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전 궁중악사 종문이예요
미단공주와 뒤뜰에서 놀다 빨래줄에 걸린 이불숲속에서 키스하던 순간
천년을 기다려도 이루어지지 않는 사람이 있습니다
10억년도 지나고 나면 한 순간
이 순간이 지나면 우린 영원히 다시 만나게 될거예요"
- 영화 '은행나무 침대' 중에서 -
서울 시내 가로수 40만그루 가운데 은행나무가 가장 많다. 대략 30~40%정도 차지한다. 어디서든 적응해 왕성하게 잘 자라기때문에 가로수에 매우 적합한 나무다. 2위는 버즘나무(플라타너스), 3위는 느티나무, 4위는 벚나무 3만2641그루 순이다.
은행나무가 도심에 많은 이유는 공해나 병충해에 강하고 수명이 길다. 게다가 가을이면 노란색 단풍의 멋진 자태를까지 자랑하며 시민들에게 볼거리까지 제공한다. 게다가 이산화탄소 흡수 능력이 뛰어나고 질소·아황산가스 등 공기 중의 나쁜 성분을 잘 정화한다. 냄새가 강해서 벌레도 적게 꼬여 병충해에 강하다. 은행나무는 목재로써 활용도도 높다. 결이 곱고 탄력성이 높아 가구나 바둑판 등으로 많이 쓰인다.
은행나무는 멸종위기종으로 지정돼 보호가 필요한 상황이라, 암나무가 피해를 준다고 함부러 베어서는 안된다. 은행나무 과에는 오직 은행나무 1속, 1종만이 있을 뿐이다. 은행나무는 고생대부터 있었고 쥐라기가 전성기였던 화석식물이다. 빙하기에는 대부분의 식물들이 사라졌지만 비교적 따뜻했던 중국 절강성 부근에 살아남아 이제 한반도 전역에서 제2의 전성기를 보내고 있다.
은행나무는 매년 9~10월 열매를 맺는다. 은행잎은 혈액순환 촉진 성분이 있어 뇌기능, 말초혈관 개선 등의 약 재료로 쓰이지만 열매 역시 혈행개선에 좋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가로수 은행나무의 특유의 냄새와 악취는 서울시 가을 민원의 상당 부분을 차지할 정도로 골치거리다.
열매가 밟혀 터지면 냄새가 더 심해지고 거리도 지저분해진다. 은행 열매가 악취를 내는 것은 은행 껍질에 있는 은행산과 빌로볼 성분 때문이다. 고약한 구린내를 풍겨 곤충으로부터 씨앗을 보호한다.
열매는 암나무에서만 열린다. 은행이 열리는, 은행이 떨어져 있는 나무가 암나무다. 암나무가 가장 많은 자치구는 서울 송파구다. 당연히 민원도 가장 많다.
‘은행나무도 마주서야 연다’는 속담처럼, 은행나무는 동물처럼 암수가 따로 있는 나무다. 조상들은 은행나무를 서로 바라보기만 해도 사랑이 오가 열매를 맺는 나무로 여겼다. 그 이유는 수꽃의 꽃가루가 스스로 움직여 암꽃을 찾아가는 방식이다.
서울시는 악취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매년 심각한 고민을 해왔다. 서울시는 25개 구청에 “은행 열매가 떨어지기 전에 미리 털어달라”고 공문을 매년 발송한다. 최근엔 은행털이(?) 기계를 도입해 강제로 은행열매를 떨어뜨린다.
원래 가로수 열매는 채취할 수 없게 돼 있지만, 은행나무는 예외로 인정한다. 은행이 떨어지기 전에 주민들이 따가는 것도 권고한다.
은행 미리 털기, 은행 주워가기 등의 방법보다 근본적으로 가장 좋은 방법은 암나무를 수나무로 교체하는 것이다. 문제는 예산이다. 한 그루를 바꿔 심는 데 200만원가량이 든다. 적지 않은 비용 때문에 지하철 출입구, 횡단보도 주변등 통행량이 많은 지역중심으로 수나무로 매년 조금씩 교체중이다.
그렇다면 심을때 아예 수나무를 심지, 왜 암나무를 심어서 고생하냐고 물어보는 사람이 있다. 종전까지 인간의 기술로는 은행나무의 암수를 구분하기 어려웠다. 은행나무는 보통 20~30년 지나야 꽃이 피기 시작하고 열매가 열려야 암수를 구별할 수 있다.
서울시 조경과 담당자는 "은행나무의 암수 구별은 쉽지 않다. 10년 이상 자라 열매가 달려야 암나무임을 확인할 수 있다"며 "옛날에는 수나무는 가지가 하늘로 뻗고 암나무는 옆으로 퍼진다는 조경업자들의 감별법에 따라 수나무를 골라 심었다. 하지만 정확하지 않아 암나무를 완벽하게 골라내지 못했다"고 회고했다.
하지만 국립산림과학원이 2011년 암수나무 조기식별 DNA분석 기술을 개발했다. 2014년 국내 특허 등록을 마친 이 기술은 현재 민간기업에 기술이전까지 마친 상태다. 요즘 시골에서는 열매를 맺는 암나무를, 도시에서는 악취를 풍길 우려가 없는 수나무를 심는다.
서울시는 암나무를 열매가 열리지 않는 수나무로 바꿔 심는 정책을 추진중이다. 지하철 출입구나 버스 정류장, 횡단보도 주변 등 민원이 많이 발생하는 곳을 중심으로 암나무를 수나무로 교체한다.
은행나무는 신목(神木)이다. 양평 용문사 높이 60미터 1200살 은행나무는 8.15해방 직전 두 달간 울었고 6.25사변 때는 50일간 울었는데 십리 밖까지 그 소리가 들렸다는 전설이 있다.
은행을 맺지않는 은행나무에 대한 조선시대 전등사 비화도 있다. 숭유억불 정책을 펼치던 조선시대, 전등사도 예외없이 탄압의 대상이었다. 관리들과 토호들의 탐욕으로 젊은 스님들은 강화성을 쌓는 데 사역을 나가고, 늙은 스님들은 종이를 만들어 바쳐야 했다. 전등사에 있는 2그루 은행나무 때문에 매년 은행을 진상으로 바치고 나면 남는 게 없었다.
다 털어도 10가마니밖에 안 될 판에 20가마니를 바치라는 조정의 명령에 전등사가 난리가 났다. 승려들은 은행나무 아래에 단을 쌓아두고 3일기도를 올렸다. "오늘 3일기도를 마치며 이 은행나무 2그루가 100년이 지나도 1000년이 지나도 영원히 열매 단 한 알도 맺지 아니하기를 원하나이다"라고. 이후 은행나무 2그루는 은행을 맺지 않게 되었고 관가의 탄압도 없어졌다. 은행을 맺지 않는 은행나무들은 노승나무와 동승나무로 불린다.
은행열매, 은행나무잎, 은행나무 어느 것 하나 버릴 것이 없다.
아래는 안도현 시인의 '너에게 묻는다'라는 시이다. 아래 시 연탄재를 은행나무(은행잎, 은행열매)로 바꿔도 전혀 의미에서 차이가 없다.
연탄재 함부로 발로 차지 마라
너는
누구에게 한 번이라도 뜨거운 사람이었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