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4 (월)

  • 구름조금동두천 21.4℃
  • 구름많음강릉 24.9℃
  • 구름많음서울 22.2℃
  • 구름조금대전 21.9℃
  • 구름많음대구 26.9℃
  • 흐림울산 24.8℃
  • 구름많음광주 22.4℃
  • 구름많음부산 22.7℃
  • 구름많음고창 21.4℃
  • 흐림제주 24.7℃
  • 맑음강화 19.8℃
  • 구름조금보은 20.9℃
  • 구름많음금산 20.7℃
  • 흐림강진군 23.8℃
  • 흐림경주시 26.8℃
  • 흐림거제 22.9℃
기상청 제공

Opinion

[AI시대, 챗GPT 뽀개기] ⑥ 우리는 무엇을 준비해야 하나?

[게티이미지뱅크]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ChatGPT는 대중화되어 가고 있는 대화형 AI의 현주소다. ChatGPT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질문이 가장 중요하다.

 

우선 ChatGPT에게 “AI 시대에 무슨 능력이 요구되는가?” 물었더니 아래와 같이 답변했다.

 

GPT  답변 : AI 시대에서는 기존의 일부 직업들이 자동화되어 사라지거나 변화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새로운 직업들이 등장할 것입니다. 따라서, 미래의 일자리를 찾기 위해서는 새로운 기술과 업무에 대한 이해와 학습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다음과 같은 능력들도 중요합니다.

 

1. 기술적 전문성: AI 시대에서는 STEM 분야의 전문 지식과 기술이 중요합니다. 특히, 데이터 분석, 기계 학습, 딥 러닝 등과 같은 기술적 전문성은 매우 중요합니다.

 

2. 문제 해결 능력: AI 시대에서는 문제 해결 능력이 매우 중요합니다. 새로운 문제에 대처하고, 새로운 상황에서 빠르게 대응하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3. 창의적 사고력: AI 시대에서는 창의적인 사고력이 중요합니다. 새로운 아이디어를 생각하고, 새로운 방법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됩니다.

 

4. 소통 능력: AI 시대에서는 인간과 인공지능 간의 상호작용이 중요합니다. 따라서, 좋은 소통 능력은 매우 중요합니다.

 

5. 윤리적 의식: AI 시대에서는 인공지능과의 상호작용에서 윤리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윤리적 의식과 문제 해결 능력이 중요합니다.

 

6. 학습과 발전 능력: AI 시대에서는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대처하기 위해,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이 필요합니다. 새로운 기술과 업무에 대한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 능력이 요구됩니다.

 

다음으로 “ChatGPT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 필요한 능력은 무엇인가?“ 물었더니 답변은 아래와 같았다. 

 

GPT 답변 : ChatGPT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몇 가지 능력이 필요합니다.

 

명확하고 구체적인 질문을 할 수 있는 능력 : ChatGPT는 질문에 대한 답변을 제공하는 기능을 갖고 있기 때문에, 질문이 명확하고 구체적일수록 정확한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ChatGPT를 잘 활용하기 위해서는 명확하고 구체적인 질문을 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1. 문맥적 이해와 상식적인 사고 능력 : ChatGPT는 대화의 문맥을 이해하고, 상식적인 사고를 통해 답변을 제공하기 때문에, 이러한 능력이 있는 사용자일수록 높은 수준의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2. 영어 능력: ChatGPT는 영어로 대화를 진행하기 때문에, 영어로 의사소통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ChatGPT의 답변도 영어로 제공되기 때문에, 영어 이해력이 좋을수록 높은 수준의 대화를 나눌 수 있습니다.

 

3.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 능력: ChatGPT는 학습 기반의 대화 모델이기 때문에, 사용자가 대화를 할 때마다 모델이 학습하고 발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지속적인 학습과 발전 능력이 필요합니다.

 

4. 컴퓨터 및 인터넷 환경에 대한 이해와 기술 능력: ChatGPT는 인터넷 환경에서 작동하며, 컴퓨터를 이용해 접속해야 합니다. 따라서, 컴퓨터 및 인터넷 환경에 대한 이해와 기술 능력이 필요합니다.

 

상기 답변과 같이 GPT는 ‘일반상식’선에서 답변을 척척 해낸다. GPT는 질문에 대한 맥락을 이해하기 때문에 질문과 문답에 대한 설계능력이 필요하다. 또한 질문에 대한 답변들을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어야 하며, 정보들을 합쳐 새로운 인사이트를 볼 수 있는 통합/통찰력도 요구된다. 이러한 능력을 종합하여 사람들에게 공감을 이끌어 내는 설득력과 공감력도 필요하다. 

 

ChatGPT는 소크라테스의 문답법과 닮았다. 소크라테스는 '참지식은 글이나 문자로 전달되지 않으며, 오로지 생생한 대화를 통해서만 전달된다' 고 생각했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글을 남기지 않았다.

 

그래서  방안에만 박혀서 사색만 하지 않고, 아테네 광장이나 길가, 시장바닥을 돌아다니면서 신분,지위, 재산, 연령등에 무관하게 사람들과 거리낌없는 대화와 토론을 하였다. 이때 소크라테스는 사람들에게 질문공세를 퍼부으면서 자기 스스로 무지를 자각하게 만드는 철학적 교수법으로 유명했는데, 그것이 바로 소크라테스의 주요 업적인 소크라테스식 문답법(The Socratic Method)이다. 

 

ChatGPT 진화를 보면서 앞으로 인간은 AI를 통해 맞춤식으로 지식을 전달받고,  그 지식을 기반으로 서로 질문과 답변을 통해 지혜를 쌓고 인사이트를 공유할 것 같다. 글을 남기는 것은 ChatGPT와 연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몫이 될 것이다.  

 

배너



[마음공간] 순간이동 아니 '순간망각'의 생활화

‘영원불멸’…참으로 멋진 말입니다. 변하지 않고 없어지지 않음을 말하니, 그 대상이 무엇인지를 떠나 굉장히 있어 보이고 유서 깊어 보입니다. 이에 반해 순간과 찰나 등은 아주 잠깐의 시간으로, 그저 스쳐 지남인데 굳이 의미를 부여하면 ’옷깃만 스쳐도 인연‘이란 말처럼 이 역시 우리가 만들어가는 작지만 큰 부분이라고 볼 수도 있습니다. 왜 시간 이야기를 꺼내들었을까요? ‘무심’을 견지하기 위해선 딱 하나만 기억하시면 좋습니다. 조직 생활을 함에 있어 순간 ‘욱’할 경우 그리고 ’화‘를 참기 어려운 상황에서 나아가 ’잠깐‘ 모면하면 될 일이 의외로 많은데 우리는 그런 자리와 그런 때를 안타깝게도 지키고 있습니다. 파수꾼도 아니면서 그깟 자존심이 뭐라고… 경비대도 아니면서 계속 바라보느라고… 군대도 시정하면 되는데 고수하느라고… 있지도 않았던 스트레스를 받고, 생기지도 않을 화병을 얻고, 끝내 난관에 처합니다. 그럼 어찌하면 될까요? 잠깐 밖으로 나가고, 잠시라도 나가서 걷든지 뛰고, 생각나는 걸 그냥 생각하지 마십시오. 막상 실천해보면 의외로 쉽고, 간단하고, 아무것도 아닐 것입니다. 예전 건배사로 유명했던 “이멤버? 리멤버!”처럼 우리 계속 기억하자고 다짐도

[방구석은 우주] '러브레터' 한여름밤 꿈꾸는 겨울날의 사랑동화

6월이 이처럼 더운 계절이었던가요, 아니면 사무실 냉방시설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 간이 선풍기를 켜지 않고는 버티기 힘든 오후입니다. 기분 좋은 뉴스라도 있으면 좋겠는데 실상은 먹고 살기 힘들다는 얘기, 기업 경영이 어렵다는 얘기, 계속되는 이혼 소송 얘기 등 땀 나고 어질어질한 소식들이 넘쳐납니다. 이처럼 지치는 여름날 집에 돌아오면 뭔가 상큼하고 시원한, 여름과는 전혀 다른 느낌의 영화를 봐야 제격이지요. 6월 셋째 주 월요일 저녁 <러브레터> DVD를 틀었습니다. <러브레터>는 대학교 2학년 때 이후 제가 가장 좋아하는 영화입니다. 1997년 가을, 학교 축제 때 영화 동아리가 강당을 빌려 이 작품을 상영했었지요. 아직 일본 영화가 공식적으로 수입되기 전이었습니다. 싼값에 낯선 나라 작품을 접한다는 생각으로 친구 네 명이 함께 강당을 향했고, 반해버렸습니다. 주연배우인 나카야마 미호에게 반한 건지, 아니면 영화에 반한 건지 아직도 헷갈리지만… 여하튼 반했습니다. 참 깨끗한 영화입니다. 흰 눈 가득한 산과 눈 오는 장면들이 많이 나와서 그런지, 배우가 설산에 대고 ‘오겡끼데스까’를 하도 외쳐서 그런지 작품 색깔도 하얗고 맑습니다.

[마음공간] 당신 마음 속엔 ‘배려‘라는 공간이 있나요?

내가 힘든데 주변을 챙길 여유가 있을까요? 인위적으로 그리고 일부러 그럴 필요는 없겠지만, 일부러 누군가에게 뭔가를 서포트하려는 행동이 참됨은 아닐 것입니다. 무심은 사실 ‘이타주의’도 아니고 ‘이기주의’도 아닌 ‘개인주의’에 가깝지만, 한층 더 들여다보면 둘을 합친 ‘개타주의’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몸에 베어있지 않다면 주변을 살필 겨를이 없을텐데 아주 사소한 것도 챙기는 이들을 보면 사실 이들이야말로 진정한 무심파 입니다. 소피스트의 궤변처럼 들릴 수도 있겠으나, ‘무심’안에는 말하지 않아도 느끼는 ‘정’과 함께 에로스나 아가페는 아닐지언정 교감할 수 있는 ‘사랑’을 넘어 기부라는 거창한 말은 아니지만 쉐어할 수 있는 ‘도네이션’이 담겨져 있습니다. 진짜 무정한 사람들은 자기만 챙기고 절대 주위를 살피지 않는데 그건 사회적 고립이고, 마음의 평화를 유지하는 ‘무심’이 아닌거죠. 바쁜 주중 어느 날 흐린 오후 한 때 움직이는 이동의 순간 대신 여유 있는 주말, 맑은 아침, 커피 한 모금 들이키는 순간 우리는 아이러니하게도 더 많은 고민과 걱정을 하곤 합니다. 겉으론 이 세상 다가진 행복한 표정을 지으면서 말이죠. 꿈꿔봅니다. 연기하지 않아도 되는 그날을

[방구석은 우주] 아직 살아있지 못한 자 '미생', 직장인으로 산다는 것

아재의 회사 생활이란 게 쉽지 않습니다. 남이 주는 돈을 받고 일하는 곳이어서 그런 걸까요? 언제나 주인보다는 머슴의 입장인 것 같습니다. 부장이 되어도 여전히 눈치 볼 윗분은 많고, 후배들 대하는 것도 편하지 않습니다. 환경은 또 왜 이리 빨리 변하는지 바뀐 트렌드며 기술 용어 따라가기 벅찹니다. 시간도 마찬가지지요. 분주하게 움직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팀원들은 모두 퇴근하고 저만 혼자 남아 있을 때도 있습니다. 그러면 왠지 마음이 무겁고 외로워집니다. 이 같은 기분으로 돌아왔을 때 방구석에서 만나는 만화책 <미생>은 제게 좋은 친구가 되어줍니다. <미생>에는 직장인의 고민과 삶이 그려져 있습니다. 회사 전경과 사무실 모습처럼, 그 안에서 일하는 사람들을 잘 그려냈습니다. 직장인 이야기이지만, 확연한 계급 구조 속 분리·차별의 사회를 힘겹게 버텨내는 이들을 말하려는 듯하기도 합니다. 이런 차원에서 보면 바둑에서 따왔다는, ‘아직 살아있지 못한 자’란 뜻인 ‘미생’은 더할 나위 없이 잘 지은 제목입니다. 프로바둑기사를 준비하다 포기하고 원 인터내셔널에 입사한 장그래. 인턴 및 계약직으로, 또 중소기업 사원으로 배우고 성장하는 그의 주변으로

[마음공간] ‘이상적 원시안’ 대신 ‘현실적 근시안’이 무심의 미덕

오늘 지나면 주말이고, 차주 조금 버티면 연휴고 그러고 나면 연말이고 또 한 해가 가고…. 그렇게 시간을 보내며, 나만의 루틴 속에 나의 행복과 평정심을 찾고 그러면서 또 준비하고 도모하면 좋을꺼라고 현자들은 말합니다. 한마디로 멀리 보지도 말고, 예측하지도 말고, 깊게 발담그지 말라는 ’근시안‘적 사고가 필수란 말이었습니다. 보통은 훗날을 내다보고, 차기를 준비하며, 원대한 포부를 가지라고 할텐데 전 왜 여기서 이렇게 말하고 있을까요? 의구심이 드는 여러분, 이 기조를 한번 따라보시면 어떨까요… 그러고나니 아르키데메스 ’유레카‘는 아니지만 딱하고 떠오른 생각! ’맞아~ 고민해도 답이 없었고, 걱정해도 안풀렸으며, 노력해도 안되던 때가 있었지… 백날 훗날을 그려봐야 당장 한 치 앞을 모르는데, 뭔 의미가 있겠어’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아니 저절로 무거웠던 머리가 끄덕여 졌습니다. 높이 나는 새가 멀리 보겠지만, 힘들껍니다. 멀리 보는 사람이 많이 담겠지만, 눈이 아플껍니다. 희망만을 꿈꾸면 절망이 왔을 때 무너질껍니다. 맞습니다… 그럴껍니다. 여러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가수 이예린의 명곡 <늘 지금처럼>처럼 ’유지의 미학'을 실천하고 다짐하면

[마음공간] 당신의 동굴은? "마음 놓고 소리치고, 울 공간 마련"

‘없는 마음 갖기’란 일명 ‘무심’을 위한 기본인 ‘비움’을 생각해 본다면 역으로 뭔가 차 있다는 말일 것입니다. 쌓여 있다는 거겠죠. 아마도 스트레스, 근심, 번뇌, 걱정 등등… 뭐 말해 봐야 입만 아플 뿐. 일주일 중 특정요일을 정해 재활용 분리수거 하듯 규칙적으로 할 순 없겠지만, 무심을 유지하기 위해선 비움에도 전략이 필요합니다. 언제, 어떻게, 어디에 버리시겠습니까? 잔도 비우면 채우고, 허기도 느끼면 먹거리를 채워야 하듯 늘 일정한 수준으로 평상심에 가까운 지속가능한 상태를 유지하려면 소위 ‘카타르시스’ 전략이 필요합니다. 큰숨, 한숨, 명상 등은 이미 다들 하고 있는 것일테고 오늘은 좀 창피하지만, 때론 부끄럽겠지만 확실한 방법을 소개할까 합니다. 이를 위해선 우선 혼자만의 공간과 소음이 새어 나가지 않을 곳이 필수긴 한데 바로 ‘대성통곡’ 입니다. 물론 대성통곡이라 쓰고 크게 노래하기(소리지르기)라고 읽고 싶습니다. 순간의 분출로 희열을 맛볼 수 있으며, 내적으로 축적된 응분의 덩어리는 조금이나마 고성방가로 날려버릴 수 있습니다. 나아가 눈물, 콧물 마저 적당한(?) 양으로 흘려준다면 감정의 정화와 함께 우리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의 배출로 조금

[마음공간] ‘무소유’와 ‘무심’의 상관관계…'무심경제학' 번아웃 막는다

최근 우연히 tv에서 예전 법정 스님의 다큐멘터리를 접했습니다. 이제 열반하셨지만 정말 그 명작을 보고 있노라니 숙연해 지더라구요. '그렇고 그런 뻔하디 뻔한 제작물'이지 않을까란 편견은 시청 시작과 동시에 이내 사라졌으며, 그 분의 발자취와 소중한 정신에 저도 모르게 머리 숙여졌습니다. 물론 출가하며 속세의 가족도 뒤로 한 채 홀연히 삭발하던 모습은 인간적 관점에선 참 많이 아쉽고, 실망스러웠으며 저게 뭘까라고 잠깐 반문키도 했습니다. 하지만,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스님이 남기신 ‘무소유’ 정신은 정말 후세에도 길이 전해질 영적인 heritage라고 생각했습니다. 여러분, 무소유란 무엇일까요? 그저 내가 갖고 머무는 공간에 뭔가로 채우지 않고 빈 상태를 유지하며 없는 마음가짐을 지속하는 걸 말하는 걸까요? 단지 갖고 있던 물건들을 정리하고 버리는, 애시당초 소유하지 않는, 아껴쓰고 나눠쓰고 바꿔쓰고 다시쓰는 것을 말하는 것일까요?? 저도 물리적 관점에서 그렇게 여겼습니다. 하지만 곱씹어 보면 무소유란 늘 비우려고 노력하고, 뭔가 탐하려 애쓰지 않으며, 있는 그대로에서 욕구를 버리고 세상 이치에 발맞춰 오버하지 않으며 지내는 것이란 아주 지극히 평범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