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8 (금)

  • 구름조금동두천 23.1℃
  • 구름조금강릉 25.0℃
  • 구름많음서울 24.7℃
  • 맑음대전 22.4℃
  • 맑음대구 22.1℃
  • 구름조금울산 24.3℃
  • 구름많음광주 21.8℃
  • 구름많음부산 22.7℃
  • 구름조금고창 21.8℃
  • 구름많음제주 22.5℃
  • 구름조금강화 22.9℃
  • 맑음보은 18.4℃
  • 맑음금산 20.7℃
  • 맑음강진군 21.1℃
  • 구름조금경주시 21.8℃
  • 구름많음거제 21.4℃
기상청 제공

우주·항공

우주비행사 '가방' 지구 궤도 떠돌다…"인공위성과의 충돌 가능성은 낮아"

우주비행사가 실수로 가방 떨어뜨려…지구 궤도 유영 중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의 후루카와 사토시가 촬영한 가방의 모습. [X(옛 트위터)]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NASA 우주비행사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중 실수로 떨어뜨린 가방이 지구 궤도를 돌고 있다. 다행히 NASA의 분석 결과 가방이 다른 인공위성과 충돌할 가능성은 매우 낮은 것으로 알려졌다.

 

11일(현지시간) 미국 스페이스 닷컴에 따르면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우주비행사 재스민 모그벨리와 로랄 오하라가 ISS에서 장비를 정비하던 중 실수로 도구가 든 가방을 잃어버렸다고 지난 7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밝혔다. 현재 이 가방은 ISS보다 약 2~4분 앞서서 지구 궤도를 돌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가방의 겉보기등급(별의 밝기를 측정하는 단위)은 약 6등급으로, 천왕성보다 약간 어둡다. 이는 맨눈으로는 보이지 않지만, 쌍안경으로는 관측할 수 있는 정도다.

 

하지만 우주비행사가 잃어버린 이 가방을 계속 관측할 수는 없을 전망이다.

 

천체관측 사이트 어스스카이(EarthSky)는 이 도구 가방이 2024년 3월경 대기권에 진입해 떨어질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스페이스닷컴에 따르면 가방은 지구 대기권으로 빠르게 떨어지고 있으며, 지구 상공 약 113㎞의 고도에 도달하면 가방이 대기와의 마찰로 인해 불타버릴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우주비행사가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임무를 수행하던 중 도구가방을 놓치는 모습. [메간 크리스천 'X(옛 트위터)']

 

미국 하버드 천체물리학 센터의 천문학자 조나단 맥도웰은 X(옛 트위터)를 통해 "이 가방은 지구 궤도에 있는 인공 물체에 대한 미국 우주군의 분류 시스템에서 '58229/1998-067WC'로 공식 지정됐다"라고 설명했다.

 

유럽우주국(ESA)의 예비 우주비행사 메간 크리스천은 자신의 X 계정을 통해 모그벨리가 가방을 놓치는 순간을 촬영한 영상을 공유했다. 그는 "가방이 일본 후지산 상공에 떠 있는 것을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의 후루카와 사토시가 목격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우주에서 정비 중 물건을 놓치는 사고는 종종 발생한다.

 

NASA의 우주비행사였던 피어스 셀러스는 2006년 우주왕복선 디스커버리호를 수리하던 중 사용하던 주방용 주걱을 잃어버렸다. 그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주걱이었다"며 잃어버린 주걱을 그리워한 것으로 알려졌다.

 

배너



울릉도·흑산도·백령도 ‘하늘길’ 열린다…2026년부터 비행기로 간다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이제까지는 뱃길만 있는 동해의 울릉도, 서해의 백령·흑산도에 하늘길이 열릴 전망이다. 수년 안에 비행기를 타고 이들 섬을 여행하는 시대가 열리게 된다. 최근 브라질 항공기 제작사 ‘엠브레어’는 소형 제트여객기에 경북도 관계자 등 80여명을 태우고 포항경주공항을 출발해 울릉도를 선회하고 돌아오는 시범비행을 진행했다. 약 48%의 공정률을 보이는 울릉공항의 개항을 대비한 행사다. 2026년 상반기 개항을 목표로 하고 있다. 울릉도 공항의 활주로 길이는 1200m, 폭은 30m로 소형 항공기가 취항할 예정이다. 활주로 길이가 생각보다 짧아 안전성 문제가 있다는 주장도 있지만 깊은 바다 위에 신공법으로 건설되기 때문에 막대한 추가 공사비가 걸림돌이다. 울릉도 공항 취항할 비행기는 애초 50인승에서 80인승으로 좌석수가 크게 확대될 전망이다. 국토교통부는 “항공사업법 시행령을 개정해 소규모 도서공항 취항에 적합한 소형항공운송사업의 좌석수 제한이 최대 80석으로 완화된다”고 밝혔다. 80석까지 운영하게 되면 납입자본금을 기존 15억원 이상에서 50억원 이하로 확대하도록 했다. 2026년 말 공항이 개항되면 김포공항은 물론 청주·김해공항 등

"우주탐사는 국제협력 필수"…우주청, 현대차·KAIST 등 관계기업과 '소통'

[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윤영빈 우주항공청장은 우주과학탐사 업계가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꾸준한 국제협력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민간기업의 탐사 기술 발전을 위해 국가 차원의 지원도 이뤄져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주항공청 25일 우주항공청 청사에서 우주과학탐사 부문 기업 관계자들과의 간담회를 열고, 업계 동향 및 애로사항을 청취하고, 우주과학탐사 산업 관련 정책방향을 논의했다. 이번 간담회에는 윤영빈 청장, 존리 우주항공임무본부장, 노경원 차장 등 우주항공청 주요 간부들과 현대자동차, 무인탐사연구소, 스페이스 린텍, KAIST 인공위성연구소, 인텔리안테크, 스페이스빔, 레오스페이스, 그린광학, 와이엔디케이, 보령, 인터그래비티테크놀로지스 등 11개의 우주탐사 관련 기업 관계자가 함께 모였다. 우주항공청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발맞춘 정책 수립 과정에서 우주항공 분야 산업계의 의견을 폭넓게 청취·반영하겠다는 취지에서 릴레이 기업 간담회를 진행 중이다. 지난 제1회 우주수송(발사체) 부문과 제2회 인공위성 부문에 이어 세 번째로 개최됐다. 노경원 차장의 '우주항공청 정책방향' 소개를 시작으로 각 참석자들은 업계동향과 애로사항을 공유하고, 향후 우주과학탐사 부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