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윤슬 기자] 화성하면 어떤 것이 먼저 생각날까?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대체로 이런 얘기들을 많이 한다.
빨갛다. 더워보인다. 물과 공기는 없을 거 같다. 화성에서 온 남자, 금성에서 온 여자.
미지의 섬 화성에 대해 사람들은 화성을 로맨틱하게, 막연한 상상속의 별로 그린다. 그러기에 지구인들의 수많은 예술 작품의 주제가 되기도 한다.
'수금지화목토천해'라는 말이 있다. 이는 태양 주변을 돌고 있는 행성 8개를 가리킨다. 태양에서 가까운 순서대로 수성, 금성, 지구, 화성, 목성, 토성, 천왕성, 해왕성이다. 이렇게 태양 주변을 돌고 있는 행성을 '태양계 행성'이라고 한다.
우선 태양과 가장 가까운 수성은 일교차가 600℃ 이상 차이가 나 도저히 생명체가 존재할 수가 없다. 금성 역시 지표면의 온도가 무려 460℃에 달하며, 대기는 독가스로 뒤덮여 있다. 목성과 토성은 거대한 가스로 이루어진 행성이라 사람이 갈 수 있다고 해도 발을 붙일 땅 자체가 없다.
반면 화성은 지구에서 금성 다음으로 가까우며, 단단한 지표면이 있다. 그리고 생명체가 살아가는 데 있어 가장 필수적인 요소인 물의 존재가 확인됐기 때문이다.
일론머스크는 “달은 행성보다 훨씬 작기 때문에 인류가 번영하기 힘들다. 달에는 대기가 없고 화성처럼 자원이 풍부하지도 않다"면서 "화성의 하루는 24.5시간이다. 인류가 자립해 지속가능한 문명을 만들어 가는데 훨씬 유리한 조건이 갖춰져 있다"고 말했다.
화성엔 공기가 거의 없다. 있지만 지구의 0.6%에 불과해 당연히 사람도 살 수 없다.
일단 화성에 거주하려면 우선 산소와 물을 확보하는 것이다. 화성에서 산소를 생산하기 위한 방법으로는 MOXIE가 있다. MOXIE는 화성의 이산화탄소(CO2) 대기에서 산소(O2)를 추출하는 장치로, 성공적으로 테스트됐다. 또 화성에는 극지방과 일부 지하에 얼음 형태로 물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를 이용해 물을 확보하는 방법으로는 얼음 채굴과 습도 추출기가 있다.
두번째는 방사선을 차단하는 기술이 필요하다. 화성의 대기층이 얇아 방사선이 강하게 작용하기 때문에, 거주지 건설시 방사선 차단 기술이 필수적이다. 방사선 차단 재료를 사용하거나, 화성 토양을 이용해 보호막을 만드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이어 화성에서 인간이 거주할 수 있는 건물을 짓는 방법이다. 가장 유망한 방법 중 하나는 3D 프린팅 기술을 사용하는 것이다. 현재 NASA와 스페이스X는 현지 자원을 활용해 건축 자재를 만들 수 있는 3D 프린팅 기술을 개발중이다. 또 다른 방법은 인플레이터블 구조물로, 화성에 도착하면 공기나 다른 가스로 팽창시켜 사용하는 방법도 연구중이다.
머스크가 생각하는 화성도시의 실현으로 거주가능한 인구는 100만명이다. 이 100만명이 지속가능한 문명을 구축하는데 걸리는 시간은 대략 40~100년 정도로 추측한다. 정말 화성 프로젝트를 통해 화성 식민지, 지구인 정착촌, 인류의 다행성 문명은 가능한 것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