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26 (수)

  • 맑음동두천 20.7℃
  • 구름많음강릉 21.2℃
  • 맑음서울 21.4℃
  • 흐림대전 21.5℃
  • 구름많음대구 24.6℃
  • 흐림울산 22.5℃
  • 구름많음광주 22.0℃
  • 구름많음부산 22.1℃
  • 구름많음고창 19.8℃
  • 흐림제주 21.7℃
  • 맑음강화 18.4℃
  • 구름많음보은 19.0℃
  • 구름많음금산 20.9℃
  • 흐림강진군 20.9℃
  • 흐림경주시 20.4℃
  • 흐림거제 20.0℃
기상청 제공

산업·유통

한국인 제일 많이, 오래 쓰는 앱?…인스타에 밀리고, 구글에 치이고 네이버 '흔들'

韓 오래·자주 사용하는 앱...인스타, 네이버와 격차 확대
네이버, '사용시간‧검색 점유율' 나란히 후퇴…입지 흔들리나
이용자는 인스타·검색은 구글…유입 이끌 '콘텐츠 경쟁력' 강화 필요

 

[뉴스스페이스=조일섭 기자] 한국인들이 '오래 사용하는 앱'과 '자주 사용하는 앱' 부문에서 인스타그램이 네이버를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게다가 지난달 격차가 더 큰 폭으로 확대됐다.

 

9일 앱·리테일 분석 서비스 와이즈앱·리테일·굿즈(와이즈앱)가 스마트폰 사용자를 표본 조사한 결과 5월 메타가 운영하는 사회관계망서비스(SNS) 인스타그램 사용시간은 3억8993만7341시간으로 유튜브(18억210만8742시간), 카카오톡(5억6587만7442시간)에 이어 '오래 사용하는 앱' 3위를 기록했다.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은 올해 3월 네이버에 이어 4위였지만, 4월에는 3.3% 증가한 3억4787만3865시간을 기록하며 0.8% 감소한 네이버를 1386만1509시간 차이로 제치고 3위로 올라선 뒤 두 달째 순위를 유지 중이다. 지난달 네이버와 격차는 전월의 3.3배 수준인 4641만8705시간으로 커졌다.

 

인스타그램은 또 '자주 사용하는 앱' 부문에서도 네이버와 격차를 벌렸다. 지난달 국내 인스타그램 실행 횟수는 178억5524만6930회로 카카오톡(787억6736만1094회)에 이어 2위였다. 네이버는 143억9131만1518회로 3위, 유튜브는 139억7395만1681회로 4위를 기록했다.

 

인스타그램과 네이버의 실행 횟수 격차는 지난 1월 3억2844만571회에서 2월 4억3021만7664회, 3월 16억5708만1604회, 4월 19억4688만19회로 벌어졌고, 지난달 34억6393만5412회 차이로 확대됐다.

 

국내 인스타그램 사용 시간 및 실행 횟수의 증가세는 2021년 출시된 숏폼(짧은 영상) 서비스 '릴스'의 인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국내에서 숏폼에 대한 수요는 날로 높아지고 있다. 또 다른 빅테크 구글 유튜브의 숏폼 서비스인 쇼츠의 국내 일평균 조회수는 지난해 7월 기준 전년 동기 대비 90% 이상 성장했다. 같은 기간 유튜브 쇼츠를 시청하는 한국 내 로그인 된 시청자 수도 전년 동기 대비 40% 이상 성장했다.

 

네이버도 지난해 8월 숏폼인 '클립'을 출시했지만 아직 사용 시간이나 실행 횟수 증가에 크게 도움이 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지난달 네이버 사용 시간은 지난해 8월(4억400만3421시간)에 비해 15% 급감했고, 실행 횟수는 6.4% 감소했다.

 

네이버가 조만간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 공식 사이트 검색 결과에서 인스타그램과 유튜브, 페이스북, 엑스(X·옛 트위터) 등 소셜미디어(SNS) 콘텐츠 연동을 종료하기로 한 것도 경쟁 외국계 플랫폼으로부터 이용자 수를 지키려는 자구책이라는 예측까지 나오는 상황이다.

 

네이버의 본업인 검색 사업에서도 위험 신호가 감지되고 있다. 플랫폼을 찾는 이용자 발길과 검색 점유율 중 상당수를 외국 기업들에 내주고 있다.


검색 시장에서는 구글에 쫓기는 흐름이 확연하다. 웹사이트 분석 업체 인터넷트렌드가 집계한 네이버의 지난주(2~7일) 평균 점유율은 56.65%로 구글(34.95%)과의 차이가 21.7%포인트까지 좁혀졌다. 또 한국갤럽이 국내 만 13세 이상 약 17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네이버 선호도는 2024년 3~4월 74%로 횡보했다. 반면 구글 선호도는 꾸준한 오름세를 보였다. 특히 포털 이용이 가장 활발한 19~29세 사이에서 네이버는 67%, 구글 24%의 선호도를 각각 기록했다.

배너



주문 1시간 만에 배달…컬리, 퀵커머스 ‘컬리나우’ 론칭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리테일 테크 기업 컬리가 퀵커머스 서비스 ‘컬리나우’를 론칭했다고 25일 밝혔다. 컬리의 상품 큐레이션 경쟁력이 담긴 가정간편식(HMR)과 신선식품, 뷰티 상품 등을 주문 즉시 받아볼 수 있게 됐다. 컬리나우는 퀄리티 있는 장보기를 1시간 내외로 누릴 수 있는 컬리의 퀵커머스 서비스다. 그동안 컬리몰에서 선보였던 로컬 맛집과 유명 디저트는 물론 고품질의 신선식품, 생활필수품, 백화점 1층 화장품 브랜드까지 온·오프라인 경계를 넘나드는 다양한 상품군을 더욱 빠르게 만날 수 있다. 총 5000여개 상품이 준비됐다. 배달 가능 지역은 서울 서대문구 남가좌동과 북가좌동, 마포구 망원동, 성산동, 연남동, 은평구 증산동 등이다. 서교동과 연희동, 수색동, 상암동 일부 지역도 가능하다. 주 7일 상시 운영으로, 오전 9시부터 밤 10시 사이에 주문할 수 있다. 해당 지역의 운영 안정화를 거친 후 서울 내 타 지역으로도 확장할 계획이며, 상품 가짓수도 지속적으로 늘릴 예정이다. 컬리의 강점을 온전히 경험할 수 있도록 배달 서비스 향으로 카테고리를 구분했다. 한식, 중식, 치킨·피자·양식, 일식·아시안, 베이커리, 럭셔리 뷰티, 생활필수품 등

코오롱 '더카트골프' "24년 골프기반의 스포츠 카테고리 확장"…3040 공략 나선다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코오롱인더스트리FnC부문(이하 코오롱FnC)이 전개하는 골프 전문 온라인 셀렉숍 ‘더카트골프’가 24년부터 골프에 기반한 스포츠까지 카테고리를 확장한다. 더카트골프는 2020년 론칭한 이래, 급변하는 국내 골프시장 속에서도 매년 거래액 신장세를 보이며 국내 대표 골프 온라인 플랫폼으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올해 더카트골프는 골프를 기반으로 한 ‘앤드액티브레이블(& ACTIVE LABEL)’이라는 새로운 카테고리를 확장하며 한단계 진화된 플랫폼으로 거듭난다. ‘앤드액티브레이블’은 스타일리시한 스포츠 브랜드들을 큐레이팅하는 전문관이다. 골프를 더 잘하기 위해 기초 체력향상에 도움을 주는 애슬레틱, 러닝, 필라테스와 같은 운동을 병행하는 골퍼들이 늘고있는 점, 그리고 여가 시간에 골프 이외에 테니스, 수영 등 새로운 운동을 즐기고 싶어하는 다양한 고객의 니즈를 플랫폼 안에 모두 담았다. 특히 3040세대가 더카트골프 구매고객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점을 착안, 스타일리시한 골프&스포츠 브랜드를 제안하는 플랫폼으로 포지셔닝한다는 계획이다. ‘앤드액티브레이블’ 전문관에는 골프와 웰니스 라이프를 위한 다양한 브랜드가 입점해있

신동주, 이번엔 '조카' 신유열 겨냥…"롯데위기 묵과 못한다·신유열 이사선임 반대"

[뉴스스페이스=김문균 기자] 롯데홀딩스 최대 주주인 신동주 광윤사 대표이사가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의 장남 신유열 롯데지주 미래성장실장 전무의 롯데홀딩스 이사 선임 안건에 반대 의사를 표했다. 신동주 회장의 반대이유는 "롯데가(家) 3세라는 이유만으로 아직 경영 능력이 전혀 검증되지 않은 데다가 신동빈 부자의 롯데그룹 사유화가 한 층 더 심해질 것이 우려된다"것이 그의 주장이다. 신동주 SDJ코퍼레이션 회장은 오는 26일 열리는 일본 롯데홀딩스 정기주주총회에서 신유열 전무의 이사 선임안에 반대 의결권을 행사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신 회장은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한일 롯데그룹의 경영 방향성이 중요한 현 시점에서 최고 의사결정기구인 이사회에 경영 능력이 검증되지 않은 인물이 합류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고 말했다. ​ 이어 "한국 롯데그룹의 경영 악화로 롯데홀딩스 전체의 기업가치가 크게 훼손되고 있으며, 자회사들에서 신동빈이 받은 과도한 임원 보수가 문제가 되고 있다"며 "지금은 경영감시기능이 결여된 롯데홀딩스 이사회의 전면적인 쇄신이 요구되는 때"라고 지적했다. 또, 신 회장은 롯데홀딩스 최대주주인 광윤사 대표이자 주주로서 '롯데 경영 정상화'의 일환으로 롯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