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올리브영이 K뷰티 수출을 위한 마중물 역할을 강화한다. CJ올리브영(이하 올리브영)은 2025년 1월 31일까지 6개월간 외국인을 대상으로 인천공항부터 명동까지 일 3회 편도 운행하는 전용 버스, ‘올영 익스프레스(OLIVE YOUNG Express)’를 시범 도입한다고 4일 밝혔다. 인천공항에서 대표 관광 상권인 명동까지 무료 직통 버스를 운영, K뷰티 체험을 독려하는 한편 명동 상권 전반에서 다양한 K컬쳐를 즐길 수 있도록 돕는다는 취지다. 관광지식정보시스템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관광을 목적으로 한국을 찾은 외국인 입국자 수는 600만명 수준으로 추산된다. 같은 기간 올리브영을 방문한 외국인 관광객은 400만명 규모로, 상반기에만 방한 관광객 10명 중 약 7명이 올리브영을 찾은 것으로 집계됐다. 대표 관광 상권인 명동 내 6개 지점의 외국인 매출도 같은 기간 전년 대비 168% 성장했다. 올리브영은 명동 상권의 외국인 매출 비중이 90%를 웃도는 점을 고려해 ‘올영 익스프레스’의 도착지를 명동으로 정했다. 올리브영이 최근 방한 관광객의 필수 쇼핑 코스이자 ‘K뷰티 성지’로 입소문을 탄 만큼, 다양한 중소기업 브랜드 상품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식품첨가물 분야 1위는 한화솔루션으로 나타났다. 유통분야가 아닌 산업쪽 분야기업이 원천기술로 원재료를 공급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2위~5위는 LG화학, 대상, 백광산업, OCI(오씨아이) 순이었다. 6위~10위는 엠에스씨, 한솔케미칼, 젤텍, 삼양화인테크놀로지, 삼양사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지난 7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사용한 배달 앱은 배달의민족으로 월간 사용자 수가 2251만명이었다. 그 뒤로 쿠팡이츠 810만명, 요기요 589만명, 땡겨요 101만명, 배달특급 38만명 순이었다.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배달 앱 사용자 수를 조사해 발표했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스마트폰 사용자(Android+iOS)를 표본 조사한 결과, 24년 7월 배달의민족 앱 월간 사용자 수는 지난달 대비 3.7% 상승한 2251만명으로 앱 출시 이후 역대 최대 사용자 수를 기록했다. 위 조사는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가 한국인 안드로이드와 iOS 스마트폰 사용자 표본 조사로 실시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CJ프레시웨이가 글로벌 디자인 어워드에서 잇따라 수상하며 외식 브랜드 디자인 역량을 인정받았다. CJ프레시웨이는 지난달 ‘2024 레드닷 어워드’ 브랜드&커뮤니케이션 디자인 부문 위너와 ‘K-디자인 어워드 2024’ 커뮤니케이션 부문 골드위너의 영광을 안았다. 1955년 독일 노르트라인 베스트팔렌 디자인센터 주관으로 시작한 ‘레드닷 어워드’는 세계 3대 디자인 어워드로 알려져 있다. ‘K-디자인 어워드’는 아시아 3대 디자인 어워드 중 하나로 꼽힌다. 이번 어워드 수상은 CJ프레시웨이의 외식 솔루션 경쟁력을 입증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브랜드 디자인을 개발한 성과다. 외식 솔루션은 브랜드, 디자인, 메뉴 등 외식업 관련 컨설팅 전반을 일컫는다. CJ프레시웨이는 이를 위한 전담 조직을 운영하는 가운데, 외식 솔루션 담당 디자이너가 브랜드를 시각화하는 비주얼 브랜딩(Visual Branding) 컨설팅도 진행해 고객 만족도가 높다. 올 6월에는 CJ프레시웨이가 디자인을 포함한 브랜드 기획부터 매장 오픈까지 이끈 캐주얼 일식 레스토랑 ‘쇼지’가 문을 열었다. 수상작은 CJ프레시웨이가 강원도에서 영감을 받아 기획한 가상의 외식 브랜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글로벌 패션 브랜드 유니클로(UNIQLO)가 테니스 전설이자 유니클로 글로벌 브랜드 앰배서더인 로저 페더러(Roger Federer)와 전 세계를 여행하는 ‘로저와 함께하는 24시간(24 Hours with Roger)’ 시리즈의 새로운 에피소드를 공개했다. 이번 에피소드에서 로저는 세계에서 가장 유서 깊고 웅장하며 아름다운 도시 중 하나인 파리로 여행을 떠난다. 문화적 랜드마크, 현지 뮤지션의 작업실, 도시 외곽에 있는 테니스 코트 등 세계 최고의 도시인 파리를 로저만의 방식으로 여행하는 영상에서는 그동안 보지 못한 로저의 새로운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파리 오페라 발레단의 센터 코트인 오페라 가르니에를 방문하는 첫 번째 영상에서 로저는 세계 최고 수준 무용수들의 연습을 관찰하며 테니스와 발레의 유사점을 짚어본다. 두 번째 영상에서 로저는 테니스 아이콘인 야니크 노아(Yannick Noah)가 설립한 테니스 비영리 단체 ‘페트 르뮈르(Fête le Mur)’를 방문하여 현지 선수들과 특별한 경기를 펼친다. 유니클로가 지역 사회에 기부하고 프랑스 예술가 카롤린 데르보(Caroline Derveaux)가 설계한 화려한 코트 위에서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크라운해태제과(회장 윤영달)는 8월 1일 저녁 7시 서울 남산국악당 크라운해태홀에서‘제1회 누리한음회’공연을 개최했다. 전통예술을 올곧게 계승해 미래로 발전하기 위해 이 시대를 대표하는 명인명창 30여명이 뜻을 모아 새롭게 탄생한 ‘누리한음회’의 창립 공연이다. 순 우리말로 ‘세상’을 뜻하는 ‘누리’로 이름한 만큼 온 세상에 우리 전통음악 한음의 아름다움을 원형 그대로 전하고, 미래 세대로 계승 발전하기 위한 뜻 깊은 무대다. 각 분야 최고 명인명창들이 참여한 공연은 정악(궁중음악)은 물론 민속악의 악가무(樂歌舞)가 한자리에 펼쳐지며 아름다운 전통음악의 향연으로 펼쳐졌다. 길놀이와 진도북춤으로 화려하게 시작한 공연은 거문고, 가야금, 철현금 가락이 함께 울려 퍼진 ‘한·음 산조 앙상블’, 절제미의 정수인 승무와 관악 합주 대풍류가 어우러진 ‘승무와 대풍류’가 올려졌다. 이어 원장현 명인이 고향인 전남 담양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대금 독주 ‘고향 가는 길’연주와 거문고와 가곡 듀오(여창가곡 우조 이수대엽)가 공연됐다. 굿 반주곡인 ‘경기 시나위’ 가락과 흥보가 중 ‘제비노정기’의 가야금 병창’에 이어 장엄하고 평화로운 춤 사위와 현란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축산물 분야 1위는 서울우유협동조합으로 나타났다. 2위~5위는 하림, 매일유업, 롯데웰푸드, 빙그레 순이었다. 6위~10위는 남양유업, 씨제이제일제당(CJ제일제당), 동원에프앤비, 농협 목우촌, 도드람푸드로 나타났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2023년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이 2022년에 이어 2년 연속 100조원을 돌파했다. 이른바 K푸드를 주도한 라면과 김치의 수출이 전년대비 각각 24.4%와 45.7% 증가하며 역대 최고치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1일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전년대비 3.5% 증가한 108조4875억원을 기록했다. 2022년 104조 8190억원에 이어 2년 연속 100조원 돌파다. 2023년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국내 총생산(GDP) 2236조3294억원 대비 4.9%, 국내 제조업 총생산(GDP) 546조6640억원 대비 19.8%를 차지했다. 식품산업 생산실적은 식품, 축산물, 건강기능식품으로 나뉘는데 지난해 69조9308억원이 생산된 식품 부문에서는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소스류, 빵류의 생산이 많았다. 특히 도시락같은 즉석섭취식품 생산액이 급증했는데 해외여행 기내식 섭취가 큰폭으로 증가한 영향이란 설명이다. 기내식 납품업체인 대한항공씨앤디서비스와 게이트고메코리아의 생산액은 전년대비 각각 155.1%와 114.2% 증가했다. 주요 수출 품목은 라면과 즉석섭취·편의식품류, 조미김 등으로 집계
식품의약품안전처와 식품안전정보원이 밝힌 국내 가공식품 분야 1위는 CJ제일제당(씨제이제일제당)으로 나타났다. 2위~5위는 롯데칠성음료, 농심, 오뚜기, 하이트진로 순이었다. 6위~10위는 롯데웰푸드, 삼양사, 대상, 삼양식품, 동서식품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