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최근 발표된 과학 연구 결과에서 야생 문어는 여덟 개의 다리 모두를 자유자재로 사용할 수 있지만, 앞쪽 네 개의 팔과 뒤쪽 네 개의 팔이 각기 특화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Bennice et al., Marine Biological Laboratory, Florida Atlantic University 공동 연구, EurekAlert!, FloridaAtlantic, bioengineer, Science News, Neuroscience News, Economic Times에 따르면, 플로리다 애틀랜틱 대학과 해양생물연구소 공동 연구팀이 카리브해와 대서양 등 다양한 서식지에서 촬영한 25편의 영상 속 약 4000건의 팔 움직임을 정밀 분석한 결과다. 이 연구는 2025년 9월 11일 《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이번 연구는 이 지능적인 두족류가 자연 환경에서 여덟 개의 유연한 팔을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한 최초의 포괄적 분석을 제공했다. 분석 결과, 전체 팔 움직임 중 앞팔 사용 비율이 약 64%에 달했으며, 이들은 주로 주변 환경 탐색, 틈새 조사, 사물 조작에 적극적으로 동원됐다. 반면 뒷팔은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글로벌 IT 기업 메타(구 페이스북)가 2025년 9월 17일(현지시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열리는 연례 개발자 행사 ‘메타 커넥트 2025’에서 최초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소비자용 스마트안경 ‘하이퍼노바(Hypernova)’를 공개할 예정이다. 이 제품은 약 800달러(한화 약 11만원)에 책정되며, 오른쪽 렌즈에 소형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장착해 알림 확인, 내비게이션, 간단한 증강현실(AR) 기능을 제공한다. engadget, CNBC, TechRadar, UploadVR, Meta 공식자료에 따르면, 하이퍼노바 안경은 메타가 지난해 선보인 ‘오리온(Orion)’ 프로토타입 기술을 기반으로 하며, 혁신적인 근전도(EMG) 손목밴드를 통해 손목과 손가락의 미세한 근육 움직임을 감지해 손짓만으로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뉴럴 인터페이스 체험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메타는 하이퍼노바를 프리미엄 시장을 겨냥해 초기 생산 물량을 15만~20만대로 제한하면서 제품 완성도를 높이는 데 집중한다는 전략이다. 메타의 스마트안경 성공 신화는 이미 ‘레이밴 메타’ 시리즈를 통해 입증됐다. 이탈리아의 에실로룩소티카(EssilorLuxottica)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미국 최대 디지털 및 인쇄 출판사 피플(People Inc.)의 닐 보겔(Neil Vogel) CEO가 2025년 9월 초 Fortune Brainstorm Tech 컨퍼런스에서" 구글(알파벳)이 AI 제품을 위해 무단으로 콘텐츠를 도용하고 있다"고 공개 비난했다. TechCrunch, Fortune, Yahoo Finance, Cloudflare, BBC, Axios에 따르면, 보겔은 구글이 검색용과 AI 학습용 두 가지 목적으로 동일한 웹 크롤러를 사용해 출판사 콘텐츠를 훔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는 출판사들이 AI 크롤러만 차단할 수 없는 이유이며, 차단 시 검색 트래픽까지 차단돼 큰 피해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보겔 CEO는 피플사가 운영하는 40여개 브랜드, 예를 들어 People, Food & Wine, Travel & Leisure 등의 구글 검색 트래픽이 지난 3년간 약 65%에서 20%대 후반으로 급감했다고 밝혔다. 심지어 수년 전에는 전체 오픈 웹 트래픽 중 90%가 구글 검색에서 발생했을 정도로 구글 의존도가 높았다. 그는 자신들의 매출과 방문자 수는 성장 중이지만, 구글이 콘텐츠를 수집해 직접 경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일동제약(대표 윤웅섭)이 인도네시아 파트너사인 칼베 파르마(Kalbe Farma)와 고지혈증 치료제 ‘드롭탑(Droptop)’ 공급과 관련한 기존의 계약 범위를 확대하고 인근 동남아 시장 추가 진출에 나선다고 11일 밝혔다. 드롭탑은 체내 콜레스테롤 합성을 저해하는 스타틴(statin) 계열 약물인 로수바스타틴(rosuvastatin)과 콜레스테롤의 체내 흡수를 억제하는 에제티미브(ezetimibe) 성분을 조합한 이상지질혈증 치료용 복합제이다. 일동제약은 지난 2020년 인도네시아 1위 제약사인 칼베 파르마와 자사의 드롭탑 공급과 관련한 파트너십 계약을 체결하였으며, 허가 등록 및 출시 절차를 거쳐 2023년부터 해당 품목의 수출을 이어 오고 있다. 드롭탑은 ‘로제트(Rozet)’라는 상품명으로 현지에서 시판되고 있으며, 출시 후 3년간 연평균 성장률 125%를 기록하며 인도네시아 내 이상지질혈증 분야 복합제 시장에서 점유율 1위를 달리고 있다. 일동제약은 최근 칼베 파마의 수출입 및 유통 담당 계열사인 칼베 인터내셔널(Kalbe International Pte. Ltd.)과 필리핀, 캄보디아, 미얀마, 스리랑카 등 동남아시아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구글 AI 리서치와 딥마인드는 10억 매개변수 규모의 차등 프라이버시(Differential Privacy, DP)를 완전 적용해 처음부터 학습한 오픈소스 언어모델 ‘볼트젬마(VaultGemma)’를 9월 13일(현지시간) 공식 발표했다. 이는 지금까지 공개된 모델 중 가장 큰 규모의 DP 적용 LLM(대규모 언어 모델)으로, AI 민감 정보 보호·암기 공격 방지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한다. research.google, MarkTechPost AI Media Inc, VaultGemma: A Differentially Private Gemma Model, Huggingface, therift.ai, StartupHub.ai, Best AI Tools, Theme Bazar BD에 따르면, 볼트젬마는 Gemma 2 모델과 동일한 13조 토큰 규모 데이터셋을 활용했으며, 웹문서·코드·과학 논문 등 영어 텍스트를 주로 학습 대상으로 삼았다. 차등 프라이버시 기법의 핵심인 DP-SGD(확률적 경사 하강법에 노이즈 추가 및 그래디언트 클리핑 결합)를 활용해, 훈련 데이터 내 개별 레코드가 모델에 미치는 영향을 극소화하는 공식적인 시퀀스 수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캘리포니아 대학교 데이비스(UC Davis) 연구진이 자유롭게 움직이는 생쥐 뇌를 고해상도 3차원으로 실시간 촬영할 수 있는 소형 현미경 ‘딥인미니스코프(DeepInMiniscope)’를 개발하며 신경과학 연구의 새 지평을 열었다. 이 기술은 첨단 광학 설계와 인공지능을 결합해 동물의 움직임 제약 없이 뇌 활동과 행동을 연동해 연구할 수 있는 혁신적 도구로 주목받고 있다. UC Davis, Science Advances, College of Engineering, EurekAlert!, SSBCrack News, Phys.org에 따르면, DeepInMiniscope는 UC 데이비스 전기·컴퓨터공학과 양웨이젠(Weijian Yang) 교수가 이전에 개발한 렌즈 없는 카메라 기술을 기반으로 한다. 기존의 대형 렌즈 대신 100개 이상의 초소형 고해상도 렌즈렛(lenslet)을 활용, 각 렌즈렛이 포착한 수많은 시각 정보를 인공지능 신경망이 합성해, 빛 산란이 심한 생체 조직 내에서도 뇌 조직의 섬세한 3D 영상을 비침습적으로 재구성한다. 이 신경망 알고리즘은 최소한의 학습 데이터로도 대규모 뇌 데이터셋을 고속의 정확도로 처리할 수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팀 쿡 애플 최고경영자(CEO)가 2025년 9월 13일(현지시간) 국내 유명 IT 유튜버 ‘잇섭’과의 인터뷰에서 한국 고객에 대한 깊은 애정을 다시 한 번 강조하며, 최신 아이폰17 시리즈 출시와 함께 한국 시장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와 서비스를 확대할 뜻을 밝혔다. 쿡 CEO는 “한국 고객을 정말 사랑하며, 전 세계 어디에서든 제공하는 경험을 한국에도 똑같이 제공하고 싶다”고 직접 말했다. 이번 인터뷰는 애플이 아이폰17 시리즈를 세계 63개국에서 공개하고 사전 주문을 시작한 시점에 맞춰 진행됐다. 쿡 CEO는 “한국 시장은 매우 활기차고 창의적인 고객들이 많은 곳”이라며 “창의적인 사람들은 애플 제품을 선호하기 때문에 한국 고객층을 더 잘 모시고 싶다”고 덧붙였다. 특히 쿡 CEO는 ‘나의 찾기(Find My)’ 서비스의 한국 도입과 애플페이(Apple Pay) 확대를 한국 고객 배려의 중요한 사례로 꼽았다. ‘나의 찾기’ 기능은 애플 기기 분실 시 위치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핵심 서비스로, 그동안 한국에서는 국가 규제 등으로 지원이 미뤄져왔다. 하지만 2025년 봄 iOS 18.4 정식 배포와 함께 한국에 공식 도입되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코스피가 4년 2개월 만에 사상 최고치를 찍은 가운데 주요 그룹사들의 시가총액도 연초 대비 급증했다. 한화는 160% 넘는 증가율로 30대 그룹 가운데 1위를 차지하며 사상 처음으로 ‘시총 100조 클럽’에 들어섰다. 미래에셋과 효성, 두산도 나란히 세 자릿수 증가율을 기록하며 증시 훈풍을 이끌었다. 14일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 그룹 상장사 219개의 시가총액을 분석한 결과(1월 2일과 9월 10일 종가 기준), 전체 시총은 1500조2219억원에서 2099조8306억원으로 40.0% 증가했다. 9개월 만에 무려 600조원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같은 기간 한국 증권 시장 전체 시총(코스피·코스닥·코넥스 포함)은 2307조3380억원에서 3139조7112억원으로 36.1% 늘었다. 30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65.0%에서 66.9%로, 1.9%포인트 올랐다. 영풍(30위)을 제외한 29개 그룹의 시총이 모두 증가했고, 삼성·SK 등 5곳을 빼면 25개 그룹의 순위가 바뀌었다. 증가율 1위는 한화였다. 시총이 44조8068억원에서 118조1583억원으로 163.7% 급증했다. 전통적으로 삼성·SK·현대차·LG 4대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2024년 유흥업소에서 사용된 법인카드 사용액이 6000억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룸살롱에 지출한 법인카드 사용액이 전체의 절반을 넘은 가운데 단란주점 , 요정 등에서의 법인카드 결제도 많았다. 14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김영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국세청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지난해 접대비 명목으로 법인카드를 사용한 금액(잠정)은 총 16조2054억원으로 전년(15조3246억원) 대비 5.7% 증가했다. 이 중 유흥업소에 사용한 법인카드 금액은 5962억원을 기록했다. 전년(6244억원) 대비 4.5% 감소했지만, 여전히 6000억원에 근접한 규모다. 유흥업소 법인카드 사용액은 2020년 4398억원에서 2021년 코로나19 여파로 2120억원으로 절반 이상 줄었다. 2022년 5638억원으로 다시 늘어난 후, 2023년 6244억원으로 증가했다. 최근 5년간 금액을 합치면 2조4362억원에 이른다. 지난해 유흥업소 사용액 5962억원을 분석해보면 룸살롱이 3281억원으로 전체의 55%를 차지했다. 이어 단란주점(1256억원), 요정(723억원)이 뒤를 이었다. 또 극장식 식당(534억원), 나이트클럽(16
[뉴스스페이스=김시민 기자] 스페이스X는 2025년 9월 13일(현지시간) 캘리포니아 반덴버그 우주군기지에서 24기의 V2 Mini 스타링크 위성을 성공적으로 발사하며, 자사의 300번째 스타링크 배치 임무를 완수했다. NASA, SpaceX, UPI, Space.com, Yahoo News에 따르면, 이번 임무로 궤도 내 운용 중인 스타링크 위성 수는 8400기를 넘어서 역대 최대 규모의 통신 위성 군집을 이뤘다. 해당 발사는 올해 스페이스X의 42번째 캘리포니아 발사이자, 2025년 팰컨 9 로켓 출격 중 약 115회 가운데 다수를 차지하는 스타링크 임무 중 하나였다. 첫 단계 부스터 B1071은 이번 임무로 28번째 비행 기록을 세웠으며, 이전에 16차례 스타링크 임무와 5차례 국가정찰국 임무, 2022년 NASA의 수표면 해양 위상 미션을 지원했다. 발사 약 8분 후 부스터는 태평양의 드론선 'Of Course I Still Love You'에 안전하게 착륙했다. 스페이스X는 9월 14일(일) 미국 플로리다 케이프커내버럴 우주군기지에서 노스롭 그루먼의 시그너스 XL호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보내는 상업용 재보급 서비스 23번째 임무를 팰컨 9(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