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9 (토)

  • 맑음동두천 18.6℃
  • 맑음강릉 23.6℃
  • 맑음서울 21.8℃
  • 구름조금대전 22.1℃
  • 구름많음대구 22.5℃
  • 박무울산 20.1℃
  • 흐림광주 23.2℃
  • 흐림부산 22.0℃
  • 구름많음고창 22.2℃
  • 흐림제주 22.7℃
  • 맑음강화 20.1℃
  • 구름많음보은 19.7℃
  • 구름많음금산 20.5℃
  • 흐림강진군 22.6℃
  • 구름많음경주시 20.3℃
  • 구름많음거제 21.4℃
기상청 제공

People

KAIST 이광형 총장, 몬트리올大 명예박사 받다

북미 프랑스어권 명문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 학위수여식에서 명예박사 학위
다학제적 접근 방식의 선구자, 한국사회 발전 기여 공로

 

[뉴스스페이스=이현주 기자] KAIST(총장 이광형)는 이광형 총장이 북미 프랑스어권 최고 대학으로 손꼽히는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Université de Montréal)의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고 16일 밝혔다.

 

이 총장은 컴퓨터 과학, 생물학, 나노기술 등을 종합한 다학제적 접근법을 개척한 공로를 인정받아 몬트리올대학교 명예박사 학위 수여자로 선정됐다. 

 

이번 명예박사 학위 수여는 몬트리올대학교의 부속 대학이자 캐나다 최대의 공학 교육 및 연구기관 중 하나인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Polytechnique Montreal)의 추천을 통해 추진됐다. 

 

모드 코헨(Maud Cohen)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 총장은 “이 총장의 총체적이고 다학제적이며 미래지향적인 비전은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이 추구하는 것과 동일한 가치를 구현하고 있으며, 그간의 활동으로 미래 세대를 위해 헌신한 것에 대한 보답으로 명예박사 학위를 수여한다”라고 설명했다.

 

이 총장의 명예박사 학위 수여는 현지 시각으로 15일 열린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의 학위수여식에서 진행됐다.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 출신의 사업가이자 자선가인 세르주 장드롱(Serge Gendron)도 이날 명예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광형 총장은 그동안 공학 교육과 다학제 연구, 전략 수립, 미래 전략 등 여러 분야에서 국제적인 공로를 인정받아 왔다. 특히, KAIST 출신이 주축을 이루는 대한민국 1세대 벤처 창업가들이 기업가로 성장하는 데 큰 영향을 준 것으로도 잘 알려져 있다. 이러한 활약을 바탕으로 국민훈장 동백장을 비롯한 다수의 국내 훈장과 표창을 받았으며, 2003년에는 프랑스 정부로부터 최고 훈장인 ‘레지옹 도뇌르 슈발리에’를 받기도 하였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학위 수여 연설을 통해 몬트리올대학교와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에 감사를 표하는 한편, 학교를 떠나 새로운 출발을 앞둔 졸업생을 위해 “꿈을 간직하고 세상을 다르게 보려고 노력하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라”는 세 가지 조언과 함께 “미래는 도전하는 여러분의 것”이라며 축하와 당부의 말을 전했다.

한편 몬트리올대학교는 캐나다의 프랑스어권 지방인 퀘백주에 위치한 공립대학교로 1878년 개교했다. 캐나다의 5개 주요 대학 중 하나이며, 프랑스어권에서는 가장 많은 학생 수와 연구 성과를 자랑하는 대학으로 명성을 누리고 있다. 13개 학부에서 600개의 학위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80개국 550개 파트너와 국제 협력을 추진 중이다. 또한, 경영대학인 HEC Montréal과 공과대학인 Polytechnique Montreal 등 총 2개의 부속대학을 운영하고 있다.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구 에콜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은 1873년에 설립된 캐나다 최대의 공학 교육 및 연구기관 중 하나로, 북미 프랑스어권 최고의 대학교로 손꼽히는 몬트리올 대학교(Université de Montréal) 소속이다. 딥러닝의 기초를 정립해 튜링상을 수상한 요슈아 벤지오가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에 있어서 인공지능을 비롯한 관련 분야에서 국제적인 명성을 얻고 있다. 폴리테크니크 몬트리올은 한국 대학 중에서는 최초로 KAIST와 파트너십을 맺고 1998년부터 긴밀한 협력을 이어왔다.

배너



[CEO혜윰] 롯데 3세, 신동빈 장남 신유열 누구? 국적논란·지분확보·경영능력 '남은 과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신유열 전무는 롯데그룹 신격호 창업주의 손자이자 신동빈 2대 회장의 장남이다. 영국 런던 출신 한일혼혈 재일교포 3세다. 부친인 신동빈 회장이 노무라 증권 영국지사에서 근무하던 1986년 영국 런던에서 태어났으며, 2년 뒤인 1988년 일본으로 귀국했다. 영산 신씨에서 항렬은 ‘열’이다. 일본이름 시게미쓰 사토시며, 일본 국적을 유지하고 있다. 일본 국내에서는 부친 및 백부와 똑같이 아오야마가쿠인대학의 부속 일관제 학교인 아오야마가쿠인 초·중·고등부를 졸업했다. 롯데그룹 저택이 위치한 도쿄 시부야구 쇼토의 근처에 아오가쿠가 위치해 있다. 다만 부친 및 백부와 다르게 아오야마가쿠인대학 내부진학이 아닌 게이오기주쿠대학 상학부에 진학했다. 졸업 후 부친과 똑같이 노무라 증권에서 근무하며 미국 아이비 리그 컬럼비아 대학교 MBA를 수료했다. 신동빈도 노무라 증권-컬럼비아MBA 출신이다. 신 회장은 1988년 일본 롯데상사에 이사로 입사해 롯데에 발을 들였다. 1990년에는 호남석유화학(현 롯데케미칼)에 상무로 취임하며 한국 롯데에 모습을 드러냈다. 신격호 명예회장의 장남인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 역시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MBA를

광동제약 최성원 회장, 2024 고용평등 공헌 '국무총리 표창' 수상…"좋은 일터 만들기 노력"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광동제약은 최성원 회장이 고용노동부가 주최한 2024 ‘고용평등 공헌포상’에서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문화 확산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국무총리 표창을 수상했다고 29일 밝혔다. 고용평등 공헌포상은 남녀가 동등하게 일할 수 있는 고용환경 조성과 고용평등 의식 확산에 앞장선 유공자와 우수기업을 선정하는 시상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린 이번 시상식은 ‘함께 만드는 일·가정 양립, 함께 누리는 남녀고용평등’을 주제로 진행됐다. 최성원 회장은 △법정기준 연차휴가 외 별도 휴가 부여를 통한 일과 가정의 양립 지원(총 27일 제공, 법정 외 +12일) △여성채용목표제 수행 △여성 리더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성희롱 고충상담위원 선임 △육아휴직 및 남성 배우자 출산휴가 등 고용평등 환경을 조성한 공로를 인정받아 수상자로 선정됐다. 또한 모성보호 관련 제도에서도 우수한 평가를 받았다. 광동제약은 임산부 보호를 위해 단축근무를 시행하고 부인과 검사를 포함한 종합건강검진을 지원하고 있다. 사내 여직원 휴게 공간도 운영해 언제든 편안하게 쉴 수 있는 근무환경을 제공한다. 이 밖에도 유연근무제, PC-off제도, 가족돌봄휴가, 직무 스트레스

'오뚜기 오너 3세' 함연지, 美 법인 마케팅 직원 입사…경영수업 본격화

[뉴스스페이스=최동현 기자] 오뚜기 오너가(家) 3세이자 함영준 회장의 딸인 뮤지컬 배우 함연지(32) 씨가 오뚜기 미국법인에 입사했다. 함씨의 오뚜기 경영수업이 본격화됐다는 관측이다. 함씨는 오뚜기 창업주 故 함태호 회장의 손녀다. 함씨는 오뚜기 지분 1.07%를 소유하고 있다. 24일 업계에 따르면 함씨는 지난해 9월 미국으로 거처를 옮긴 후, 이달 오뚜기 미국법인인 오뚜기아메리카의 마케팅 업무 담당 사원으로 입사했다. 함 씨는 올해 초부터 오뚜기아메리카에서 인턴으로 일하다가 이달부터 정식으로 입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1992년생인 함 씨는 미국 뉴욕대 티시예술대학을 졸업하고 국내에서 뮤지컬 배우로 활동했다. 함씨는 지난해 12월 본인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미국 시장에 한국 음식을 어떻게 하면 잘 알릴 수 있을까에 대해서 고민을 깊게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번 정식 입사가 오뚜기의 해외 사업 강화와 무관치 않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오뚜기 측은 함연지 씨가 글로벌 경영에 참여할 것이라는 관측에는 선을 그었다. 오뚜기 관계자는 "'본격적으로 경영수업을 시작했다'는 등의 이야기는 이번 입사와 전혀 상관없다"고 설명했다. 한편, 함 회장의 아들인 함윤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