강 업체 매출 상위 10개 기업의 2023년 전체 직원 수는 2만3275명이었는데, 이중 여성 직원은 1196명으로 2000명에도 못 미쳤다. 자동차(6.9%)와 기계(8.6%) 업종도 10% 미만 수준을 보였다. 이외 ▲건설(12.2%) ▲가스(13.9%) ▲전기(17.5%) ▲석유화학(18.4%)순으로 여성 인력 비중은 10%대 수준으로 타업종 대비 상대적으로 적은 편에 속했다. 남직원 대비 여직원 비중이 절반을 넘는 개별 회사는 150곳 중 14곳으로 파악됐다. 이 중에서도 여직원 고용률이 60%를 넘어선 곳은 4곳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 대상 대기업 중 여성 인력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롯데쇼핑’인 것으로 확인됐다. 이 회사의 2023년 기준 전체 직원은 1만9676명이다. 이중 여성 인력은 1만3100명을 넘어 66.9%나 차지했다. 이번 조사 대상 대기업 중 여성 직원 고용 비율만 놓고 보면 1위를 차지했다. 식품 업체 오뚜기는 전체 직원 3300명 중 여성이 65.2%(2150명)로 넘버2에 이름을 올렸다. 동원F&B(61.5%)과 CJ EMM(61.1%)도 여직원 비중이 60%대로 비교적 높은 편에 속했다. 이외 ▲이마트(59.5%) ▲DB손해보험(58.1%) ▲기업은행(56.4%) ▲일신방직(56.3%) ▲농심(55.8%) ▲대상(54.9%)도 50%를 상회하며 여성 고용 우수 기업으로 꼽혔다. ◆ 150개 대기업, 女직원 평균 보수 6650만원…男직원 평균 9530만원 대비 69.8% 수준 이번 조사 대상 150개 대기업의 2023년 기준 남성 직원 평균 급여는 9530만원이었다. 같은 기간 여성 직원은 6650만원이었다. 여직원 연봉 수준은 남직원의 69.8% 정도인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 여직원 평균 연봉은 금융 업종이 9260만원으로 최상위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어 ▲정보통신(9000만원) ▲전자(7450만원) ▲가스(7120만원) ▲전기(7080만원) ▲석유화학(6920만원) ▲자동차(6690만원) ▲유통상사(6330만원) ▲철강(6150만원) ▲제약(5910만원) ▲건설(5400만원) 순으로 연봉 5000만원을 상회했다. 개별 기업별로 여직원 연봉이 1억원 넘는 억대 연봉 클럽에는 14곳이 포함된 것으로 조사됐다. 150개 대기업 중에서는 ‘에쓰오일’ 여직원 연봉이 1억1520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삼성증권(1억1450만원) ▲삼성SDS(1억1300만원) ▲삼성화재·SK텔레콤(각 1억900만원) ▲미래에셋증권(1억790만원) ▲NH투자증권(1억780만원) ▲삼성생명(1억700만원) ▲삼성물산(1억500만원) ▲기아·SK하이닉스·네이버(각 1억300만원) ▲현대차·서연이화(각 1억200만원) 순으로 지난 2023년 여직원 평균 연봉이 1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15개 업종의 남녀별 평균 급여를 비교했을 때 여직원 연봉이 남직원 연봉보다 앞선 곳은 한 곳도 없었다. 그나마 제약 업종의 여직원 보수는 5910만원으로 남성(7570만원)의 78% 수준으로 성별 임금 격차가 다른 업종에 비해 적었다. 이외 ▲전기(77.5%) ▲섬유(71%) ▲정보통신(75.7%) ▲전자(74%) ▲자동차(73.4%) ▲가스(72.3%) ▲식품(70.8%) 업종 순으로 남성 대비 여성 직원 급여 수준이 70%대로 나타났다. 반면 건설 업종은 남성 직원이 9050만원을 받을 때 여성 직원은 5400만원으로 계산됐다. 건설 업종의 여직원 연봉은 남성의 59.7% 정도로 남녀별 보수 격차가 타업종에 비해 다소 컸다. 한국CXO연구소 오일선 소장은 “출산율과 고령화 등 인구 문제는 우리나라에서 중요한 국가적 아젠다로 단순한 관심 차원을 뛰어넘어 실질적 해결책 등을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한다”며 “최근 여성 채용도 늘리고 남성과의 급여 격차도 줄이고 있지만 여전히 갈 길이 멀다”고 말했다. 이어 “사업보고서 등 정기보고서에 성별(性別) 중간관리자 비율 등도 공개하는 방안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지구인 중에 가장 몸값이 비싼 스포츠 선수는 누구일까? 2024년의 가장 돈을 많이 번 스포츠 선수는 '세계적인 축구 스타' 크리스티아누 호날두(포르투갈)로 조사됐다. 미국 스포츠 비즈니스 매체 ‘스포티코’가 발표한 ‘2024년 전 세계 스포츠 선수 수입 순위’에 따르면, 호날두는 지난해 총 2억6000만 달러(약 3777억원)를 벌어들이며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하루 약 10억원을 번 셈으로, 엄청난 경제적 가치를 입증했다. 2위와도 1500억원 이상 많은 금액이다. 사우디아라비아 프로축구 알나스르에서 뛰는 호날두는 지난해에도 2억7500만 달러(3997억원)의 수입으로 1위에 올랐었다. 2위는 미국프로농구(NBA) 골든스테이트 워리어스의 스테픈 커리(미국)로 1억5380만 달러(2236억원)를 기록했다. 2024년 수입 3위는 1억4700만 달러(2137억원)의 영국 권투 선수 타이슨 퓨리가 차지했다. 4위는 리오넬 메시(아르헨티나)가 1억3500만 달러(1962억원), 5위는 르브론 제임스(미국)로 1억3320만 달러(1936억원)를 기록했다. 호날두와 함께 사우디 리그에서 활약 중인 네이마르(브라질·1억3300만 달러(1933억원))가 6위에 랭크됐다. 7위는 올렉산드르 우식(복싱·우크라이나·1억2200만달러(1773억원)), 8위는 카림 벤제마(축구·프랑스·1억1600만달러), 9위는 킬리안 음바페(축구·프랑스·1억1000만달러), 10위는 욘 람(골프·스페인·1억580만달러) 순이다. 아시아 국적 선수로는 미국프로야구 메이저리그(MLB)에서 활약하는 오타니 쇼헤이(일본)가 7250만 달러(1054억원)로 21위를 기록했다. 전 세계 야구 선수 중 가장 높은 순위다. 오타니는 계약 금액의 97%에 이르는 6억8000만 달러를 2034년부터 수령하는 디퍼(연봉 지급 유예) 계약을 했다. 이 매체가 공개한 2024년 수입 1~100위까지는 모두 남자 선수들로 채워졌다. 여자 선수로는 테니스 선수인 코코 고프(미국)가 3040만 달러(442억원)로 가장 많았으나, 남녀 통합 순위로는 125위에 해당한다. 한편, 후원 수입만 따지면 커리가 1억 달러(1454억원)로 1위, 2위~5위는 제임스(8500만 달러), 메시(7500만 달러), 오타니(7000만달러), 타이거 우즈(5200만달러) 순이었다. 타이거 우즈는 전체 순위에서 6210만달러 수입으로 27위에 올랐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들이 셰프(요리사), 웨이트리스, 간호사, 영업판매 현장 감독관과 같은 전통적인 직업인 이른바 '몸쓰는 직업'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 미국 경제 전문지 포춘은 미국의 Z세대들이 더 이상 화이트칼라 직업을 꿈꾸지 않고 기술직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25세에서 34세 사이의 대학 학위가 없는 남성은 더 육체적이고 재택근무를 선호하는 반면 여성은 의사소통과 공감 능력을 적극 활용하고 있는 추세다. 포춘은 "젊은 근로자들은 더 이상 사무직 일자리를 원하지 않는다"면서 "높은 대학 등록금과 부진한 취업 기회에 환멸을 느낀 Z세대는 더 많은 직업군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고 지적했다. 포춘은 2024년 해리스 폴(Harris Poll)이 진행한 인튜이트 크레딧 카르마(Intuit Credit Karma) 설문조사를 인용하며 "미국인의 젊은이들의 약 78%가 몸을 쓰는 기술직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고 답했다. 즉 목수부터 전기 기술자까지 이러한 역할 중 상당수는 좋은 급여를 받으면서도 스스로 사업을 운영할 수 있다는 장점 때문이다. 특히 젊은 근로자는 학자금 대출에 대한 부담 없이 높은 연봉까지 받을 수 있다는 점도 매력적이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남자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은 다음과 같다. 1위는 운전자·판매원 및 트럭 운전사, 2위는 건설 노동자, 3위는 화물 운동 노동자, 4위는 영업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5위는 요리사 및 조리사로 조사됐다. Z세대와 학위가 없는 젊은 밀레니얼 세대 남녀는 매우 다른 직업의 길을 걷고 있다. 남성은 주방에서 요리사로 일하는 반면, 여성은 홀에서 웨이트리스로 일하고 있다. 이들은 각자의 길을 걷고 있으며, 의도치 않게 '성별에 따른 직업적 분리'를 만들고 있다. 피우 연구소(Pew Research)에 따르면 학위가 없는 여성 근로자가 가장 선호하는 상위 5개 직업 중 1위는 고객 서비스 직원, 2위는 간호 보조 및 정신 건강 및 홈 헬스 보조원, 3위는 판매 직군의 현장 감독관, 4위는 계산원, 5위는 웨이트리스이다. 학위가 없는 젊은 남성들은 육체 노동에 뿌리를 둔 일을 하고 있으며, 이는 남성들이 역사적으로 더 높은 비율로 차지해 온 일이다. 미국에서 트럭 운전사는 연간 6만2000달러(약 8600만원)에서 10만1000달러(1억4000만원)를 벌 수 있다. 건설 노동자는 최대 6만2000달러를 벌며, 현장 감독관은 5만6000~9만4000달러의 연봉을 받는다. 가장 흥미로운 직업은 요리사다. 전문 셰프는 연봉 최대 17만3000달러(2억4000만원)까지 벌 수 있으며, 학위도 필요 없다. 처음에는 레스토랑 주방에서 수습 요리사로 시작해 경력을 쌓아가며 연봉 약 4만7000달러를 받을 수 있다. 여성들이 선호하는 고객 서비스 직원은 연간 최대 5만6000달러를 벌 수 있으며, 계산원은 5만달러, 웨이트리스는 6만6000 달러를 벌 수 있다. 미국의 Z세대는 점점 늘어나는 대학 등록금과 학자금 대출 부채로 인해 대학에 대한 인식이 부정적으로 변하고 있다. 미국 국립학생정보센터에 따르면 2023년 직업 교육 중심의 커뮤니티 칼리지 등록률이 16% 증가했을 정도로 이들은 직업전문학교로 눈을 돌리고 있다. 건설을 공부하는 사람들이 23%, 냉난방(HVAC) 프로그램도 7% 증가했다. 특히 배관, 용접, 목공과 같은 업무는 젊은 근로자들에게 새로운 '잇(핫하고 선호하는)' 직업이 됐다. 2023년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한 직업은 풍력 터빈 기술자로, 연간 10만3000달러 이상을 받는다. 일자리에 대한 선호도 변화는 직장 내 AI의 부상과도 깊은 관련이 있다. 사무직 근로자들은 일자리의 안정성에 대해 많은 불확실성을 가지고 있지만, 로봇이 인간의 육체 노동을 진정으로 대체하기 위해서는 아직 시간이 좀 더 필요하다는 점을 주목하고 있다. 즉 육체노동을 선호하는 Z세대의 직업 추세는 AI 기반 해고에 더 많은 면역력을 느낄 수 있기 때문이다. 나아가 이런 직업들은 사무직보다 더 나은 일과 사람의 균형도 약속한다. 근로자들은 자신의 직업과 취미, 가족 및 기타 만족스러운 직업 사이에서 올바른 균형을 맞추는 것을 원하고 있다. 딜로이트의 2024년 연구에 따르면, 일과 삶의 균형은 Z세대와 밀레니얼 세대가 직업을 선택하는 가장 중요한 특성이며 고용주를 선택할 때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지난해 전국 기초자치단체 5곳 중 1곳은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로 집계됐다. 지난해 합계출산율이 9년만에 반등에 성공했음에도 지방소멸 추세는 여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도권으로 인구 쏠림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지방의 저출생 현상이 짙어지면서 지방 소멸 속도가 더욱 빨라지는 모습이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17개 광역시·도 산하 264개 기초자치단체(시·군·구) 가운데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로 나타난 지역은 총 52곳으로 파악됐다. 통계청은 출생아 수를 반올림해 100단위로 제공하기 때문에 출생아 수 100명은 1년 동안 50~149명의 아이가 태어났다는 의미다. 경북 영양군과 울릉군의 출생아 수는 50명에도 미치지 못해 통계청 데이터상 0명으로 기록됐다. 광역자치단체별로 보면 서울과 경기, 광주, 대전, 울산, 세종, 제주 등은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곳이 없었다. 부산과 대구, 인천 역시 각각 1곳에서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였다. 반면 수도권이나 광역시가 아닌 지역에서는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기초자치단체가 다수 있었다. 강원은 8곳, 충북은 5곳, 충남은 4곳, 전북은 6곳, 전남은 8곳, 경북은 8곳, 경남은 9곳에서 ‘출생아 수 100명 이하’로 집계됐다.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기초자치단체는 출생아 수 감소 흐름과 함께 매년 빠르게 늘어나고 있다. 2019년에는 출생아 수가 100명 이하인 기초자치단체가 27곳으로 지금의 절반 수준이었다.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보다 많은 인구 자연감소 역시 지방에서 두드러졌다. 지난해 인구는 12만명 자연감소(출생아보다 사망자 수가 많음)했다. 전국 시·도(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세종시가 유일하게 사망자보다 출생아가 많아 인구가 1200명 자연증가했고, 다른 광역자치단체는 모두 자연감소를 기록했다. 인구 자연감소는 2020년 이후 5년 연속 이어지는 중이다. 5년간 자연감소한 인구는 45만6000명으로, 지난해 12월 기준 주민등록인구(5121만7000명)와 비교하면 약 0.9%에 해당하는 규모다. 지난해 광역시·도 중 인구가 가장 많이 자연감소한 지역은 경상북도(1만4900명)였고, 2위는 1만3800명이 감소한 경상남도였다. 전남과 전북, 충남, 강원 등도 자연감소했다. 수도권 쏠림 현상도 지방 소멸을 더욱 가속화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전출 인구 대비 전입 인구가 가장 많았던 광역자치단체는 경기도였다. 총 6만4000명의 인구가 기존 거주지를 떠나 경기도로 순유입됐다. 2위 역시 수도권인 인천으로 2만6000명이 순유입됐다. 반면 강원과 경남, 경북, 전남, 전북 등에서는 순유출됐다.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최근 5년간 추락과 붕괴 등의 건설재해로 멀쩡했던 1200여명이 숨지고 3만명 이상이 다친 것으로 나타났다. 3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민홍철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 5년(2020~2024년)간 건설재해 사망자는 총 1211명, 부상자는 3만340명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 ▲2020년 사망자 251명·부상자 4820명 ▲2021년 사망자 271명·부상자 5302명 ▲2022년 사망자 238명·부상자 6114명 ▲2023년 사망자 244명·부상자 7351명 ▲2024년 사망자 207명·부상자 6753명 등이다. 사망사고 원인별로는 ‘떨어짐’(사망자 622명)이 가장 많았고, ‘깔림’(221명), ‘물체에 맞음’(121명), ‘끼임’(64명), ‘화상’(38명), ‘부딪힘’(22명) 등이 뒤를 이었다. 부상의 가장 큰 원인은 ‘넘어짐’(7109명)이었으며 ‘떨어짐’(4612명)과 ‘물체에 맞음’(4056명), ‘끼임’(3112명), ‘부딪힘’(2528명), ‘절단·베임’(2144명) 등 순이었다. 해당 통계는 정부의 건설공사종합정보망(CSI)에 등록된 사망 또는 3일 이상 휴업이 필요한 부상의 인명 피해가 발생한 사고 건수를 집계한 자료다. 건설기술진흥법에 따라 시공사 등은 해당하는 피해 발생 시 신고 의무가 있다. 하지만 신고되지 않은 사고까지 고려하면 실제 인명 피해는 더 클 가능성이 있다. 민홍철 의원은 “건설재해로 인한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며 “일터에서 소중한 생명이 희생되는 안타까운 사고가 반복되지 않도록 산업재해 방지책을 더 촘촘하게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현대차 첫 외국인 최고경영자(CEO)인 호세 무뇨스 사장이 미국 유력 자동차 전문지가 선정하는 자동차 업계 가장 영향력이 있는 인물 1위에 올랐다. 무엇보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실세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를 제치고 '2025년 자동차 트렌드 파워 리스트' 전체 50인 중 1위에 선정됐다는 점에서 더욱 화제를 모았다. 모터트랜드는 1949년 창간돼 매월 100만부 이상 판매되며 매년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서 영향력 있는 50인을 '파워리스트'란 이름으로 순위를 매겨 공개한다. 동시에 가장 영향력 있는 높은 1인을 올해의 인물로 명명한다. 모든 순위는 모터트랜드 에디터들과 자문위원들의 엄격한 평가와 비공개 투표를 통해 결정된다. 무뇨스 사장에 이어 2위는 일론 머스크 테슬라 CEO가 뽑혔다. 이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도 3위에 올랐다. 이날 공개된 50인의 파워리스트에는 ▲메리 배라 제너럴모터스(GM) CEO(4위) ▲RJ 스카링 리비안 최고경영자(CEO·5위)도 TOP5에 이름을 올렸다. 무뇨스 사장 외에도 현대차그룹에서 5명이 더 포함됐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12위), ▲이상엽 현대차제네시스글로벌디자인담당 부사장(18위), ▲클라우디아 마르케스 현대차 미국 법인 최고운영책임자(20위), ▲루크 동커볼케 현대차그룹 최고 크리에이티브 책임자(29위), ▲카림 하비브 기아글로벌디자인담당 부사장(35위)이다. 모터트랜드는 지난해 15위였던 무뇨스 사장을 1위인 올해의 인물로 선정한 이유로 "지속적인 상승세를 보인 인상적 성과"를 꼽았다. 올해 1월 사장직에 오른 무뇨스 사장은 앞서 지난 2019년 현대차에 처음 합류해 지난해까지 글로벌 최고운영책임자(COO) 겸 북미·중남미법인장을 맡았다. 이 매체는 무뇨스 사장이 현대차그룹 첫 비(非) 한국인 CEO로서 놀랄만한 성과를 이뤄냈다고 평가했다. 또 그가 수년간 현대차 북미사업부를 이끌며 사상 최대 매출과 시장점유율, 최고 영업이익률을 이끌었다고 전했다. 무뇨스 사장의 북미·중남미법인장 취임 아래 2018년 87만대였던 현대차 북미 판매량은 ▲2022년 94만대 ▲2023년 108만대 ▲2024년 119만대로 증가했다. 또한 무뇨스 사장은 지난해 10월부터 시범 가동에 들어간 미 조지아주(州) 소재 신공장 현대차그룸 메타플랜트 아메리카(HMGMA) 공사를 2년간 지휘하며 전기차(BEV)와 하이브리드차(BEV) 모델의 현지 추가 생산을 가능하게 했다. 현대차 미국판매법인(HMA)도 소셜네트워크서비스에서 무뇨스 사장의 선견지명으로 현대차가 미국에서 전기차업체 중 선두에 올랐다며 그의 1위 선정을 축하했다. 앞서 2020년에는 피터 슈라이어 전 현대자동차그룹 디자인경영 담당이, 2023년에는 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이 이 매체 올해의 인물이 된 바 있다.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우리나라 대학교 중에서 가장 등록금이 비싼 곳은 어디일까? 2024년 기준 대학알리미 자료를 기초로 아파트랩 조사에 따르면, 의과대학 1년치 등록금 1위는 1290만원의 이화여대, 공과대학 1위는 980만원의 연세대로 나타났다. 의과대학 등록금 순위는 1위 이화여대에 이어 2위 고려대, 3위 연세대와 연세대(미래), 5위 건국대(글로컬)로 조사됐다. 6위~10위는 성균관대, 경희대, 아주대, 조선대, 중앙대 순이었다. 10위인 중앙대 의과대학도 1099만원으로, TOP10에 포함된 의대들의 등록금은 모두1000만원을 넘었다. 공과대학 등록금 순위는 1위 연세대에 이어 2위 신한대(제2캠), 3위 고려대, 4위 고려대(세종), 5위 신한대로 조사됐다. 6위~10위는 이화여대, 서강대, 숙명여대, 한양대, 연세대(미래) 순이었다. 10위인 연세대(미래캠퍼스)도 925만원으로, TOP10에 포함된 공대들의 등록금은 모두 900만원을 넘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오리온은 2024년 출시 50주년을 맞은 ‘초코파이情’의 글로벌 판매량이 40억개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판매량을 기록했다고 27일 밝혔다. 금액으로는 5800억원을 달성했다. 1974년 출시 이래 누적판매량은 500억개를 돌파했으며, 누적매출로는 8조원을 훌쩍 넘어섰다. 해외에서만 전체의 67%에 달하는 5조5000억원의 누적매출을 올리며 명실상부한 대한민국 대표 글로벌 브랜드임을 입증했다. 국내 식품업계에서도 유례없는 성과다. 오리온 초코파이는 모방할 수 없는 독보적인 제품력으로 전 세계인의 입맛을 사로잡으며 오리온이 글로벌 식품회사로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됐다. 수십 년간 쌓아온 글로벌 사업 역량을 바탕으로 국가별 문화와 트렌드에 발맞춘 신제품을 출시하는 등 현지화 전략으로 최고의 전성기를 맞이하고 있다. 오리온 초코파이 고유의 정서적 아이덴티티인 ‘정(情)’이 국내뿐만 아니라 글로벌 시장에서 자리잡은 것도 주효했다. 해외 시장에 진출한 지 30년을 넘어서며 글로벌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초코파이가 세대를 넘어 가족, 친구들과 함께 마음을 나누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현재 초코파이는 전 세계 60여개 국가에서 총 24종이 판매되고 있다. 한국, 중국, 베트남, 러시아, 인도에서는 현지 생산시설을 구축하고 글로벌 시장을 적극적으로 공략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오리지널과 바나나 맛이 인기리에 판매되는 가운데 색다른 맛과 감각적인 디자인의 계절 한정판 제품들이 완판을 이어가며 전 세대를 아우르는 제품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중국 대표 브랜드 평가 기관인 ‘Chnbrand’가 발표하는 ‘중국 고객추천지수’(C- NPS) 파이 부문에서 총 7번이나 1위를 차지했다. 이는 해당 브랜드를 얼마나 적극적으로 추천할 의사가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로 고객의 신뢰와 충성도를 반영한다. 베트남에서는 현지 파이 시장점유율 1위로 제사상에도 올라가는 등 국민간식으로 통용되고 있다. 러시아에서는 지난해 전 세계 초코파이 판매량의 40%에 해당하는 16억개가 판매될 만큼 수요가 높다. 현지 식문화를 반영한 잼을 활용한 제품을 선보이는 등 해외 법인 중 가장 많은 12종의 초코파이를 생산∙판매하고 있다. 인도에서도 현지인이 가장 선호하는 딸기와 과일 소비량 1위인 망고를 접목한 차별화된 제품을 선보이는 등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을 공략해 나가고 있다. 오리온 관계자는 “초코파이는 초콜릿, 비스킷, 캔디 기술이 융합된 오리온 제과기술의 집약체”라며 “오리온 초코파이만의 정서적 가치까지 전 세계인 모두가 즐기는 제품으로 키워갈 것”이라고 밝혔다.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호텔처럼 항공사도 5성급이 존재한다. 매년 영국 ‘스카이트랙스(SKYTRAX)’의 ‘월드 에어라인 스타 레이팅(World Airline Star Rating)’에서 ‘5성 항공사(SKYTRAX 5-star)’를 선정해 발표한다. 5성을 받은 전 세계 항공사는 대한항공을 포함해 총 10곳(ANA All Nippon Airways, Asiana Airlines, Cathay Pacific Airways, EVA Air, Garuda Indonesia, Hainan Airlines, Japan Airlines, Korean Air, Qatar Airways, Singapore Airlines)정도에 불과하다. 대한항공은 올해도 ‘5성 항공사(SKYTRAX 5-star)’로 선정됐다고 27일 밝혔다. 2020년부터 5년 연속 최고 등급인 5성 항공사로 선정된 것. 에드워드 플레이스테드 스카이트랙스 CEO는 “대한항공이 5성 항공사에 선정된 것은 수준 높은 고객 경험을 제공하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의 증거”라며 “편안한 객실, 기내식 등 모든 분야에서 뛰어난 서비스를 제공하고 탁월한 성과를 거두고 있다”고 밝혔다. 스카이트랙스는 1989년도 설립된 영국 런던 소재 항공운송 전문 컨설팅 및 평가 기관이다. 1999년부터 매년 전 세계 항공사의 서비스 요소를 종합적으로 평가해 최저 1성부터 세계 최고의 항공 서비스 품질을 뜻하는 5성까지 등급을 부여한다. 스카이트랙스의 ‘월드 에어라인 스타 레이팅’은 항공업계에서 권위를 인정받는 평가로 알려졌다. 이번 평가에서는 2024년 10월 말부터 2주에 걸쳐 스카이트랙스 심사관 3명이 ‘미스터리 쇼퍼(Mystery Shopper)’ 방식으로 대한항공 7개 노선 항공편을 직접 이용하며 고객 접점에 있는 모든 서비스의 품질을 확인했다. 평가 항목은 탑승 수속 및 환승, 라운지 등 공항 시설, 기내식, 기내용품, 기내 서비스, 기내 엔터테인먼트(IFE), 항공기 좌석, 수하물 운송 등 550여 가지에 달한다. 대한항공은 사용자 편의 위주의 홈페이지 구성, 여객·운송 시스템, 양질의 기내식, 엄선된 와인을 비롯한 음료 서비스, 기내식 사전 주문 기능, 기내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등에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또한 퍼스트, 프레스티지, 이코노미 등 모든 좌석 클래스에서 편안하고 청결한 기내 환경을 유지하는 것으로 평가됐다. 객실승무원들이 모든 좌석 클래스에서 친절하고 정중한 서비스를 제공한 점, 효율적이고 일관된 서비스로 승객 불편을 최소화한 점도 긍정적인 평가 요소였다. 대한항공의 고객 서비스 품질 개선에 대한 끊임없는 노력은 국내외에서 인정받고 있다. 지난해 소비자중심경영(CCM) 인증을 국내 항공사 최초 3회 연속 획득했으며, 글로벌 항공업계 평가사 APEX의 ‘오피셜 에어라인 레이팅’ 평가에서는 8년 연속 최고 등급인 5성 등급을 받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