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8 (금)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빅테크

[랭킹연구소] 글로벌 브랜드 순위 TOP100 애플·MS·아마존·구글·삼성 順…현대(30)·기아(86)·LG(97) 한국 4곳

브랜드 컨설팅 업체 '인터브랜드' 글로벌 100대 브랜드 발표
삼성전자, 인터브랜드 선정 브랜드 가치 ‘5위’…현대차도 두 계단 상승하며 '30위'
아시아 기업 중 상위 5위권은 유일…엔비디아 36위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글로벌 브랜드 컨설팅 전문업체 '인터브랜드'가 '글로벌 100대 브랜드'를 발표했다.

 

TOP100안에 한국기업으로는 네 곳이 랭크됐다. 아시아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삼성전자가 5년 연속 글로벌 5위 자리를 지켰다. 특히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가 전년 대비 10% 성장하며, 처음으로 1000억달러를 돌파했다.

 

삼성전자보다 브랜드 가치가 높은 기업은 애플(4889억달러), 마이크로소프트(3525억달러), 아마존(2981억달러), 구글(2913억달러) 등이다.

 

현대차는 브랜드 가치 230억달러를 기록하며 종합 브랜드 순위 30위에 올랐다. 지난해 32위에서 순위는 2계단 높아졌다. 브랜드 가치는 지난해(204억달러)보다 약 13% 증가했다. 

 

 

현대차는 2005년 84위(35억달러)로 처음 글로벌 100대 브랜드에 이름을 올린 후 올해까지 순위는 54계단, 가치는 195억달러 오르는 성장을 이뤘다. 현대차의 브랜드 가치는 2011년부터 올해까지 14년 연속 상승했다.

 

또 100위안에 포함된 한국 기업으로 기아가 86위를 차지했고, LG전자는 97위로 100위안에 간신히 턱걸이했다.

 

 

지난해부터 생성 AI 열풍을 주도하며 미국 증시를 뜨겁게 달군 7대 기술주인 '매그니피센트 7(M7)'이 브랜드순위에서도 상위에 랭크됐다. 매그니피센트 7 중 애플 1위, MS 2위, 아마존 3위, 구글 4위, 테슬라 12위, 메타(인스타그램 15위, 페이스북 21위), 엔비디아(36위) 등 모두 40위안에 들었다.

  

인스타그램(15위), 페이스북(21위)과 함께 지구인들의 필수앱으로 자리잡은 유튜브(24위)와 넷플릭스(38위)도 40위안에 포함됐다.

 

 

M7외에 기술중심의 IT기업들도 상위에 랭크됐다. 삼성전자(5위)를 필두로 시스코 13위, 어도비 17위, 오라클 18위, IBM 19위, SAP 20위, 소니 34위, 인텔 37위, 페이팔 40위, 에어비앤비 44위, 세일즈포스 46위, GE 47위, 지멘스 50위로 조사됐다.  

 

뒤를 이어 이베이 63위, 스포티파이 65위, HP 68위, 필립스 69위, 샤오미 87위, 화웨이 93위, LG전자 97위, 파나소닉 98위가 100위권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특히 빅테크 기술기업 다음으로 자동차업체들이 100위권에 많이 포함됐다. 토요타 6위, 벤츠 8위,  BMW 10위, 혼다 26위, 현대차 30위, 포르쉐 43위, 아우디 45위, 폭스바겐 49위, 포드 56위, 닛산 59위, 페라리 62위, 기아 86위, 레인지로버 96위로 조사됐다.


명품패션업체들도 100위권안에 9곳이나 포진했다. 루이비통 11위, 에르메스 22위, 샤넬 23위, 구찌 41위, 까르디에 73위, 디올 74위, 프라다 83위, 티파니 89위, 세포라 90위 순으로 랭크됐다.

 

 

글로벌 소비재 기업인 코카-콜라 7위, 맥도날드 9위, 나이키 14위, 디즈니 16위, 이케아 28위, 펩시 33위, 자라 42위, 아디다스 51위, 스타벅스 52위, 로레알 53위, 팸퍼스 54위, 레고 58위, H&M 60위, 네스카페 61위, 버드와이즈 67위, 닌텐도 70위, 캘로그 85위로 나타났다.

 

금융분야 기업으로는 J.P 모건 25위, 아메리칸 익스프레스 27위, 알리안즈 29위, 비자 32위, 마스터카드 39위, 악사 48위, 시티뱅크 55위, 골드만삭스 57위, HSBC 64위, 모건스탠리 66위로 파악됐다.

 

 

아시아 기업 중에서 상위 5위 내에 든 곳은 삼성전자가 유일하다. 100위권으로 범위를 넓히면 한국기업 4곳, 일본기업 4곳으로 조사됐다.

 

한국기업으로는 삼성전자(5위), 현대자동차(30위), 기아(86위), LG전자(97위), 일본기업으로는 토요타(6위),  혼다(26위), 닛산(59위), 닌텐도(70위)로 나타났다.

 

 

 

인터브랜드는 기업의 재무성과, 고객의 제품 구매 시 브랜드가 미치는 영향, 브랜드 경쟁력 등을 종합 분석해 매년 브랜드 가치를 평가한다.

 

삼성전자의 브랜드 가치는 처음으로 5위를 기록한 2020년 이후 4년 만에 62% 성장했다. 

 

 

인터브랜드 관계자는 "삼성전자 브랜드 가치에 대해 ▲모바일 AI 시장 선점 및 AI 기술 적용 제품 확대 ▲고객에게 실질적 혜택을 주는 연결 경험 강화 ▲반도체 경쟁력 기반 AI 시장 주도 ▲글로벌 시장에서 일관된 브랜드 전략 실행 ▲지속가능경영을 위한 친환경 정책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고 밝혔다.

 

또 "현대차는 전기차 전용 브랜드 '아이오닉', 고성능 브랜드 'N' 등을 통해 고객에게 다양한 라이프스타일을 제시하며 글로벌 브랜드 파워를 강화해 왔다"며 "혁신적 모빌리티로 글로벌 소비자와의 접점을 확대하고 팬층과 차별화된 문화를 지속 공유해 나갈 것이라 기대한다"고 평가했다.

배너
배너
배너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엡스타인 파일’ 공개압박에 등 떠밀린 트럼프, 법무장관에게 '대배심 증언' 공개 명령

[뉴스스페이스=이은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7월 18일(현지시간) 팸 본디 법무장관에게 제프리 엡스타인 사건의 연방 대배심 증언을 법원 승인을 전제로 공개하라고 공식 지시하면서, 미국 정치권 및 사법기관 내부 긴장이 최고조로 치달았다. BBC와 악시오스 등의 매체들은 이번 조치는 트럼프 본인과 행정부를 겨눈 지지층, 공화당 의원, 그리고 언론의 강한 비판 속에 나왔다고 전했다. 트럼프의 돌연한 방향 선회…정치적 압박과 당내 분열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SNS인 트루스 소셜에 “엡스타인에게 쏟아지는 터무니없는 홍보와 민주당이 꾸미는 사기극을 끝내기 위해 모든 관련 대배심 증언을 공개하라고 지시했다”며 공개적 메시지를 남겼다. 이 입장 표명은 전날 백악관이 “엡스타인 특별검사 임명은 권고하지 않을 것”이라고 발표한 지 하루 만의 급반전이다. 이번 결정은 마이크 존슨 하원의장이 트럼프와 노선을 달리해 법무부에 ‘엡스타인 파일 전면 공개’를 공식 요구하는 등, 당내 보수층 압력이 급증한 결과라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실제 미국의 여러 보수 언론과 소셜미디어에서는 “대통령과 법무장관이 엡스타인 의혹을 은폐하려 한다”는 격한 비판의 목소리가 확산됐다. 신속

[빅테크칼럼] 머스크, 성인용 AI로 로맨스 산업 노린다…‘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 영감 받은 캐릭터 론칭 '임박'

[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일론 머스크가 이끄는 xAI가 성인용 인공지능(AI) 시장 공략에 본격적으로 나서는 모양새다. 최근 xAI의 챗봇 ‘그록(Grok)’에 탑재된 여성형 AI 캐릭터 ‘애니’와 ‘루디’가 노골적인 선정성으로 화제를 모은 데 이어, 머스크는 인기 로맨스 영화 ‘트와일라잇’의 에드워드 컬렌과 ‘그레이의 50가지 그림자’의 크리스천 그레이에서 영감을 받은 남성형 AI 캐릭터 ‘발렌타인(Valentine)’을 새롭게 출시할 예정임을 공식화했다고 Wired, Business Insider, Euronews 등의 매체들이 보도했다. 여성 겨냥 남성 캐릭터, 이름은 ‘발렌타인’ 머스크는 자신의 소셜미디어 X(구 트위터)를 통해 “어두운 분위기의 흑발 남성으로, 감성적이고 강렬한 성격을 가진 남성 AI 캐릭터를 곧 도입한다”며 이용자들에게 캐릭터 이름을 공모했고, 로버트 A. 하인라인의 소설 ‘낯선 땅 이방인’ 주인공에서 따온 ‘발렌타인’을 최종 이름으로 확정했다. 발렌타인은 사용자의 취향과 감정을 섬세하게 반영하는 ‘고전적 미남+강렬함’ 콘셉트로 설계된 것으로 알려졌다. 머스크는 “향후 직접 캐릭터를 커스터마이즈할 수 있는 기능을 추가할 것”이라

英 왕립학회 “머스크 징계는 없다”… 3400명 과학자 반발에도 ‘과학 수호’ 명분 택해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영국 왕립학회(Royal Society)가 테슬라와 스페이스X CEO 일론 머스크의 회원 자격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었지만, 결국 징계나 회원자격 박탈 없이 사태를 마무리했다. 회원 탈퇴 의향을 머스크에게 타진하는 전례 없는 조치까지 나왔으나, "왕립학회의 이익에 부합하지 않는다"는 결론 아래 징계 절차는 공식 폐기됐다. 사건의 전말: “DOGE 행보에 과학계 흔들” 머스크는 2018년 우주산업과 전기차 분야의 혁신 성과를 인정받아 왕립학회 외국인 회원으로 선정됐다. 그러나 2024년 트럼프 행정부 산하 '정부효율부(DOGE)' 수장으로서 미국 내 과학연구비 수십억 달러를 삭감하고, 학계 검열 논란에 연루되면서 학회 내부에서도 반발이 불거졌다. 영국 BBC에 따르면, 최근 9개월 동안 수백명 과학자가 머스크의 연구비 삭감을 ‘과학계에 대한 직접 공격’으로 규정하며 공개적으로 징계를 촉구했다. ‘징계 촉구’ 서명 운동, 두 명의 석학은 탈퇴 결행 임페리얼칼리지 런던의 스티븐 커리 명예교수가 주도한 공개서한에는 3400명 이상의 과학자와 학자, 60여명의 현직 회원까지 동참해, “머스크의 언행이 학회의 윤리강령과 가치에 위배된다”고

트럼프 정부 고위직, 4명 중 1명 ‘코인’ 들고 있다 "암호화폐 총보유액 2700억원"…트럼프 709억원, 켄 하워리 대사 1670억원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025년 7월 기준 최소 5100만 달러(약 709억원) 상당의 가상화폐 자산을 직접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공식 확인됐다. 최근 워싱턴포스트(WP)와 기타 복수의 미국 언론이 공개한 재산 신고 자료를 종합하면, 트럼프 행정부 고위직(상원 인준을 받은 약 300명) 중 약 70명 이상이 암호화폐 또는 블록체인 기업에 직접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비율은 4명 중 1명꼴로 코인을 들고있다는 의미다. WP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과 함께 가장 많은 가상자산을 보유한 인물은 켄 하워리 주덴마크 미 대사(페이팔 공동창업자 출신)로, 최소 1억2200만 달러(약 1670억원)에 달하는 암호화폐 자산을 신고했다. 3위부터는 단위가 크게 줄어, J.D. 밴스 부통령은 25만~50만 달러 안팎의 비트코인을 소유하고 있다고 미 CBS, 기타 재산공개자료에서 확인된다. 바이든 행정부의 관료 중에는 최종적으로 가상자산 보유를 공식 신고한 인사가 단 1명도 없는 것으로 드러나 정권별 현격한 차이도 드러난다. 트럼프 정부, 공직자 직접 보유 암호화폐만 최소 2684억원…가상자산 투자 전례 없는 확산 재무정보 공개 범위 기

저커버그, 80억 달러 메타 주주와 소송戰 재판 직전 '극적 합의'…"페북 개인정보 스캔들 마침표"

[뉴스스페이스=김정영 기자] 메타(구 페이스북)와 CEO 마크 저커버그가 80억 달러(약 11조원) 규모의 주주 공동소송에서 극적으로 합의하며, 글로벌 데이터 프라이버시 스캔들에 마침표를 찍었다. BBC, NPR, Business Insider 등의 보도에 따르면, 이 소송은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사건의 여파로 인해 시작됐으며, 핵심은 “2012년 연방거래위원회(FTC) 동의 명령을 준수하지 않은 채 사용자 개인정보를 불법적으로 수집‧공유했다”는 주주들의 주장에 있었다.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사태에서 촉발된 초대형 소송 2018년 세상에 드러난 케임브리지 애널리티카 스캔들은 도널드 트럼프의 2016년 대선 캠프와 연계된 정치 컨설팅 기업이 퀴즈앱(‘This Is Your Digital Life’)을 통해 8700만명 이상의 글로벌 페이스북 이용자 정보에 무단 접근한 사실로부터 시작됐다. 해당 앱은 단순히 참여자뿐만 아니라 그들의 친구 개인정보까지 무차별적으로 흡수했다. 이 정치 컨설팅 회사에는 트럼프 진영의 핵심 참모였던 스티브 배넌, 억만장자 로버트 머서 등이 투자자로 오르내렸고, 이 건 역시 미국뿐만 아니라 영국 등지에서 거센 사회‧정치적 후폭풍을 낳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