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스페이스=이종화 기자] 조선 왕조는 태조 이성계가 고려를 멸망시키며 건국했다. 1392년 조선건국 태조를 시작으로 1910년 순종을 마지막으로 27명의 왕이 승계하면서 519년간 존속됐다.
조선 국왕에게는 세 가지 공식 이름이 주어졌다. 태어나며 작성된 이름은 휘라고 했고, 사후에 묘호와 시호가 헌정됐다. 조선 국왕은 대개 묘호로 불린다. 조선 왕조 계보 '태정태세문단세~예성연중인명선~'이라는 것은 임금의 묘호고, 진짜 이름은 바로 휘다. 묘호는 임금이 죽은 뒤에 생전의 공덕을 칭송하고자 붙인 호칭이고, 위의 표에서 묘호 옆에 있는 것이 진짜 이름이다.
한자 문화권의 군주제에서는 임금의 이름에 사용된 글자의 사용을 기피했는데, 이를 피휘라 한다. 생전에는 물론 사후에도 일반 백성들의 이름에 임금의 이름을 사용하는 것은 금기시됐다. 사후에는 묘호와 시호 등의 존호를 따로 지어 추모했으며, 묘호는 사후 해당 국왕을 가리키는 대표적인 명칭으로 사용됐다.
한가지 특이한 점은 조선의 왕들의 실제 이름 모두 외자(성씨를 제외하고 이름이 한 글자인 것. ‘혼자인’, ‘하나인’의 뜻을 가진 접두사 ‘외-’에 글자를 의미하는 자(字)가 협쳐졌다)다. 고려시대도 마찬가지다. 현재 한국의 외자 이름의 비율은 특정 성씨(복성, 허씨)를 제외하면 약 100~200명 중 1명 정도로 희귀하다.
하물며 유교숭상의 시대, 전통적 양반가 성명에는 외자가 흔치 않다. 왜냐하면 이름 안에 항렬자를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조선사회에서 조선 최고의 권위를 지닌 왕들의 이름이 외자였다는 것은 놀랍다. 조선 시대에는 임금의 이름을 모두 외자로 썼다.
조선 왕들 중 재위 중에 두 글자 이름을 가지고 있던 왕은 다섯 명 뿐이다. 두 글자 이름을 갖고 있던 왕들 중 3명은 즉위 후에는 외자로 개명했다. 태조 이성계는 즉위 후 이름을 이단(李旦)으로 개명했고, 정종 이방과는 이경(李曔)으로, 고종 이재황은 이희(李㷩)로 개명했다. 결국 태종 이방원과 단종 이홍위를 제외한 모든 왕의 이름은 외자다.
태종과 단종이 끝까지 외자로 안 바꾼 이유는 각각 다르다. 우선 태종은 자신의 의지로 즉위 전부터 사용하던 이름을 계속 썼을 뿐이다. 대신 자신의 이름을 휘하지 않고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했다. 단종 이홍위의 경우 3년 정도만 왕위 재위기간이 짧고, 왕권을 행사하기 어려울 정도로 왕권이 취약하고 어렸을 때이므로 논할 겨를도 없었을 것으로 추정한다.
이런 휘 풍습은 임금의 이름 외에도 존경하는 사람이나 현자의 이름자와 호에 적용되기도 했다. 예를 들어 영남지역 대구의 한자는 원래 대구(大丘)였는데, 구(丘)자가 공자(본명 '공구(孔丘)') 이름의 같다는 이유로 대구(大邱)로 바꾸어 불렀다.
또한, 가휘(家諱, 또는 사휘)라고 해서 자기 부모나 조상의 이름이 포함된 관직명이 있으면 관직을 거부하거나 아예 과거시험을 포기하는 사례도 있었다.
피휘는 현재 재위 중인 국왕 뿐만 아니라 선대 국왕의 휘에도 적용되었기 때문에 이름을 짓는 왕실의 입장에서도 사람들의 불편을 줄이기 위해 되도록 쓰이지 않는 한자를 골라 외자로 이름을 붙였다.
국사편찬위원회 관계자는 "조선시대 왕들의 이름이 외자인 것은 기휘제도 때문으로 유교문화권은 왕의 이름을 함부로 부르지 못하고 글자로 쓰는 것도 금기시해 왕위에 오른 임금의 이름자는 일반 백성들이 사용하지 못하도록 했다"면서 "만약 많이 사용하는 글자, 혹은 두 글자로 이름을 사용하면 일반 백성들이 사용할 수 있는 글자가 제한되기 때문에 이름을 외자로 했다”고 설명했다.
사후에 붙여지는 묘호는 태조나 세종과 같이 두글자로 이루어진다. 앞의 글자는 국왕의 구분을 위해 여러 글자를 쓰지만 뒤의 글자는 조(祖) 아니면 종(宗) 두 글자 가운데 하나를 선택한다. 조선 국왕이 사망하면 신하들이 모여 공(功)과 덕(德)을 살펴 공이 크다고 할 수 있으면 "조"를, 덕이 많다 할 수 있으면 "종"을 붙였다고 한다.
그러나 실제 묘호는 후임자와 신하들의 정치적 결정에 따라 정해지곤 하였는데 예를 들어 세조의 경우 신하들이 신종(神宗), 예종(睿宗), 성종(聖宗)을 묘호의 후보로 올렸으나 예종이 끝내 "조"가 들어가야 한다고 하여 세조가 됐다.
묘호는 한번 정하였더라도 사후에 다시 추존해 변경도 한다. '조'의 권위가 '종'보다 높기 때문이다. 고종은 대한제국의 황제임을 선언한 뒤 영종, 정종, 순종을 각각 영조, 정조, 순조로 추존했다.
한편 시호는 업적을 기리기 위해 붙이는 이름이다. 태조의 시호는 "강헌지인계운성문신무대왕"(康獻至仁啓運聖文神武大王)이다. 뜻을 풀이하면 "하늘이 내린 천운을 받들어 성인의 문화와 신과 같은 무위를 갖춘 대왕"으로 태조 이성계가 새로 나라를 세웠음을 강조한 시호가 된다. 이 가운데 "강헌"은 명나라에서 내린 시호이고 뒤의 것은 조선에서 자체적으로 헌정한 시호다.
이외 이름과 관련한 '명칭'을 알아보면, 아명, 초명, 휘, 자, 호 등이 있다.
아명(兒名)은 어릴 때 정식 이름을 짓기 전에 부모가 자식을 부르는 친근한 이름이다. 세종대왕 아명이 막동(莫同)이었다. 초명(初名)은 처음 이름, 휘(諱)는 태어날 때 받은 진짜 이름이다. 자(字)는 성년이 되는 관례 때 받는 이름인 관명과 함께 스스럼없이 부를 수 있도록 짓는 새로운 이름이며, 호(號)는 본명이나 자 이외에 따로 지어 부르는 이름(별칭, 필명, 별호, 아호)으로 보면 된다.
역대 조선 왕 중에 이름이 가장 유명한 임금 두 분은 세종(이도)과 정조(이산)다. 다른 왕의 이름은 몰라도 이 두 왕의 이름은 TV 드라마 덕분에 대부분이 알고 있다. 경종은 숙종 때(사후 약 250년 후)에 와서야 경종이라는 묘호를 얻었고, 조선의 왕 중 유일하게 왕릉이 북한에 있다. 대부분 왕릉이 서울과 경기(구리, 파주, 남양주 등) 지역에 있는 것과는 다르다.