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논란] 트럼프 ‘시계장수 대통령’ 변신, 굿즈 판매로 1430억원 수익…대통령직 활용해 이익추구 '논란'

  • 등록 2025.10.18 22:37:52
크게보기

 

[뉴스스페이스=김혜주 기자]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자신의 대통령직을 이용해 고가 굿즈 판매를 통해 거액의 수익을 올리고 있어 논란이 일고 있다. 최근 트럼프가 직접 홍보에 나선 ‘트럼프 시계’는 499~799달러(약 72만~115만원) 가격대에 판매되고 있으며, 이 시계 판매만으로 280만 달러(약 40억원)에 달하는 수익을 기록했다.

 

더욱이 시계 외에도 트럼프는 ‘트럼프 스니커즈’와 ‘향수’, ‘그린우드 성경’ 등 다양한 굿즈를 판매해 약 250만 달러(약 36억원)와 130만 달러(약 19억원)의 매출을 각각 올린 것으로 집계됐다. 디지털 트레이딩 카드에서도 116만 달러(약 17억원)의 수익이 발생했다. 이처럼 굿즈 판매 총수익은 1430억원에 육박하는 수준이다.​

 

트럼프 시계에는 ‘싸우자(Fight)’라는 구호가 새겨져 있으며, 그의 핵심 지지층을 겨냥한 마케팅 전략으로 평가된다.

 

CNBC 등 미국 언론은 이러한 행태가 대통령직을 상업적으로 이용한다는 비판을 쏟아내고 있으며, 미국 내에서는 ‘트럼프 굿즈’가 정치자금 모금과 지지층 결집 도구로 활용되는 점에 대한 우려도 확산 중이다.​

 

지난해 대선과 재집권 후 트럼프는 이미 100개가 넘는 고가 트럼프 시계를 판매하며 약 40억원 이상의 매출을 기록했다. 또한 운동화, 성경책, 향수 등 다양한 품목이 추가되어 전체 굿즈 수익이 규모를 키워가는 상황이다.​

 

 

한편, 미 연방정부 셧다운, 미중 무역 갈등, 중동 정세 등 국가적 현안이 산적한 가운데 트럼프 대통령이 골프장을 찾거나 굿즈 판매에 집중하는 모습은 말 그대로 ‘지금은 트럼프 타임’이라는 비아냥과 맞닿아 있다.​​

 

이와 관련해 일부 보수 진영 전문가들은 "굿즈 구매는 팬들의 지지 행위이자 정치적 메시지 발신 수단이다"면서도 대통령직 남용에 대한 경계심도 표명하고 있다.​

 

트럼프 굿즈는 온라인 쇼핑몰과 홈쇼핑, 공식 웹사이트 등을 통해 주로 판매되고 있으며, ‘메이드 인 차이나’ 논란에도 불구하고 강력한 팬덤을 기반으로 상당한 매출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2024년 대선 캠페인 기간 동안에는 아마존에서만 1억4000만 달러(약 1900억원) 이상의 트럼프 굿즈 매출이 발생한 점도 이번 굿즈 사업의 규모와 영향력을 방증한다.​

 

이같은 현상은 역대 대통령과 비교해 초유의 상업적 대통령직 활용 사례로 기록되며, 앞으로 정치적, 법적 논쟁으로도 이어질 전망이다.

김혜주 기자 macgufin@empas.com
저작권자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서울시 서초구 사평대로 140 코웰빌딩 B1, 318호 | 대표전화 : 0505-546-0505 | 팩스 : 0505-548-0505 제호 : 뉴스스페이스(NewsSpace) | 등록번호 : 서울 아 54727 | 등록일 : 2023-03-07 | 발행일 : 2023-03-07 발행·편집인 : 이현주 | 청소년보호책임자 : 김정영 | 법률자문 : 이수동 변호사(법률사무소 이수) Copyright © 2024 뉴스스페이스(NewsSpace).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