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28 (화)

  • 맑음동두천 6.1℃
  • 맑음강릉 7.7℃
  • 맑음서울 7.4℃
  • 맑음대전 10.1℃
  • 맑음대구 12.0℃
  • 맑음울산 11.9℃
  • 맑음광주 11.2℃
  • 연무부산 12.6℃
  • 맑음고창 8.6℃
  • 맑음제주 13.0℃
  • 맑음강화 4.8℃
  • 맑음보은 9.5℃
  • 맑음금산 8.9℃
  • 맑음강진군 12.7℃
  • 맑음경주시 11.9℃
  • 맑음거제 11.9℃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38개 공익법인 중 15곳, 오너일가 '장악'…특수관계 주식비중, SM>삼성>카카오>한진>DL>CJ 順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 계열사, 보유주식은 늘이고 기부액은 줄여
보유주식 기업 2017년 76개→지난해 234개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30대그룹 소속 공익재단들이 계열사 보유지분을 늘리며 자산총액에서 계열사 주식 비중을 키우는 반면, 계열사 기부금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7년 이후 경영권 승계가 가속화되면서 소속 공익재단들이 보유하는 계열사가 늘어난 가운데, 특히 상장회사와 해당 기업집단의 대표계열사 보유지분이 증가했다.

 

총수일가가 세제혜택을 받고 설립한 뒤 이사장 등의 직책에서 지배력을 행사하며, 보유 주식이 총수 2세 출자 회사 등 기업집단에 대한 지배력과 관련된 회사에 집중되고 있었다. 실제로 공익법인 38개 중 15개에서 오너일가가 이사장 혹은 이사를 맡고 있다. 이에 비해 계열사 주식이 공익법인의 수익원으로써 기여하는 역할은 미미했다.

 

13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대표 박주근)가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들이 국세청에 제출한 결산서류를 전수 조사한 결과  2017년 35개에서 지난해 38개로 늘어난 것으로 파악됐다. 해당 기간 동안 SK그룹의 최종현학술원, GS그룹의 허지영장학재단, 카카오의 브라이언임팩트 등 3개 공익법인이 새로 설립됐다. 

 

38개 공익법인이 보유한 주식 기업 수는 2017년 76개에서 234개로 6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2017년 76개에서 234개로 6년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이들 공익법인의 자산 구성에서 주식자산 비중은 38.1%로 국내 공익법인 전체 주식자산 평균의 5배에 이를만큼 높았다. 공익법인 보유 주식기업 중 계열사는 106개로 전체의 45.3%를 차지하고 있었지만, 이들의 주식자산은 전체 주식자산의 93.1%에 달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식자산 비중은 높아졌지만 계열사들의 기부금은 2017년 2392억원에서 지난해 1688억원으로 29.4%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체 기부금에서 계열사들이 출연한 기부금 비중도 낮아졌다. 2017년 공익법인 전체 기부금(2518억원)의 95.0%인 2392억원이 계열사에서 나왔으나, 지난해에는 전체 기부금 2263억원 중 계열사 비중이 74.6%(1688억원)로 낮아졌다. 반면 해당 기업을 통한 공익법인의 지난해 배당수익은 1937억원으로 2017년 608억원 대비 218.6%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30대그룹 소속 공익법인 중 총자산에서 특수관계에 있는 계열사 주식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SM그룹의 삼라희망재단으로 총자산의 93.5%를 계열사 주식형태로 보유하고 있었다. 삼라희망재단은 SM그룹 지배구조의 핵심 계열사인 삼라의 지분 18.87%와 동아건설산업 지분 8.71%, 에스엠스틸 지분 3.91%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사장은 우오현 SM그룹 회장의 맏딸인 우연아 삼라농원 대표다. 

 

다음으로는 삼성그룹의 삼성복지재단이 90.4%로 계열사 주식 비중이 높았다. 삼성복지재단은 고(故) 이건희 삼성그룹 회장이 토지와 삼성SDI 지분 0.25%, 삼성물산 지분 0.04%의 주식을 출연해 있었으나 이후 삼성전자 지분 0.08%, 삼성화재 지분 0.36%를 유상취득함으로써 전체 자산 5397억원 중 4876억원이 계열사 지분에 대한 장부가액으로 자산총액의 90.4%를 차지했다. 삼성복지재단의 이사장은 이서현 삼성물산 사장이 2019년부터 맡고 있다. 

 

세 번째는 2021년 김범수 카카오 경영쇄신위원장이 설립한 카카오그룹의 브라이언임팩트로, 총자산 180억원 중 계열사 주식자산이 143억원으로 79.6%를 차지하고 있었다. 특히 브라이언임팩트가 보유하고 있는 카카오 주식은 지난 1년 새 52만8200주가 무상수증으로 늘어나고 40만600주는 매각하면서 변동이 심했다. 그 사이 이사장은 올 4월부터 박승기 전 카카오브래인 대표가 맡고 있다. 

 

네 번째로 계열사 주식비중이 높은 곳은 한진그룹의 정석물류학술재단으로 자산총액 662억원 중 79.5%인 526억원이 계열사 보유주식자산이었다. 정석물류재단은 정석기업 10.0%, 한진칼 0.95%, 대한항공 0.11%의 지분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사장은 김재훈 법무법인 광장 대표변호사다. 

 

다음으로는 DL그룹의 대림문화재단이 자산총액 74.3%를 계열사 지분으로 보유하고 있었다. 대림문화재단은 DL그룹의 지배구조 정점에 있는 대림의 지분 6.2%와 계열사인 삼인씨엔에스의 지분 1.41%를 보유하고 있으며, 이해욱 DL그룹 회장이 상임이사를 맡고 있다. 

 

CJ그룹의 CJ나눔재단도 자산총액에서 계열사 주식자산이 70.9%로 높았다. CJ나눔재단은 그룹 지배구조의 정점에 있는 CJ 지분을 2017년 0.56%에서 0.58%를 늘리며 지난해 기준 1.14%를 보유 중이다. 또 CJ제일제당의 지분 0.2%도 보유하고 있으며 이재현 CJ그룹 회장이 이사장으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외에도 금호문화재단(69.0%), LG연암학원(66.7%), 삼성문화재단(65.3%), 포항공과대학교(60.3%), 두산연강재단(56.3%), LG연암문화재단(56.1%) 등이 자산총액의 50% 이상을 계열사 보유주식으로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공간차트] 국내 5大 백화점 68곳, 매출 순위 TOP68…신세계 강남·롯데 잠실·신세계 센텀·롯데 본점·현대 판교 順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국내 5대 백화점 68개 점포에서 매출 1위는 어디일까. 2024년 매출 기준으로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현대백화점, 갤러리아백화점, AK백화점 등 국내 5대 백화점 68개 점포 중에서 신세계백화점 강남점이 전국 1위를 차지했다. 특히 국내 백화점 중에서 2023년 ‘3조 클럽’에 최초 입성에 이어 2년 연속 3조 클럽에 가입했다. 단일 점포 3조원은 세계 유수의 백화점 중에서도 영국 해러즈 런던, 일본 이세탄 신주쿠점 등 소수 점포만 기록한 드문 성적이다. 매출 1위 신세계백화점 강남점과 함께 매출 2위 롯데백화점 잠실점이 연매출 3조원을 돌파했다. 업계가 집계한 2024년 백화점 5사(롯데·현대·신세계·갤러리아·AK)의 68개점 중 매출 3조원 이상은 2곳, 2조원 이상은 4곳, 1조원 이상 백화점은 12곳으로 집계됐다. 68개점 기준 합산 매출은 보합세를 기록했다. 총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0.6% 늘어난 39조4514억원으로 집계됐다. 2024년 백화점업계는 대형화한 수도권 점포 성장과 지방 점포 쇠퇴가 두드러졌다. 매출별 백화점 순위를 살펴보면, 1위는 신세계 강남점 3조3269억원, 2위는 롯데 잠실점 3조551억원

[공간혁신] K라면 체험매장 '후끈'…농심 ‘너구리의 라면가게’ 동대문점 오픈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농심이 ‘현대아울렛 동대문점’에서 다양한 농심 라면을 골라 먹을 수 있는 K라면 체험매장 ‘너구리의 라면가게’ 동대문점을 오픈했다. 농심 관계자는 “최근 동대문에 외국인 관광객이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현대아울렛이 동대문점을 글로벌 특화 매장으로 리뉴얼하며 관광객 선호도가 높은 K라면 체험매장을 오픈하게 됐다”고 말했다. 농심 너구리의 라면가게 동대문점은 방문객이 원하는 라면과 토핑을 골라 즉석조리기로 조리해 먹는 방식이다. 매장 내부는 너구리 캐릭터를 중심으로 K라면 테마 포토존, 굿즈존, 컵라면 형태의 취식대 등으로 다채롭게 구성했다. 또한 최근 외국인 관광객들에게 한국 방문 기념품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스낵 ‘빵부장’ 전용매대도 갖췄다. 너구리의 라면가게 동대문점은 현대아울렛 동대문점 2층 글로벌 특화존에 있다. 농심 관계자는 “너구리의 라면가게 동대문점은 같은 층에 있는 K팝, K뷰티 매장과 함께 K컬처 홍보대사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며, “K라면 쇼핑과 체험을 동시에 즐길 수 있는 외국인 관광명소로 가꿔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농심은 지난해 명동에 2개의 K라면 체험매장을 구축했다. 지난해 7월 호텔

LG전자, 베어로보틱스 30% 지분 추가 인수해 51%로 경영권 확보…상업용 로봇 사업 전방위 혁신 가속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LG전자(대표이사 조주완)가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 베어로보틱스(Bear Robotics)의 경영권 확보를 통해 미래 먹거리인 로봇 사업의 경쟁력 제고에 속도를 낸다. LG전자는 22일 이사회를 열고 베어로보틱스의 30% 지분을 추가 인수하는 콜옵션을 행사하기로 의결했다. 베어로보틱스는 2017년 美 실리콘벨리에서 설립된 AI 기반 상업용 자율주행로봇 기업이다. 로봇 소프트웨어(SW) 플랫폼 구축, 다수 로봇을 최적화한 경로로 움직이는 군집제어 기술, 클라우드 관제 솔루션 등 분야에 세계적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LG전자는 2024년 3월 6000만달러를 투자해 베어로보틱스 지분 21%를 취득하고, 최대 30% 지분을 추가 인수할 수 있는 콜옵션 계약을 맺은 바 있다. 콜옵션 행사가 완료되면 베어로보틱스 지분의 51%를 보유, 경영권을 확보하며 자회사로 편입하게 된다. 이를 통해 LG전자는 ‘클로이 로봇’ 중심의 상업용 로봇 사업 일체를 베어로보틱스와 통합한다. 하정우 CEO를 비롯한 베어로보틱스 주요 경영진은 유임해 기존 사업의 연속성을 확보하는 한편, LG전자에서도 이사회 멤버로 참여해 상업용 로

“귀성길, 맥드라이브 통해 매출 138%, 방문 고객 115% 증가"…맥도날드, 설 연휴 ‘드라이브 스루’ 이용 늘었다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맥도날드는 설 연휴 기간 동안 드라이브 스루(DT) 서비스 ‘맥드라이브(McDrive)’를 통한 매출과 매장 방문 고객 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맥도날드가 최근 3년간의 관련 데이터를 분석한 결과, 설 연휴 기간 동안 드라이브 스루를 통한 매출이 138% 증가 했으며, 방문 고객의 수는 115%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공휴일과 주말을 제외한 평일을 기준으로, 평상시보다 도로 통행량이 높은 설 연휴 기간 동안 차량 이동 중 맥도날드를 이용한 사례가 많았던 것으로 분석된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귀성 및 귀경길 교통 체증을 우려해 여느 때보다 빠르게 식사를 해결하고자 하는 고객들에게 맥도날드의 신속한 서비스가 큰 호응을 얻은 결과로 해석된다. 맥도날드는 현재 전국 매장의 60%를 DT 매장으로 운영하고 있어 타 QSR 브랜드 대비 차량 접근성이 높다. 또, 2021년 업계 최초로 차량 두 대가 동시에 이용할 수 있는 ‘탠덤 드라이브 스루(Tandem DT)’를 도입해 신속함을 높였다. 여기에 더해 2022년부터는 일부 매장을 중심으로 하이패스 결제 시스템을 도입하는 등 빠르고 편리한 드라이브 스루 경험을 제공하고자

현대지에프홀딩스-홈쇼핑, 백화점-한섬 지분 각각 매입…“현대百그룹, 우량 계열사 지분 및 자사주 매입 통해 밸류업”

[뉴스스페이스=김희선 기자] 현대백화점그룹이 기업가치 제고(밸류업)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다. 지주회사인 현대지에프홀딩스와 현대홈쇼핑은 우량 자회사의 지분을 매입해 최대주주로서의 책임경영을 강화키로 했고 현대홈쇼핑은 주주가치 제고를 위해 자사주 매입에 나서기로 했기 때문이다. 현대백화점그룹 지주회사인 현대지에프홀딩스는 핵심 계열사인 현대백화점 지분 1.8%(약 40만주)를 장내에서 매수할 계획이라고 24일 공시했다. 이에 따라 현대지에프홀딩스의 현대백화점 보유 지분은 기존 31.5%에서 33.3%로 늘어난다. 현대홈쇼핑도 이날 한섬 지분 1.5%(약 33만주)를 장내에서 매입해 보유 지분을 기존 39%에서 40.5%로 확대할 계획이다. 현대백화점그룹 관계자는 “이번 지분 매입은 저평가된 우량 계열사 지분을 확대해 기업가치를 제고하고 최대주주로서 책임경영을 강화하기 위해 진행되는 것”이라며 “다만, 실제 지분 거래는 사전 공시 규정을 준수해 공시 뒤 한 달이 지난 다음달 24일부터 이뤄질 것”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현대지에프홀딩스는 지난해 발표한 밸류업 계획에서 우량 자회사에 대한 지배력을 높여 배당 수입을 확대하겠다는 청사진을 밝힌 바 있다. 현대홈쇼핑은 이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